KR100528028B1 -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 - Google Patents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028B1
KR100528028B1 KR1020050030055A KR20050030055A KR100528028B1 KR 100528028 B1 KR100528028 B1 KR 100528028B1 KR 1020050030055 A KR1020050030055 A KR 1020050030055A KR 20050030055 A KR20050030055 A KR 20050030055A KR 100528028 B1 KR100528028 B1 KR 100528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tank
wastewater
discharge
treatme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영
Original Assignee
박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영 filed Critical 박선영
Priority to KR1020050030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 등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처리하여 배출함과 아울러 빗물을 따로 집수하여 별도의 우수 배출관으로 배출하여 줄 수 있도록 배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폐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오페수 집수실이 형성되는 오폐수 처리조와, 우수 배출구가 형성하는 우수 집수조와, 우수 집수조에 결합되는 그라우팅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구조가 매우 간결하여 원자재 및 제조원가의 절감을 꾀할 수 있고, 우수 집수조를 오폐수 처리조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오폐수 처리조에 대한 청소 및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Draining tank with separation-discharging structureof filthy and waste and rain water}
본 발명은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주택 등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처리하여 배출함과 아울러 우수(빗물)를 따로 집수하여 별도의 우수 배출관으로 배출하여 줄 수 있도록 한 배수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배수조(주택용 오수받이)는 오폐수를 처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오폐수 처리조와 빗물을 집수하여 배출해주기 위한 우수 처리조가 별도로 제조되고 있는 바, 오폐수와 우수의 처리를 위한 처리조를 별도로 설치할 경우 그 시공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각 처리조의 시공을 위해서는 많은 지면적이 소요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그에 따라 오폐수와 우수의 처리 및 배수가 단일의 오수받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혼합형 오수받이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본원 발명의 출원인 역시 오폐수와 우수의 처리 및 배수가 단일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한 주택용 배수조를 출원하여 실용신안등록(제0252812호; 2001. 11. 17.)을 받은 사실이 있다.상기한 오수받이(주택용 배수조)는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작이 까다로웠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비싸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으며, 또한, 종래의 배수조는 우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배출관)이 오수 처리조의 내부를 경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오수 처리조 내부의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배출관을 임의로 제거할 수 없어 처리조(오폐수 처리조)의 내부에 대한 청소 및 보수가 까다로워 오수받이의 관리가 청결한 관리가 어렵다는 등의 폐단이 지적되고 있다.그리고, 종래의 오수받이는 우수의 배출구가 측방향으로 성형되는 것으로, 우수를 전용의 우수관로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배출관로가 한정된 방향으로 설치될 수밖에 없어 그 시공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배출관로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재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삭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우,오수 혼합형 오수받이 등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오수받이의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단일의 공간에서 오폐수와 우수에 대한 확실한 분리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오수 처리조 내부의 구조를 간결하게 함으로써 오수 처리조에 대한 유지보수를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배수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폐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오폐수 집수실이 형성되는 오폐수 처리조와, 우수 집수실 및 우수 배출구가 형성하는 우수 집수조와, 우수 집수조에 결합되는 그라우팅 등을 구비하는 바, 이하 예시되는 도면과 함게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배수조(1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2에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를 통해 본 발명은 오폐수의 처리를 위한 오폐수 처리조(20)와, 우수의 집수를 위한 우수 집수조(30)와, 우수 처리조(30)의 상단에 결합되는 그라우팅(40) 등으로 구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오폐수 처리조(20)는 오폐수 집수실(21)을 갖는 것으로, 하단부 양측에 오폐수 유입구(22) 및 오폐수 유출구(23)를 형성하고, 오폐수 처리조(20)의 상부에 돌출턱(24)을 경계로 구획되는 우수 배출조(25)를 일체로 형성하며, 우수 배출조(25)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턱(225)을 형성하고, 우수 배출조(25)의 저부에 하방으로 신장되는 우수 배출구(26)를 형성한다.
상기 우수 집수조(30)에 우수 배출조(25)에 형성된 단턱(225)에 걸려지는 걸림턱(32)을 형성하고, 걸림턱(32)의 외주에 플랜지부(33)를 형성하여 그라우팅(40)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며, 집수판(31)의 일측에 오폐수 처리조(20)에 형성된 돌출턱(24)이 끼워지는 결합홈(35)을 형성하고, 결합홈(35)을 경계로 하여 하방으로 함몰되는 배수부(31a)를 마련하여 배수부(31a) 일측에 우수 배출구(26)와 연통하는 우수 배출공(34)을 형성한다.
삭제
이때, 우수 집수조(30)에 형성되는 집수판(31)은 배수부(31a)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인 하양 기울기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집수판(31)의 바닥면이 갖는 기울기에 의해 우수 집수조(30)로 유입된 우수가 배수부(31a) 방향으로 원활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조(20)의 상단에 우수 집수조(30)를 결합하고 우수 집수조(30)의 플랜지부(33)에 그라우팅(40)을 거치시켜 볼트(피스) 등의 고정수단으로 결합한 다음 오폐수 처리조(20)를 지하에 매설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오폐수 유입구(22) 및 오폐수 유출구(23)에는 오폐수 유출관로(P1) 및 배출관로(P2)를 결합하고 우수 배출구(35)에는 우수 배출관로(P3)를 결합하여 오폐수 및 우수를 배출시켜 주는 것이다.(도 2 참조)
본 발명은 그라우팅(40)을 통해 유입된 우수가 집수판(31)에 마련된 배수부(31a)로 집수되어 우수 배출공(34)을 통해 우수 배출관로(P3)로 배출되도록 하고, 오폐수는 우수 집수조(30)와 구획된 오폐수 처리조(20)를 통해 유입·배출되도록 한 것으로 오폐수와 우수에 대한 분리배출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삭제
그리고, 본 발명은 우수 집수조(30)를 오폐수 처리조(20)로부터 분리시키면 오폐수 집수실(21)의 내부 영역이 바로 드러나도록 한 것으로, 오폐수 처리조(20)에 대한 청소 및 보수를 쉽게 실시할 수 있어 배수조(10)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 배출조(25)에 마련되는 우수 배출구(26)를 하방으로 형성함으로써 엘보우 형태의 우수 배출관로(P3)를 이용하여 오폐수 유입 및 배출관로(P1,P2)의 시공위치와 상관없이 우수 배출관로(P3)를 소망하는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익이 보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는 오폐수와 우수의 처리(유입) 및 배출이 단일의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조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시공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조가 매우 간결하여 원자재 및 제조원가의 절감을 꾀할 수 있고, 우수 집수조를 오폐수 처리조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오폐수 처리조에 대한 청소 및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오폐수 유입 및 배출관로의 시공위치에 상관없이 우수 배출관로를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상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배수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배수조 20: 오폐수 처리조
21: 오폐수 집수실 22: 오폐수 유입구
23: 오폐수 배출구 25: 우수 배출조
26: 우수 배출구 30: 우수 집수조
31: 집수판 32: 걸림턱
33: 플랜지부 34: 우수 배출공
35: 결합홈 40: 그라우팅

Claims (1)

  1. 오폐수 집수실(21) 및 오폐수 유출구(23)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조(20)와, 우수의 집수를 위한 우수 집수조(30)와, 우수 처리조(30)의 상단에 결합되는 그라우팅(40)으로 구성하여 오폐수와 우수를 분리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배수조(10)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 처리조(20)의 상부에 돌출턱(24)을 형성하여 돌출턱(24)을 경계로 구획되는 우수 배출조(25)를 형성하며, 우수 배출조(25)의 저부에 하방으로 신장되는 우수 배출구(26)를 형성하고;
    상기 우수 집수조(30)에 걸림턱(32) 및 플랜지부(33)를 형성하여 오폐수 처리조(20)에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며, 집수판(31)의 일측에 오폐수 처리조(20)의 걸림턱(24)에 결합되는 결합홈(35)을 형성하고, 결합홈(35)을 경계로 하여 하방으로 함몰되는 배수부(31a)를 마련하여 배수부(31a) 일측에 우수 배출구(26)와 연통하는 우수 배출공(34)을 형성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
KR1020050030055A 2005-04-11 2005-04-11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 KR100528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055A KR100528028B1 (ko) 2005-04-11 2005-04-11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055A KR100528028B1 (ko) 2005-04-11 2005-04-11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409U Division KR200378469Y1 (ko) 2004-12-03 2004-12-03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8028B1 true KR100528028B1 (ko) 2005-11-15

Family

ID=3730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055A KR100528028B1 (ko) 2005-04-11 2005-04-11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0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7113A (ko) * 1984-03-16 1985-10-30 이근희 분리식 오수받이
KR970075138A (ko) * 1997-09-23 1997-12-10 최원태 고층건물의 베렌더 하수장치
KR200252812Y1 (ko) * 2001-07-12 2001-11-17 박선영 주택용 배수조
KR200265573Y1 (ko) * 1999-04-19 2002-02-25 윤대진 배수트랩
KR200265310Y1 (ko) * 1998-06-26 2002-04-13 권태봉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7113A (ko) * 1984-03-16 1985-10-30 이근희 분리식 오수받이
KR970075138A (ko) * 1997-09-23 1997-12-10 최원태 고층건물의 베렌더 하수장치
KR200265310Y1 (ko) * 1998-06-26 2002-04-13 권태봉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KR200265573Y1 (ko) * 1999-04-19 2002-02-25 윤대진 배수트랩
KR200252812Y1 (ko) * 2001-07-12 2001-11-17 박선영 주택용 배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100536A4 (en) Rainwater irrigation apparatus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100707720B1 (ko) 인버트와 트랩이 일체로 형성된 오수받이의 본체구조
KR20110029658A (ko) 오수받이
KR100842368B1 (ko) 통합형 우수겸용 오수받이
KR100528028B1 (ko)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
KR200405349Y1 (ko) 트랩기능이 구비된 오우수받이
KR100706161B1 (ko) 합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KR200378469Y1 (ko) 오폐수와 우수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배수조
KR10071544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통합형 우수 겸용 오수받이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CN208329115U (zh) 一种市政排水管路
KR101194420B1 (ko) 공동주택의 배수구 악취 제한용 하수관 구조물
KR200412547Y1 (ko) 우수받이 겸용 오수받이
CN201089959Y (zh) 浴室排水汇流装置
KR100473604B1 (ko) 오수 및 하수용 합성수지맨홀
CN102071738A (zh) 地下道排水装置
KR100638557B1 (ko) 우수받이 겸용 오수받이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252812Y1 (ko) 주택용 배수조
KR20120080276A (ko) 배출관에 역류방지기능이 구비된 오수받이
KR200333410Y1 (ko) 빗물 오수 겸용받이
KR200328172Y1 (ko) 주택용 배수조
KR102567882B1 (ko) 오·폐수 받이
KR200298666Y1 (ko)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