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330Y1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330Y1
KR200204330Y1 KR2019980012678U KR19980012678U KR200204330Y1 KR 200204330 Y1 KR200204330 Y1 KR 200204330Y1 KR 2019980012678 U KR2019980012678 U KR 2019980012678U KR 19980012678 U KR19980012678 U KR 19980012678U KR 200204330 Y1 KR200204330 Y1 KR 200204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age
rainwater
dra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745U (ko
Inventor
윤대진
Original Assignee
오시덕
대한주택공사
윤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시덕, 대한주택공사, 윤대진 filed Critical 오시덕
Priority to KR2019980012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33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7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3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2Odour seals combined with additional object-ca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나 공동주택의 베란다 및 세탁실에 설치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건물내부의 생활하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하수관을 내측에 포함하는 빗물관에 연결하는 것이며, 건물의 각층에서 발생되는 생활 하수와 우천시에 건물옥상에서 빗물을 건물 내측에서 하나의 배관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특히 건물의 베란다 및 세탁실에서 빗물 배수관의 내측으로 하수관을 삽입하는 배관 구조에 맞도록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트랩
본 고안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빗물내측의 베란다 및 세탁실에 설치하는 배수트랩이며, 옥상에서 빗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빗물배수관을 설치하고 빗물배수관의 내측으로 하수관을 구성하여, 건물내부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를 빗물배수관의 내측에 있는 하수관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수트랩이다.
종래의 아파트 및 공동주택의 경우 건물 옥상의 빗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빗물 배수관을 아파트의 베란다 및 세탁실을 통하여 건물의 아래층으로 연결하였다. 그리고 베란다 및 세탁실에서의 배수관이 빗물배수관과 서로 연결되어있었기 때문에 여기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와 빗물이 혼합되어 하수구로 유입되어 하천으로 방류되었다. 이렇게 생활하수와 빗물이 혼합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면서 수질오염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건물내부에 빗물 배수관을 구성하고, 베란다 및 세탁실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하수관을 각각 구성하여 빗물은 하수구로 방류하고, 생활하수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건물의 설계시에 빗물 배수관과 하수관을 각각 설치해야했고, 각 층마다 이들 배수관에 연결해야하는 배수트랩 및 여러 가지 부속장치들을 각각 설치해야 되기 때문에 건물내부의 배관구조가 복잡해지고, 건물내부에서 배수관이 차지하는 부피가 증가되며 보기에도 좋지않을뿐아니라 건축비용의 상승 및 시공기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아파트나 공동주택의 베란다 및 세탁실에 설치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특히 건물내부의 생활하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하수관을 내측에 포함하는 빗물관에 연결하고 이 배관으로 건물내부의 각층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를 배출시키고 우천시에 건물옥상에서 빗물을 건물 내측에서 하나의 배관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특히 건물의 베란다 및 세탁실에서 빗물 배수관의 내측으로 하수관을 삽입하는 배관 구조에 맞도록 고안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배수트랩 내측으로 하수관을 포함하는 빗물관을 연결하였으며, 하수 유입구를 통하여 하수를 배수트랩 내부로 받아들여 배수트랩 내부에서 하수관과 연결되는 하수유입구를 통하여 하수관으로 배출시키며, 빗물은 빗물연결관을 통하여 트랩외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였으며, 건물내부의 트랩내부에서 빗물과 하수가 서로 섞이지 않고 하수만 따로 배출하여 건물 밖에서 빗물과 하수가 분리되도록 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3도의 A-A선의 단면도
도 5는 실시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분해 단면도
도 7은 상단 고정부의 단면도
도 8은 상단 고정부의 평면도
도 9는 하부 배관결합부의 단면도
도 10은 하부 배관결합부의 평면도
도 11은 상부 배관결합부의 단면도
도 12는 상부 배관결합부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상단 고정부
3. 빗물 유입구 4. 하수 유입구
5. 상부배관결합부
6. 결합부
7a. 나사면 7b. 나사면
8. 빗물배출통로 9. 거름망
10. 하수유입구 11. 하수 배수전
12. 스프링 13. 배수판
14. 배수전 삽입구 15. 상측판
16. 하수 수집관
17a. 하수유입통로 17b. 하수유입통로
18. 하수 유입구 19. 수집관 결합홈
20. 빗물배출구 21. 하수배출구
22. 결합홈 23. 하부배관결합부
24. 하측판 25. 하수 유도돌기
26. 빗물관 27. 하수관
28a. 유도판 28b. 유도판
제 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건물내부에 장착하는 배수트랩을 나타낸 것이다. 본체(1)는 상단고정부(2), 상측판(15)과 하측판(24)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상단 고정부(2)에는 하수유입구(4)를 포함하는 빗물 유입구(3)를 구성하였으며 일측에는 건물내부의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하수 배수전(11)이 구성되어있다. 상단 고정부(2)는 콘크리트 타설후 배수트랩 표면에 타일을 부착하기 쉽도록 직사각형 형태를 취하고 있다.
제 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건물 내부의 각층의 베란다 및 세탁실에 설치된 배수트랩을 나타낸 것으로 하수관이 내측에 포함되는 빗물배수관에 장착한 것을 나타낸다.
제 3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하측판(24)의 내부로 하수 수집관(16)을 삽입하고 상측판(15)을 덮은 후 상측판(15)위에 상단고정부(2)를 삽입한 것을 나타낸다. 상단고정부(2)에는 결합부(6)를 삽입하도록 나사면(7a)을 형성하여 결합부(6)에 형성된 나사면(7b)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부배관결합부(5)를 배관에 삽입하고 결합부(6)를 회전시켜 결합부(6)와 상부배관결합부(5)가 밀착되게 한다.
상단고정부(2) 일측에는 배수전 삽입구(14)를 형성하였으며 배수전 삽입구(14)에는 스프링(12)이 내측에 장착되어있는 배수전(11)을 삽입하였다.
제 4도는 제 3도의 A-A선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우측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부분이 하수유입구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하측판(24)의 내부에는 하수를 유입할 때 고르게 회전하면서 배출되도록 곡선형태의 하수유도판(25)을 형성하였으며, 하측판(24)으로 유입된 하수가 순환하도록 하였다.
순환하는 하수는 하수유입통로(17a)(17b)를 통하여 하수유입구(18)로 유입된다. 3도에서 하수 수집관(16)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하수유입통로(17a)(17b)를 나타낸 것이다. 빗물 배출통로(8)를 통하여 배출된 빗물은 하측판(24) 내측의 하수관바깥쪽으로 형성된 빗물 배출구(20)를 통하여 배출된다.
하수수집관(16)의 하단은 하측판(24) 내부의 수집관결합홈(19)에 밀착되며 하수수집관(16)의 빗물배출통로가 빗물배출구(20)로 연결되어 빗물이 배출되게 한다.
제 5도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빗물관(26)과 하수관(27)에 트랩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하수는 유입되어 스프링(12)이 장착된 배수전(11)을 통하여 하수유입구(18)로 유입되며 하수의 무게에의하여 배수판(13)이 열리게되며 하수가 유입되지 않을 때는 닫혀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하수관으로부터 악취나 유해가스가 건물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빗물관을 통하여 유입된 빗물은 상부배관결합부(5)에 비스듬히 설치된 유도판(28a)에 의하여 회전하며 내측으로 유입되며 결합부(6)와 결합된 상단고정부(2)부분의 하단이 개방된 빗물배출통로(8)로 빠져나오며 하수수집관(16)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뒤쪽을 통하여 빗물 유입구(20)로 유입되며 하단의 하부배관결합부(23)의 유도판(28b)을 타고 배출되어 빗물관(26) 내측의 벽면을 타고 흐르게되어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하게된다.
제 6도는 본 고안의 분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부배관결합부(5)는 결합부(6)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결합부(6)의 표면에 형성된 나사면(7a)에 의하여 상단고정부(2)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면(7b)에 결합한다. 상단 고정부(2)의 우측에는 배수전(11)을 삽입하기 위한 배수전 삽입구(14)를 형성하였으며, 배수전 삽입구(14)로 거름망(9)과 배수전을 삽입한다.
상단 고정부(2)는 상측판(15)에 고정되며, 상측판(15)의 하단으로 하수유입통로(17a)(17b)와 하수유입구(18)가 형성된 하수 수집관(16)이 밀착되며, 하수수집관(16)은 하측판(24)의 내부에 형성된 수집관 결합홈(19)에 밀착된다.
유도판(28b)이 형성된 하부배관 결합부(23)는 하측판(24)에 형성된 결합홈(22)에 결합된다.
제 7도는 상단 고정부(2)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단고정부(2)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마감공사를할때 타일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상단고정부(2)에는 결합부(6)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면(7b)을 형성하였으며, 내측을 절개하여 빗물배출통로(8)를 형성하여 빗물이 배출되도록 하였다. 우측으로는 배수전(11)을 삽입하도록 배수전 삽입구(14)를 형성하였다.
제 8도는 상단고정부(2)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단고정부(2)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좌측으로는 빗물관과 하수관을 결합하기 위한 상부배관결합부(5)를 형성하였으며, 우측으로는 하수를 유입하기 위한 거름망(9)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제 9도는 트랩의 외측하단에 결합되는 하부배관결합부(23)를 나타낸 것이며 트랩내부에서 배출되는 빗물을 유도판(28b)을 타고 흐르게 하여 빗물관(26)의 벽면을 타고 흐르도록 하여 빗물이 배출될 때 소음을 줄이도록 한 것이다. 하부배관결합부(23)를 트랩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22)에 삽입하게되면 결합홈(22)과 하부배관결합부(2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아래층으로 배출되는 빗물관(26)을 삽입할 수 있고, 하수관(27)을 삽입할 수 있다.
제 10도는 제 9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내측에 경사면으로 형성된 유도판(28b)을 나타내고 있다.
제 11도는 하수관(27)이 포함된 빗물관(26)과 결합하는 상부배관결합부(5)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배수트랩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결합부(6)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결합부(6)와 삽입된 상태로 상단고정부(2)에 장착된다.
제 12도는 제 11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건물내부로 연장되어있는 빗물관(26)과 하수관(27)을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빗물이 유입될 때 고르게 유입하기 위하여 유도판(28a)을 구성하였다.
본 고안은 건물 내부의 배수트랩으로, 빗물관 내측으로 하수관을 포함하는 배관구조에 맞게 고안된 것으로, 건물의 상부에서는 빗물을 배출시키고 건물의 내측에서는 생활하수를 배출시키며, 하나의 배관구조를 이용하여 건물옥상의 빗물과 건물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를 따로 배출시켜 수질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건물내부의 배관구조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건물내부에서의 배관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어 건물의 시공이 간단해지는 효과가있다.

Claims (1)

  1. 본체(1)는 상단 고정부(2), 상측판(15), 하측판(24)으로 구성되며,
    상단 고정부(2)에는 빗물유입구(3)와 하수유입구(4)가 형성된 상부배관결합부(5)를 결합부(6)의 내측으로 결합하고, 결합부의 하단은 나사면(7a)을 형성하여 상단고정부(2)내측에 형성된 나사면(7b)과 결합하며, 나사면(7b)의 하단으로 빗물배출통로(8)를 형성하며, 상단부의 일측에 배수전 삽입구(14)를 형성하여 하수유입구(10)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스프링(12)을 포함하며 배수판(13)을 갖는 배수전(11)을 삽입하며, 배수전의 상단으로 거름망(9)을 삽입하고,
    상측판(15)에는 상단고정부를 삽입하며,
    하측판(24)에는 하수유입구(18)와 하수유입통로(17a)(17b)가 형성된 하수수집관(16)을 삽입시키며, 하수수집관(16)은 하측판(24) 내부에 형성된 수집관 결합홈(19)과 밀착하며, 하측판(24)의 외측하단으로 결합홈(22)을 형성하여 유도판(28b)이 형성된 하부배관결합부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2019980012678U 1998-07-10 1998-07-10 배수트랩 KR200204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678U KR200204330Y1 (ko) 1998-07-10 1998-07-10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678U KR200204330Y1 (ko) 1998-07-10 1998-07-10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745U KR20000002745U (ko) 2000-02-07
KR200204330Y1 true KR200204330Y1 (ko) 2000-12-01

Family

ID=1953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678U KR200204330Y1 (ko) 1998-07-10 1998-07-10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3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417B1 (ko) 2013-03-26 2013-06-11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417B1 (ko) 2013-03-26 2013-06-11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745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204330Y1 (ko) 배수트랩
KR200289780Y1 (ko) 배수트랩
KR200265310Y1 (ko)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KR200417636Y1 (ko) 배수트랩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KR200204327Y1 (ko) 배수트랩
KR200265573Y1 (ko) 배수트랩
KR200204329Y1 (ko) 배수트랩
KR200286057Y1 (ko) 배수트랩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0451895B1 (ko) 배수트랩에 있어서 이물질 걸림방지구조
KR200204331Y1 (ko) 건물옥상용 배수트랩
KR200163726Y1 (ko) 건물의 하수역류방지 및 통기용 배관구조
KR200375384Y1 (ko) 조립식 이중 배수트랩
KR200333410Y1 (ko) 빗물 오수 겸용받이
KR0120147Y1 (ko) 배수배관용 집수죠인트
KR100356537B1 (ko) 배수관 조립체
KR930004979Y1 (ko) 배수전
KR102327751B1 (ko) 건축물 배관 설계 시스템
KR200305922Y1 (ko) 배수배관용 연결 플로어
KR100420001B1 (ko)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
KR200171769Y1 (ko) 배수트랩
KR200252812Y1 (ko) 주택용 배수조
KR200224222Y1 (ko) 바닥 배수로 장치
KR920000426Y1 (ko) 배수 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