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417B1 -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 - Google Patents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417B1
KR101273417B1 KR1020130032414A KR20130032414A KR101273417B1 KR 101273417 B1 KR101273417 B1 KR 101273417B1 KR 1020130032414 A KR1020130032414 A KR 1020130032414A KR 20130032414 A KR20130032414 A KR 20130032414A KR 101273417 B1 KR101273417 B1 KR 101273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ain
sewage
drain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창현
윤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032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판에 의한 배수구 차폐 강도를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오,폐수와 악취 및 소음의 역류를 보다 철저하게 차단시킬 수 있으며, 오수의 중량에 의해 배수판이 열릴 때에는 신속하게 열려 오수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배수판이 닫힐 때에는 서서히 닫히도록 지연시킴으로써 오수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고 오수의 마지막 부분까지 최대한 배출시킬 수 있는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역류 방지형 하수관은, 배수판에 의해 하단부가 개폐되도록 한 배수전이 구비되는 평판의 상측판부와, 상측판부에 끼워맞춤되는 하측판부를 구비하고, 배수판 중앙의 가이드 로드는 배수전 중앙의 스프링 홀더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장력 조절 볼트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스프링 홀더는 나사캡의 결합에 의해 내부가 외부로부터 실링되도록 하면서 배수전의 상단부는 제2 안치홈에 형성한 걸림턱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배수판의 하부에는 배수판의 닫힘 동작을 지연시키는 닫힘지연기구를 구비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Sewer of flowing backward protection type pass through apartmentveranda}
본 발명은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판에 의한 배수구 차폐 강도를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오,폐수와 악취 및 소음의 역류를 보다 철저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립주택 및 아파트 등의 다층 건물에서는 다용도실, 베란다의 위치가 각 층별로 동일위치에 구획하며, 각 층의 하수는 하나의 수직배수관으로 집수하여 배출하는 공동 집/배수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립주택 및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의 베란다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이나 베란다의 청소 시에 발생하는 하수의 배출을 위한 하수 배관로가 요구되며, 다용도실에서도 우리나라의 생활 환경상 세탁작업에 따른 하수와 청소 시에 발생하는 하수의 배출을 위한 하수 배관로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각층의 하수 배관로를 각 층별로 각각 분리하여 지하층의 하수관로와 연결할 시에는 상당한 건축공간이 요구됨과 동시에 높은 배관시공비가 소요되므로, 보편적으로 연립주택 및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의 다용도실이나 베란다의 하수시스템은 건축비와 배관시공비의 절감을 위하여 최상층부터 최하층까지 단일의 수직 배관로에 각 층의 층별 집/배수관로를 연결하는 공동 집/배수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공동 집/배수 시스템은 층간을 연결하는 수직 배관로와 함께 각 층에서 수직 배관로에 연결되는 배수 배관로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구성이다.
수직 배관로는 빗물이 지나는 통로를 겸할 수도 있으나, 층간을 연결하는 배수관로이며, 배수 배관로는 다용도실이나 베란다에서 사용된 물을 배수되도록 하는 관로이다.
하지만 수직 배관로는 층간 배수 배관로간을 연결되게 하여 각 층에서의 배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나, 수직 배관로를 통해서는 하층으로부터 하수나 악취가 역류하거나 소음이 유입되는 통로로서도 작용하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공동 주택의 집/배수 시스템에 하수 또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구성이 등록실용신안 제0204330호(2000.09.14.명칭:배수트랩)을 통해 제안되기도 하였는바 이런 역류 방지 수단은 그 외의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도 하수관로에 적용한 사례가 많다.
도 1은 종래의 역류방지형 하수관을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종래기술의 등록실용신안 제0204330호를 살펴보면 상측판(100)과 하측판(20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이들 결합 구성의 일측에는 상부의 하수 유입구(310)와 함께 그와 대응되는 하부의 하수 유출구(320)를 형성한 수직 배관로(300)가 구비되도록 한다.
일측의 수직 배관로(300)와 대응되는 타측에는 층간 배관로(400)가 구비되도록 하되 층간 배관로(400)는 상측판(100)에 얹혀지는 거름망(410)과 그 하부에 구비되는 배수전(42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원통형의 배수전(420)은 하단부가 배수판(430)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며, 배수판(430)은 배수전(420)의 중앙에 구비한 인장 스프링(440)에 의해 탄력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거름망(410)을 통해 배수전(420)으로 일정량의 오수가 채워지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이 오수의 중량에 의해 배수판(430)이 하향 이동하면서 배수전(420)의 하단부를 개방시키게 되어 각 층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층간 배관로(400)와 연통되도록 한 수직 배관로(300)를 통해서 배수되도록 하고 있다.
배수전(420)은 오수가 유입되지 전까지 배수판(430)을 지지하는 인장 스프링(440)에 의해 닫힌 상태가 유지되며, 따라서 수직 배관로(300)를 통해 하층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나 소음을 차단시킬 수가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배수전(420)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배수판(430)은 인장 스프링(440)의 장력이 변경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폐 기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배수판(430)과 배수전(420) 하단부 사이로 이물질이 개입하기라도 하면 제대로 차폐되지 않으면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장 스프링(440)이 오수와 대기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서 부식이 급격하게 진행됨에 따라 수명이 대폭적으로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오수의 중량에 의해 하강하여 열린 배수판(430)은 오수 배출량의 감소로 중량이 줄어들게 되면, 인장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신속하게 상승하여 닫히게 되므로, 오수가 배출되는 동안 오수의 중량 변화에 따른 배수판의 개폐동작이 반복되어 오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수 배출 소음을 심하게 유발하게 되며, 더욱이 오수 마지막 부분에서는 오수의 배출량이 줄어들면서 중량이 급격히 감소되어 배수판이 완전히 닫히게 되므로 배수전(420) 내에 미처 배출되지 못한 미량의 오수가 남게 되고, 이로 인해 배수전이 지저분해지고 악취가 발생하며 벌레가 서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수판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의 탄성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조절 가능하게 하여 배수판의 안정된 차폐 기능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판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이 오수나 폐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하여 배수판의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관에서 배수전이 분리가 용이하면서 견고한 고정이 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오,폐수 역류에도 안전하게 유지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수의 중량에 의해 배수판이 열릴 때에는 신속하게 열려 오수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배수판이 닫힐 때에는 서서히 닫히도록 지연시킴으로써 오수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고 오수의 마지막 부분까지 최대한 배출시켜 배수전에 잔류하는 오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는 빗물 유입구와 함께 하수 유입구를 형성한 지지부의 하단이 나사결합되고, 타측에는 거름망과 함께 그 하부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면서 배수판에 의해 하단부가 개폐되도록 한 배수전이 구비되는 평판의 상측판부; 및 일측에는 상기 하수 유입구와 대응되는 하부에 하수 유출구를 형성하고, 상부로부터 상측판부가 끼워맞춤되면서 상기 상측판부에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한 상기 배수전의 하부가 수용되도록 하며, 양측으로 형성한 수직 배관로와 층간 배관로가 연통되도록 하는 하수 유도로를 형성하는 하측판부를 구비하는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전의 하단부를 개폐시키는 상기 배수판은 중앙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배수전의 하단부와 사면접촉되도록 하여 접촉면간 이물질 개입이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판의 중앙에는 일정한 높이로 봉형상의 가이드 로드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배수전의 중앙에 형성한 스프링 홀더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상단부에는 장력 조절 볼트가 결합되어 외측으로 구비되는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단부가 나사캡의 결합에 의해 내부가 외부로부터 실링되도록 하며, 상기 배수전은 상기 상측판부에 안치되는 상단부가 일정 각도로 플랜지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상측판부의 제2 안치홈에 형성한 걸림턱으로 회전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하층으로부터 역류하는 오수의 압력에 대해서도 상기 상측판부로부터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전에는 상기 거름망의 구멍보다 작은 크기의 통공을 바닥면으로 형성한 거름관이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판 작동에 간섭을 주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고, 상기 배수판의 하부에는 배수판의 닫힘 동작을 지연시키는 닫힘지연기구를 구비한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닫힘지연기구가, 배수판의 하부 중앙에 고정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커버체; 상기 커버체 내에 구비되고 복수개의 스페이스기둥에 의해 커버체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연결되며 커버체의 내벽과 틈새를 형성하도록 커버체의 내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압축판; 상기 커버체와 압축판 사이의 틈새를 막는 메쉬망; 상기 압축판 하부의 하측판부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탄성후크돌기가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탄성후크돌기에 가장자리부가 걸림유지되어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압축판과 바닥판 사이에 양단이 기밀 유지 가능하게 부착되어 내부에 공기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주름관; 및 상기 압축판에 한쪽 끝단이 고정되어 관통구멍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휨 변형이 자유로운 얇은 필름으로 이루어져 주름관 내의 공기 배출시 관통구멍을 개방하도록 휨변형하고, 주름관 내로 공기 유입시 공기압에 의해 압축판에 밀착되어 관통구멍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상기 관통구멍보다 작은 미세공기유입구멍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개폐필름으로 이루어진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에 의하면 각층에 형성되는 배관로를 통해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면서 배수전으로 유도되는 오수에는 비교적 일정 사이즈 이상의 이물질은 걸러지도록 하여 배수판에 의한 차폐력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고, 장시간 소요되면서 발생되는 배수판의 회전 탄성력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하층으로부터 역류되는 오수와 악취 및 소음을 보다 안정적으로 차단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전을 상측판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회전시킴에 의해서 쉽게 분리 또는 고정시킬 수 있음에 따라, 거름관으로부터의 손쉬운 이물질 제거와 함께 역류되는 오수의 압력에도 안전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판 하부에 구비된 닫힘지연기구에 의하면, 배수판이 배수전의 하부를 개방하는 열림 방향으로 하강할 때에는 종전과 마찬가지로 신속하게 하강하여 오수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고, 배수판이 배수전의 하부를 폐쇄하는 닫힘 방향으로 상승할 때에는 서서히 상승하여 완전히 닫힐 때까지의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게 되므로, 오수의 배출이 더욱 원활해지고 오수의 마지막 부분까지 최대한 배출시켜 배수전에 잔류하는 오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고 벌레가 서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전을 최대한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역류 방지형 하수관을 예시한 수직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역류 방지형 하수관에서 배수전의 구성을 상세하게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을 예시한 수직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구성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요부 확대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을 이용해 배수되는 상태의 작동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에서 닫힘지연기구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에서 닫힘지연기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에서 닫힘지연기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선등록고안 제0204330호에 설명되어 있는 구성상 특징들과 대동소이하며, 이들 구성 중 본 발명은 배수전의 구성을 개선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은 빗물을 유도하는 관로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에 적용할 수도 있으나, 빗물 하수관은 별도로 구비되는 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을 예시한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구성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요부 확대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층마다 구비되는 층간 배관로와 이 층간 배관로간을 수직 배관로로서 연결되도록 하여 각 층의 베란다에서 사용한 오수가 각 층을 거치지 않고 하수관 본관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종래기술에 의한 등록고안에서와 대동소이하다.
본 발명은 크게 상측판부(10)와 하측판부(20)의 결합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측판부(10)는 내부로 일정 크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측판부(20)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하측판부(2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상측판부(10)는 일측으로는 지지부(30)가 연결되고, 타측으로는 거름망(40)이 안치되는 구성이다.
지지부(30)는 상층의 배관과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 부재로서, 하단부는 상측판부(10)에 나사결합되도록 하여 상층으로부터 연장되는 배관과의 연결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한다.
지지부(30)는 상층으로부터 배관을 통해 유도되는 오수가 유입되도록 하수 유입구(31)를 형성하며, 각 세대의 오수와 함께 빗물도 유도되도록 하는 배관에서는 오수가 유도되는 하수 유입구(31)의 외측으로 빗물 유입구(32)도 형성하기도 한다.
일측의 지지부(30)와 대응되게 구비되는 타측에는 거름망(40)이 안치되도록 하며, 거름망(40)은 통상 스테인레스 스틸의 평판에 다양한 형상으로 배출공(41)이 형성되는 구성이고, 외주연 단부가 단순히 상측판부(10)에 얹혀지도록 한다.
거름망(40)이 안치되는 상측판부(10)에는 일정한 크기로 하향 관통되도록 배출홀(11)이 형성되도록 하며, 배출홀(11)의 상단측 상측판부(10)에는 거름망(40)의 외주연부가 안치되는 제1 안치홈(12)을 형성하고, 제1 안치홈(12)의 하부에는 보다 배출홀(11)의 내경이 축소되게 하여 제2 안치홈(13)을 형성한다.
제1 안치홈(12)에는 거름망(40)이 안치되는데 반해 제2 안치홈(13)에는 원통형상의 배수전(50)이 안치된다.
배수전(5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일정 각도로 플랜지면을 형성하고, 상단부의 내주면간은 리브(50a)로 연결되며, 리브(50a)의 중간 부위에는 원통형상의 스프링 홀더(51)를 구비한다.
배수전(50)의 개방된 하단부는 배수판(52)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차단되며, 이 배수판(52)은 스프링(53)에 의해 탄력 지지된다.
상측판부(10)의 하부에는 일정 크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측판부(20)가 구비되도록 하며, 하측판부(20)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상측판부(10)가 끼워맞춤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하측판부(20)는 일측으로 수직 배관로(21)를 형성하면서 상측판부(10)에 연결되는 지지부(30)와 대응되는 하부에 하수 유출구(22)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배수전(50)을 수용하면서 하부로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층간 배관로(23)를 형성한다.
수직 배관로(21)와 층간 배관로(23)는 층간 배관로(23)를 통해 각 세대의 배출 오수가 수직 배관로(21)로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수 유도로(24)에 의해서 연통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비록 명칭은 다르게 표기하였으나 종래기술에 따른 등록고안 제0204330호와 대동소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도 4에서와 같이 배수전(50)에 구비되는 배수판(52)과 함께 배수판(52)을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한 스프링 홀더(51)의 구성을 개선하고, 배수판(2) 하부에 닫힘지연기구(60)를 구비한 것에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배수판(52)은 배수전(50)의 하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하면서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각도로서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배수판(52)이 하향 경사지게 되면 배수전(50)과는 사면접촉하게 되고, 배수전(50)을 통해 배수되는 오수의 잔류물이 배수판(52)에 남지 않도록 한다.
오수가 배수판(52)에 남지 않도록 하면 배수전(52)의 하단부와 배수판(52) 사이에는 어떠한 이물질도 개입하지 않게 되므로 안정된 차폐력을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외주연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 배수판(52)의 중앙에는 일정한 높이로 봉형상의 가이드 로드(52a)가 구비되고, 가이드 로드(52a)는 스프링 홀더(51)의 내부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스프링 홀더(51)의 내부에서 외주연을 따라 스프링(53)이 탄설되게 하며, 상단부에는 스프링(5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 조절 볼트(54)가 결합되도록 한다.
스프링 홀더(51)는 상향 개방되도록 한 상단부로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나사캡(55)으로 커버되며, 가이드 로드(52a)가 인출입되는 단부에서도 실링이 이루어지게 하여 내부로는 외부로부터 오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배수판(52)과 이 배수판(52)의 승강 조절 수단이 개선되도록 하는 외에도 본 발명은 배수전(50)이 상측판부(10)의 제2 안치홈(13)에 안치되는 구성을 배수전(5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제2 안치홈(13)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아니면 분리될 수도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전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전(50)은 상단부가 일부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일정 각도로 플랜지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 플랜지면이 안치되는 제2 안치홈(13)에는 원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ㄱ자형의 걸림턱(13a)이 형성되도록 한다.
제2 안치홈(13)에 형성되는 걸림턱(13a)은 플랜지면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로서 안쪽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일단부는 막혀지게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제2 안치홈(13)에 배수전(50) 상단의 플랜지면이 안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배수전(50)을 회전시키게 되면 배수전(50)의 플랜지면이 걸림턱(13a)의 내부 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거나 내부 공간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배수전(50)의 플랜지면이 걸림턱(13a)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 배수전(50)은 상하 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되므로 배수판(52)에 의해 배수전(50)의 하단부가 차폐되어 있는 상태에서 만일 하층으로부터 오수가 역류해오게 되더라도 배수전(50)이 상부로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배수전(50)에는 내부로 그 상부에 구비되는 거름망(40)에 형성되는 배출공(41)보다는 작은 크기로서 통공(56a)이 바닥면으로 형성한 거름관(56)이 수용되도록 한다.
거름관(56)은 배수전(50)의 상단부 외주면과 스프링 홀더(51)간을 연결되도록 한 리브(50a)와 스프링 홀더(51)에 걸쳐지게 하면서 이들 사이로 일정 높이를 하향 연장되도록 하는 컵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거름관(56)은 배수전(50)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거름관(56)에서는 거름망(40)을 통해 걸러지지 않는 좀더 작고 미세한 이물질들 즉, 머리카락이나 실밥 등이 걸러지게 하여 배수전(50) 하단부와 배수판(52) 사이에서의 이물질 개입을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판(52)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수판(52)의 닫힘 동작을 지연시키는 닫힘지연기구(60)를 구비한다.
닫힘지연기구(6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판(52)의 하부 중앙에 고정되어 배수판(52)과 함께 승,하강 가능하게 된 커버체(61)를 구비한다. 커버체(61)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되어 있으며, 내부에 압축판(62)이 설치된다.
압축판(62)은 원형의 판체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스페이스기둥(61a)에 의해 커버체(61)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연결되며, 커버체(61)의 내벽과 틈새를 형성하도록 커버체(61)의 내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 중앙에 관통구멍(6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체(61)와 압축판(62) 사이에 형성된 틈새는 메쉬망(63)으로 막아 공기나 물은 자유롭게 통과하고 쓰레기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차단하여 압축판(62) 상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압축판(62) 하부의 하측판부(20)에는 복수개의 탄성후크돌기(64a)가 형성된 고정판(64)이 고정되고, 고정판(64)의 탄성후크돌기(64a)에는 바닥판(65)의 가장자리부가 걸림유지되어 고정되며, 압축판(62)과 바닥판(65) 사이에는 압축과 신장이 자유롭게 형성된 주름관(66)이 설치된다.
주름관(66)의 양단은 압축판(62)과 바닥판(65)에 기밀 유지 가능하게 접착제 등의 부착수단으로 부착되고, 이로써 주름관(66) 내부에 공기저장공간(66a)이 형성된다.
압축판(62)에는 관통구멍(62a)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필름(67)이 구비되는 것으로, 개폐필름(67)은 휨 변형이 자유로운 얇은 합성수지재로 제작한 사각형의 필름으로 형성된다. 개폐필름(67)은 관통구멍(62a)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한쪽 끝단이 압축판(62)에 접착제 등의 부착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66)이 압축되어 주름관(66)의 공기저장공간(66a)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쉽게 휨 변형하여 관통구멍(62a)을 개방하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66)이 신장하여 외부의 공기가 주름관(66) 내의 공기저장공간(66a)으로 유입되는 경우, 압축판(62)에 밀착하여 관통구멍(62a)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개폐필름(67)의 중앙에는 상기 관통구멍(62a)보다 작은 미세공기유입구멍(67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미세공기유입구멍(67a)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주름관(66) 내의 공기저장공간(66a)으로 서서히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각 층의 세대별 베란다에 설치되도록 하여 상층과 하층으로 각각 구비되는 수직의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측판부(10)와 하측판부(20)는 통상 건물 시공시 바닥면에 매립되도록 하며, 이렇게 매립된 상측판부(10)의 상부로 일측에서는 지지부(30)가 나사결합되고, 타측에서는 거름망(40)과 배수전(50)이 결합되도록 한다.
지지부(30)는 상단부가 수직의 배수관과 정확하게 조립되게 함과 동시에 하단부가 상측판부(10)에 나사결합되게 하여 수직의 배수관이 상층과 하층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지지부(30)와 대응되는 타측에 결합되는 거름망(40)과 배수전(50)은 우선 배수전(50)이 상측판부(10)의 배출홀(11)을 통해 삽입되면서 상단부의 플랜지면이 상측판부(10)의 제2 안치홈(13)에 안치되도록 한다.
제2 안치홈(13)에서 배수전(50)은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안치홈(13)에 형성되도록 한 걸림턱(13a)에 배수전(50)의 플랜지면이 끼워져 삽입되면서 배수전(50)이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측판부(10)의 제2 안치홈(13)에 고정되면서 하측판부(20)의 층간 배관로(23)로 삽입되는 배수전(50)에는 그 하단부가 배수판(52)에 의해 차단되게 하면서 배수판(52)의 중앙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한 가이드 로드(52a)가 스프링 홀더(51)에 삽입되어 스프링(5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스프링 홀더(51)에서 가이드 로드(52a)의 상단부에는 장력 조절 볼트(54)가 결합되고, 스프링(53)이 가이드 로드(52a)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게 하면서 스프링(53)의 상단은 장력 조절 볼트(54)의 헤드부에 의해 상향 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가이드 로드(52a)를 감싸는 스프링(53)은 압축 스프링이므로 이 스프링(53)의 탄발력에 의해 장력 조절 볼트(54)를 상승시켜 배수판(52)이 배수전(50)의 하단부와 밀착되도록 한다.
장력 조절 볼트(54)의 상부에서 스프링 홀더(51)는 나사캡(55)의 결합에 의해 내부가 오수의 유입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한다.
상측판부(10)의 제2 안치홈(13)에 고정된 배수전(50)의 상부로부터는 거름관(56)이 리브(50a)에 얹혀지면서 리브(50a)들 사이 공간을 통해 일정 높이가 하향 삽입되도록 한다.
거름관(56)은 별도의 고정이 필요없이 배수전(50)의 상단부에서 리브(50a)와 나사캡(55)에 단순히 얹혀지도록 하고, 배수전(50)의 상부에서 제1 안치홈(12)에는 판면에 복수의 배출공(41)을 형성한 거름망(40)의 외주연부가 단순히 얹혀지도록 한다.
한편, 배수판(52)의 하부에 설치되는 닫힘지연기구(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전(50)을 상측판부(10)에 설치하기 전에 설치되는 것으로, 즉, 상측판부(10)의 배출홀(11)을 통해 닫힘지연기구(60)의 고정판(64)을 먼저 하측판부(20)에 나사로 고정하고, 닫힘지연기구(60)의 바닥판(65) 가장자리부를 고정판(64)의 탄성후크돌기(64a)에 끼워 결합한 후, 닫힘지연기구(60)의 커버체(61)에 배수판(52)을 고정함으로써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의 역류 방지형 하수관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의 세대에서 빨래를 하거나 청소를 한 후 버리는 오수가 거름망(40)의 배출공(41)을 통해 배수전(50)으로 유도되게 하면서 비교적 큰 부피나 사이즈의 이물질들이 배출공(41)에 의해 걸러진다.
배수전(50)으로 유도되는 오수는 배수전(50)에 삽입된 거름관(56)을 지나면서 보다 미세한 사이즈의 이물질들도 걸러지게 된다.
거름관(56)을 통과하는 오수로부터 보다 미세한 사이즈의 이물질들이 재차 걸러지도록 하고, 순수한 오수만 배수전(50) 하단부의 배수판(52) 상부면으로 유도되도록 하며, 배수판(52) 상부에 유도되는 오수의 중량이 스프링 홀더(51)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53)의 탄발력을 넘어가게 되면 배수판(52)이 일정 높이를 하강하면서 배수전(50) 하단부와의 간극이 벌어지게 되고, 이 부위를 통해 오수는 층간 배관로(23)와 하수 유도로(24)를 거쳐 수직 배관로(21)로 유도된다.
따라서, 물을 사용한 후 배출이 될 때에는 오수의 자중에 의해 배수전(50) 하단부와 일정 높이를 하강하는 배수판(52) 사이로 일정 높이의 간극이 벌어지면서 오수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특히, 오수의 배출 시 배수판(52)은 판면이 중앙에서 외주연측으로 일정 각도를 하향 경사지도록 하고 있어 그 상부로 유도되는 오수에 비록 거름관(56)의 통공(56a)을 통과한 이물질이 유도되더라도 이 이물질들이 바로 오수와 함께 경사면을 타고 흘러나가게 되므로 배수판(52)에 의해 배수전(50) 하단부를 차폐 시 밀착되는 면으로는 이물질이 개입되지 않게 된다.
거름관(56)을 통해 이중으로 이물질이 걸러지게 한다 하더라도 거름관(56)이 오수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하므로 통공(56a)의 사이즈를 무조건 작게만 형성할 수가 없다.
따라서, 거름관(56)을 통과하더라도 일정 크기의 이물질들이 배수판(52)의 상부로 유도될 수 밖에 없으나 배수판(52) 자체를 중앙에서 외주연 측으로 일정 각도로서 하향 경사지도록 하면 거름관(56)을 통해서 유도되는 이물질일지라도 배수판(52)의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쉽게 흘러 내려 더 이상 배수판(52)에 잔류하지 못하게 된다.
배수판(52)에 이물질이 남지 않게 되면 배수판(52)에 의해 배수전(50)의 하단부를 차폐시키게 될 때 배수판(52)과 배수전(50) 하단부간 밀착이 긴밀해지게 되며, 배수전(50) 하부로부터 역류하게 되는 악취나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배수판(52)에 의한 배수전(50) 하단의 차폐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게 되면 하수구 막힘이나 홍수 등에 의한 하수의 역류 시에도 배수판(52)에 의해서 실내로 하수 및 오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하수와 오수의 역류 시 배수전(50)이 종전과 같이 고정되어 있지 않게 되면 배수전(50) 자체도 하수 및 오수와 함께 실내로 동시에 역류하게 되나 본 발명은 배수전(50)이 제2 안치홈(13)의 걸림턱(13a)에 견고하게 결합된 것이므로 상측판부(10)의 배출홀(11)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일정 기간이 지나게 되면 스프링(53)은 탄성력이 완화될 수 밖에 없으므로 배수판(52)에 의한 배수전(50) 하단부의 차단력이 저하되면서 점차 악취와 소음이 역류하게 되어 세대에서 이를 감지할 수가 있다.
악취와 소음이 감지되면 즉시 배수전(50)을 상측판부(10)로부터 분리시킨 후 스프링 홀더(51)의 상단부에 결합된 나사캡(55)을 열어 장력 조절 볼트(54)를 조작해서 스프링(53) 탄성력을 조절한다.
탄성력 조절은 배수전(50) 하단의 배수판(52)에 의한 차폐력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한 후 배수전(50)을 재차 상측판부(10)에 결합시키게 되면 악취와 소음 역류와 함께 하수 및 오수의 역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수판(52)에서의 이물질 잔류를 방지하는 동시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스프링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배수전(50)을 통한 배수 통로의 기밀성과 차폐 기능이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악취와 소음 뿐만 아니라 하수구 막힘이나 홍수 등에 의한 하수 및 오수의 역류를 원천적으로 방지시킬 수가 있어 안전한 하수관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배수판(52) 하부에 구비된 닫힘지연기구(60)에 의하면,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의 중량에 의해 배수판(52)이 열림 방향으로 하강하여 배수전(50)의 하단부를 개방할 때에는, 배수판(52) 하부에 고정된 커버체(61)가 함께 하강하게 되고, 이로써 커버체(61)에 고정된 압축판(62)도 하강하면서 주름관(66)을 압축시키게 된다.
주름관(66)이 압축될 때에는 공기저장공간(66a)에 있는 공기가 관통구멍(62a)을 통해 배출되려고 하므로, 압축판(62)의 관통구멍(62a)을 폐쇄하고 있는 개폐필름(67)을 휨변형시켜 개방하게 되고, 이로써 공기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되므로 배수판(52)의 하강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오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반대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의 배출량이 줄어들어 배수판(52)에 작용하는 중량이 감소되어 배수판(52)이 닫힘 방향으로 상승하여 배수전(50)의 하단부를 폐쇄할 때에는, 배수판(52) 하부에 고정된 커버체(61)가 함께 상승하게 되고, 이로써 커버체(61)에 고정된 압축판(62)도 상승하면서 주름관(66)을 신장시키게 된다.
주름관(66)이 신장될 때에는 외부의 공기가 관통구멍(62a)을 통해 공기저장공간(66a)으로 유입되려고 하지만, 유입되려는 공기가 개폐필름(67)을 가압하여 압축판(62)에 더욱 밀착시키게 되므로, 관통구멍(62a)이 폐쇄되어 공기는 개폐필름(67)에 형성된 미세공기유입구멍(67a)을 통해서만 공기저장공간(66a)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공기가 미세공기유입구멍(67a)을 통해 유입되므로, 주름관(66)은 서서히 신장하게 되고, 압축판(62), 커버체(61) 및 이에 고정된 배수판(52)도 서서히 상승하게 되므로, 배수전(50)의 하단부를 완전 폐쇄할 때까지의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오수의 배출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오수의 마지막 부분까지 완전히 배출시키거나 최대한 배출시켜 배수판(52)의 폐쇄 후 배수전(50)에 잔류하는 오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10 : 상측판부 11 : 배출홀
12 : 제1 안치홈 13 : 제2 안치홈
13a : 걸림턱 20 : 하측판부
21 : 수직 배관로 22 : 하수 유출구
23 : 층간 배관로 24 : 하수 유도로
60 : 닫힘지연기구 61 : 커버체
62 : 압축판 63 : 메쉬망
64 : 고정판 65 : 바닥판
66 : 주름관 67 : 개폐필름

Claims (1)

  1. 일측에는 빗물 유입구(32)와 함께 하수 유입구(31)를 형성한 지지부(30)의 하단이 나사결합되고, 타측에는 거름망(40)과 함께 그 하부로 스프링(53)에 의해 지지되면서 배수판(52)에 의해 하단부가 개폐되도록 한 배수전(50)이 구비되는 평판의 상측판부(10); 및 일측에는 상기 하수 유입구(31)와 대응되는 하부에 하수 유출구(22)를 형성하고, 상부로부터 상측판부(10)가 끼워맞춤되면서 상기 상측판부(10)에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한 상기 배수전(50)의 하부가 수용되도록 하며, 양측으로 형성한 수직 배관로(21)와 층간 배관로(23)가 연통되도록 하는 하수 유도로(24)를 형성하는 하측판부(20)를 구비하는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전(50)의 하단부를 개폐시키는 상기 배수판(52)은 중앙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배수전(50)의 하단부와 사면접촉되도록 하여 접촉면간 이물질 개입이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판(52)의 중앙에는 일정한 높이로 봉형상의 가이드 로드(52a)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로드(52a)는 상기 배수전(50)의 중앙에 형성한 스프링 홀더(51)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상단부에는 장력 조절 볼트(54)가 결합되어 외측으로 구비되는 스프링(53)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 홀더(51)는 상단부가 나사캡(55)의 결합에 의해 내부가 외부로부터 실링되도록 하며,
    상기 배수전(50)은 상기 상측판부(10)에 안치되는 상단부가 일정 각도로 플랜지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상측판부(10)의 제2 안치홈(13)에 형성한 걸림턱(13a)으로 회전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하층으로부터 역류하는 오수의 압력에 대해서도 상기 상측판부(10)로부터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전(50)에는 상기 거름망(40)의 구멍보다 작은 크기의 통공(56a)을 바닥면으로 형성한 거름관(56)이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판(52) 작동에 간섭을 주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고,
    상기 배수판(52)의 하부에는 배수판(52)의 닫힘 동작을 지연시키는 닫힘지연기구(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닫힘지연기구(60)는, 배수판(52)의 하부 중앙에 고정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커버체(61); 상기 커버체 내에 구비되고 복수개의 스페이스기둥(61a)에 의해 커버체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연결되며 커버체의 내벽과 틈새를 형성하도록 커버체의 내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중앙에 관통구멍(62a)이 형성된 압축판(62); 상기 커버체와 압축판 사이의 틈새를 막는 메쉬망(63); 상기 압축판 하부의 하측판부(20)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탄성후크돌기(64a)가 형성된 고정판(64); 상기 고정판의 탄성후크돌기에 가장자리부가 걸림유지되어 고정되는 바닥판(65); 상기 압축판과 바닥판 사이에 양단이 기밀 유지 가능하게 부착되어 내부에 공기저장공간(66a)을 형성하는 주름관(66); 및 상기 압축판에 한쪽 끝단이 고정되어 관통구멍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휨 변형이 자유로운 얇은 필름으로 이루어져 주름관 내의 공기 배출시 관통구멍을 개방하도록 휨변형하고, 주름관 내로 공기 유입시 공기압에 의해 압축판에 밀착되어 관통구멍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상기 관통구멍보다 작은 미세공기유입구멍(67a)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개폐필름(6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
KR1020130032414A 2013-03-26 2013-03-26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 KR101273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414A KR101273417B1 (ko) 2013-03-26 2013-03-26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414A KR101273417B1 (ko) 2013-03-26 2013-03-26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417B1 true KR101273417B1 (ko) 2013-06-11

Family

ID=4886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414A KR101273417B1 (ko) 2013-03-26 2013-03-26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4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991A (ko) * 2021-06-09 2022-12-16 유진에스알 주식회사 배수트랩
US11846093B2 (en) 2020-09-15 2023-12-19 Joe Pasquesi Waterless floor drain trap val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209U (ko) * 1998-12-24 2000-07-15 윤대진 배수트랩
KR200204330Y1 (ko) 1998-07-10 2000-12-01 오시덕 배수트랩
JP2002524674A (ja) 1998-09-03 2002-08-06 キム,ジョン,サン 下水溝の逆流防止装置
KR20100136387A (ko) * 2009-06-18 2010-12-28 김종선 악취 및 하수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330Y1 (ko) 1998-07-10 2000-12-01 오시덕 배수트랩
JP2002524674A (ja) 1998-09-03 2002-08-06 キム,ジョン,サン 下水溝の逆流防止装置
KR20000013209U (ko) * 1998-12-24 2000-07-15 윤대진 배수트랩
KR20100136387A (ko) * 2009-06-18 2010-12-28 김종선 악취 및 하수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6093B2 (en) 2020-09-15 2023-12-19 Joe Pasquesi Waterless floor drain trap valve
KR20220165991A (ko) * 2021-06-09 2022-12-16 유진에스알 주식회사 배수트랩
KR102624945B1 (ko) * 2021-06-09 2024-01-15 유진에스알 주식회사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2553B2 (ja) 建造物内の排水設備
AU2014270126A1 (en) Drainage fitting
KR101050739B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101273417B1 (ko) 아파트 베란다를 관통하는 역류 방지형 하수관
KR20048289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462476Y1 (ko) 하수구용 냄새역류방지장치
KR20048252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0658160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배수구조
KR101701804B1 (ko) 공동주택의 드레인 환경 개선용 배관라인
KR20100033034A (ko) 욕실의 배수시스템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CN212715270U (zh) 建筑装置地漏
KR102070905B1 (ko) 배수트랩
KR200417636Y1 (ko) 배수트랩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KR100481792B1 (ko) 하수관의 냄새 및 소음 방지 장치
CN209958469U (zh) 一种多功能水封地漏
KR101333988B1 (ko) 다양한 조건의 오배수관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통기트랩
KR20220076764A (ko) 통합 벤트 드레인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100886962B1 (ko) 트랩 및 상기 트랩이 구비되는 트렌치
KR101649283B1 (ko)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수직배수관 연결구
JP2014119111A (ja) 排水用低位通気弁
CN208072594U (zh) 一种侧排水地漏
KR200401683Y1 (ko) 악취 유입 방지용 배수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