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537B1 - 배수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수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537B1
KR100356537B1 KR1019970063540A KR19970063540A KR100356537B1 KR 100356537 B1 KR100356537 B1 KR 100356537B1 KR 1019970063540 A KR1019970063540 A KR 1019970063540A KR 19970063540 A KR19970063540 A KR 19970063540A KR 100356537 B1 KR100356537 B1 KR 100356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pipe
sump
large diame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주훈
Original Assignee
오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주훈 filed Critical 오주훈
Priority to KR1019970063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537B1/ko

Links

Images

Abstract

베란다 등에 배수조의 설치공간을 대폭 축소시켜 활용공간을 확보가능하게 한 배수관 조립체에 대해 개시한다. 이 조립체는 상/하부 개구부(14)(15)를 가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하부 개구부에 하층의 대경배수관(61b)과 소경배수관(62b)이 동심으로 결합되며 상부 개구부에 상층의 대경배수관(61a)과 소경배수관(62a)이 동심으로 결합되는 배수조(10)와; 배수조의 상부 개구부에 안착되며 상층의 대경배수관과 연통되고 그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연결관(31)과 바닥으로부터 생활용수가 유입되며 배수조의 상부 개구부에 위치되는 유입구(32)가 형성된 마감부재(30)와; 일단이 연결관과 나사결합되며 타단부에 상층의 대경배수관이 결합지지되는 제1상하조정관(50)을 구비한다. 이러한 배수관 조립체는 우수와 생활용수를 하나의 배수조를 통해 배수시킴으로써, 배수조의 설치공간을 최소한으로하여 베란다 등의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관 조립체
본 발명은 베란다 또는 옥상의 빗물 또는 오수가 배수되는 배수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우수와 생활하수를 하나의 배수조를 통해 집수하여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 배수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의 욕실이나 베란다에는 생활하수 및 우수가 배출되는배수관 조립체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관 조립체는 상/하층간의 배수관을 연결하도록 각 층마다 마련되므로, 낙하되는 우수/생활하수등으로 인한 소음 및 악취의 역류가 고려되어야 한다.
한국 특허 출원번호 97-8274호에 개시되고 도1에 도시된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배수관 조립체는, 한국 실용신안 공고 81-2524호 및 실용신안 공고 96-5423호에 개시된 배수트랩의 채용시 발생되는 소음/악취를 대폭 경감시킨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하층에 각각 설치되는 배수트랩 사이에 위치편차가 발생될 경우 이를 조정하여 정확한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즉, 도1을 참조하면, 이는 메인배수조(100)와 서브배수조(200)가 베란다 등의 콘크리트(300)에 그 상하면이 노출되도록 매설되어 옥상으로부터 낙하되는 빗물 또는 폐수와 각층에서의 생활하수를 함께 배수시킬 수 있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메인배수조(100)와 서브배수조(200)는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메인배수조(100)에는 서브배수조(200)를 통해 집수되는 생활하수가 배수되는 대경배수관(120)(110)과 옥상등에서 우수가 배수되는 소경배수관(121)(111)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배수조(100)에는 중공의 호퍼(1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호퍼(150)의 내주면에는 상층 대경배수관(120)으로부터 배수되는 빗물 또는 폐수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경사날개(152)가 형성되어 있다.
서브배수조(200)에는 각층의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02)가 형성되어있다.
한편, 메인배수조(100)의 내측에는 대경배수관(120)의 높이를 조정하는 상하조정관(190)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배수조(100)와 서브배수조(200)의 상부에는 일측에 상층 배수관 (120)(121)이 관통되는 제1관통공(401)이 형성되고 타측에 생활하수 유입구(202)와 연통하는 제2관통공(402)이 형성된 마감부재(400)가 마련되어 있다. 마감부재(400)의 제1관통공(401)의 가장자리에는 상하조정관(190)과 대경배수관(120)의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시키는 차폐부(403)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수관 조립체는 옥상으로부터 배수되는 빗물 또는 폐수와 각층에서 배수되는 생활하수를 각각 소경배수관(121)(111)과 대경배수관(120)(110)으로 분리하여 배수시키게 하므로 배수에 따른 소음을 대폭 경감할 수 있게 하고, 배수관의 조정을 가능하게하여 정확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가지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상호 분리된 메인배수조(100)와 서브배수조(200)를 통하여 우수와 생활하수를 각각 배수시키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관리부품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설치면적이 크므로 베란다 등의 활용공간이 좁게된다.
둘째, 대경배수관(120)에 마감부재(40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하조정관 (190)를 조정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음과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우수와 생활하수를 함께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조의 설치공간을 최소한으로하여 베란다 등의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고, 부품수가 대폭절감된 배수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배수관의 높이조정이 간편하도록 개량된 배수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세째,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고 배수 소음이 저감되도록 된 배수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네째, 상/하층간에 배수구(排水口)의 위치에 편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편차를 조정하여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개량된 배수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배수관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 배수관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 조립체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5는 본 발명 조립체중 생활하수의 유입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도5의 조립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배수조 20...호퍼
30...마감부재 40...차폐관
50...제1상하조정관 36...여과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상/하부 개구부를 가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하부 개구부에 하층의 대경배수관과 소경배수관이 동심으로 결합되며, 상부 개구부에 상층의 대경배수관과 소경배수관이 동심으로 결합되는 배수조와;
상기 배수조의 상부 개구부에 안착되며, 상기 상층의 대경배수관과 연통되고 그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연결관과, 바닥으로부터 생활하수가 유입되며 배수조의 상부 개구부에 위치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마감부재와;
일단이 상기 연결관과 나사결합되며 타단부에 상기 상층의 대경배수관이 결합지지되는 제1상하조정관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이는 베란다 등의 콘크리트(1)에 그 상하면이 노출되도록 매설되고, 상/하부 개구부(14)(15)를 가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하부 개구부(15)에 하층의 대경배수관(61b)과 소경배수관(62b)이 동심으로 결합되며, 상부 개구부(14)에 상층의 대경배수관(61a)과 소경배수관(62a)이 동심으로 결합되는 배수조(10)와; 이 배수조(10)의 상부 개구부(14)에 안착되며, 상층의 대경배수관 (61a)과 연통되고 그 내주면에 나사부(31a)가 형성된 연결관(31)과, 바닥으로부터 생활하수가 유입되며 배수조(10)의 상부 개구부(14)에 위치되는 유입구(32)가 형성된 마감부재(30)와; 일단이 연결관(31)과 나사결합되며 타단부에 상층의 대경배수관(6la)이 결합지지되는 제1상하조정관(5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층의 대경배수관 (61a)의 길이가 짧더라도 상기 제1상하조정부재(50)의 상하조정으로 그 길이차이를 극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재(30)에는 연결관(31)의 둘레에 환형의 둘레홈(37)이 형성되어 있고, 이 둘레홈(37)에는 차폐관(40)이 결합되어 있다. 이 차폐관(40)은 연결관(31)과 제1상하조정관(50)의 결합부분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시킨다.
또한, 배수조(10)의 하부 개구부(15)가장자리에는 하층의 대경배수관(61b)이 결합되고, 하부 개구부 중앙에는 하층의 소경배수관(62b)이 연결되는 하부 환형리브(11)와 상층의 소경배수관(62a)이 연결되는 상부 환형리브(13)가 복수의 연결리브(13)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일단이 상기 상부 환형리브(12)에 결합되고 그 중앙에 신축가능한 주름부(74a)가 형성된 경사보상관(74)과, 이 경사보상관(74)의 타단에 그 일단이 치합되고 타단에 상기 상층의 소경배수관(62a)이 연결되는 제2상하조정관(75)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층의 소경배수관(62a)의 길이에 편차가 있더라도 제2상하조정관(75)으로 그 높이를 조정하여 편차를 줄일수 있으며, 또한 상하층간의 배수구위치에 좌우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주름부(74a)의 굴곡으로 그 편차를 극복할 수 있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상기 유입구(32)에는 그 가장자리로부터 배수조(10) 내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하수가 일시저장되며 메인격벽 (35)을 가지는 집수조(33)와, 메인격벽(35)을 넘어서 배수조(10)측으로 생활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입구(32)에는 여과부재(36)가 결합되는 바, 이 여과부재(36)는 상기 배출구(34) 상부와 집수조(33) 상부의 일부분을 덮는 덮개부(36a)와, 집수조 (33) 상부의 나머지부분을 덮으며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그릴부(36b)와, 덮개부 (36a)와 그릴부(36b)의 경계부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서브격벽(36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수조(10)에는 내주면에 상층 대경배수관(61a)으로 부터 배수되는 우수가 와류로 형성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브레이드(21)가 형성된 호퍼(20)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조립체의 시공순서 및 그 작동은다음과 같다.
먼저, 배수조(10)는 그 상하면이 노출되도록 콘크리트(1)에 타설된다. 그리고 상부환형리브(12)에는 경사보상관(74)을 결합시키고, 그 경사보상관(74)의 타측에는 제2상하조정관(75)을 나사결합시킨다.
이어서, 배수조(10)의 상부에 마감부재(30)를 안착시키고, 둘레홈(37)에 차폐관(4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연결관(31)에 제1상하조정관(50)을 나사결합시킨다. 이어서 상층의 소경배수관(62a)을 제2상하조정관(75)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2상하조정관(75)을 회전시켜 그 높이 조절을 한다.
이후 상층의 대경배수관(61a)을 제1상하조정관(5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1상하조정관(50)을 회전시키면서 높이 조절을 한다. 이어서 유입구(32)에 여과부재 (36)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시공된 배수관 조립체는 옥상으로부터 배출되는 우수는 소경배수관(62a)(62b)을 통해 배수되게 되고, 각층에서 사용된 생활하수는 유입구(32)를 통해 배수조(10)로 유입되어 대경배수관(61a)(61b)을 통해 배수되게 된다. 이때 생활하수는 호퍼(20)의 브레이드(21)에 의해서 와류를 형성하면서 배출되게 되므로 배출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배출소음을 경감시킨다.
한편,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유입구(32)를 통해 유입된 생활하수는 집수조 (33)에 일시 저장되게 되고, 메인격벽(35)을 넘은 생활하수는 배출구(34)를 통하여 배수조(10)로 배출된다. 이때 서브격벽(36c) 및 집수소(33)에 저장된 생활하수에 의해서 배수조(10)가 차단되게 되므로 배수조(10)로부터의 악취가 역류되는 것이방지된다.
첫째, 우수와 생활하수를 하나의 배수조를 통해 배수시킴으로써, 배수조의 설치공간을 최소한으로하여 베란다 등의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종래 우수와 생활하수를 별도의 배수조를 통해 배출시켰던 것과는 달리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외부로 노출된 제1상하조정관을 회전시켜서 상층 대경배수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므로 그 조정이 간편하다.
세째, 배수조의 내부공간을 생활하수와 서브격벽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악취의 역류를 방지한다.
네째, 상/하층간에 배수구(排水口)의 위치에 편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사보상관을 구비함으로써, 그 편차를 조정하여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상/하부 개구부를 가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하부 개구부에 하층의 대경배수관과 소경배수관이 동심으로 결합되며, 상부 개구부에 상층의 대경배수관과 소경배수관이 동심으로 결합되는 배수조와;
    상기 배수조의 상부 개구부에 안착되며, 상기 상층의 대경배수관과 연통되고 그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연결관과, 바닥으로부터 생활하수가 유입되며 배수조의 상부 개구부에 위치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마감부재와;
    일단이 상기 연결관과 나사결합되며 타단부에 상기 상층의 대경배수관이 결합지지되는 제1상하조정관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가장자리로부터 배수조 내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하수가 일시저장되며 메인격벽을 가지는 집수조와, 상기 메인격벽을 넘어서 배수조측으로 생활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 상부와 집수조 상부의 일부분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집수조 상부의 나머지부분을 덮으며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그릴부와, 상기 덮개부와 그릴부의 경계부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서브격벽을 가지는 여과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그릴부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하수가 상기 집수조의 바닥과 서브격벽의 하단부 사이를 경유하고, 덮개부와 메인격벽 상단부 사이를 경유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수조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조의 하부 개구부 가장자리에 하층의 대경배수관이 결합되고, 하부 개구부 중앙에 하층의 소경배수관이 연결되는 하부 환형리브와 상층의 소경배수관이 연결되는 상부 환형리브가 복수의 연결리브로 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상부 환형리브에 결합되고 그 중앙에 신축가능한 주름부가 형성된 경사보상관과, 상기 경사보상관의 타단에 그 일단이 치합되고 타단에 상기 상층의 소경배수관이 연결되는 제2상하조정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내주면에 상기 상층 대경배수관으로 부터 배수되는 우수가 와류로 형성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브레이드가 형성된 호퍼가 상기 배수조에 결합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조립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연결관의 둘레에 환형의 둘레홈이 형성되고, 상기 둘레홈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관과 제1상하조정관의 결합부분을 차폐시키는 차폐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조립체.
KR1019970063540A 1997-11-27 1997-11-27 배수관 조립체 KR100356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540A KR100356537B1 (ko) 1997-11-27 1997-11-27 배수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540A KR100356537B1 (ko) 1997-11-27 1997-11-27 배수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6537B1 true KR100356537B1 (ko) 2003-01-24

Family

ID=3749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540A KR100356537B1 (ko) 1997-11-27 1997-11-27 배수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333B1 (ko) * 2010-06-11 2013-05-28 오주훈 우수·오수 배수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333B1 (ko) * 2010-06-11 2013-05-28 오주훈 우수·오수 배수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9855A (zh) 组合式排水装置
KR100356537B1 (ko) 배수관 조립체
CN215906932U (zh) 一种l型卫生间微降板同层排水系统
CN112962727A (zh) 一种l型卫生间微降板同层排水系统
CN215906924U (zh) 一种局部降板排水系统
KR19980056016U (ko)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CN213014511U (zh) 一种预埋加强型单立管汇集器管件
KR200375384Y1 (ko) 조립식 이중 배수트랩
CN213062258U (zh) 一种加强型单立管汇集器管件
KR200286057Y1 (ko) 배수트랩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CN212896642U (zh) 一种建筑排水汇集总成
KR200289780Y1 (ko) 배수트랩
KR200305922Y1 (ko) 배수배관용 연결 플로어
CN215406341U (zh) 一种预埋型单立管同层排水管件系统
KR200204330Y1 (ko) 배수트랩
KR100265162B1 (ko) 배수관조립체
KR200204327Y1 (ko) 배수트랩
CN215630428U (zh) 一种点降板同层排水单立管排水管件系统
CN216075370U (zh) 一种蹲便器用微降板l型卫生间排水系统
CN212984136U (zh) L型集中水封地漏组件
KR200262382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171769Y1 (ko) 배수트랩
CN112962752A (zh) 一种局部降板排水系统
CN208251278U (zh) 侧排防臭地漏
KR100451895B1 (ko) 배수트랩에 있어서 이물질 걸림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