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333B1 - 우수·오수 배수 구조물 - Google Patents
우수·오수 배수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8333B1 KR101268333B1 KR1020110041651A KR20110041651A KR101268333B1 KR 101268333 B1 KR101268333 B1 KR 101268333B1 KR 1020110041651 A KR1020110041651 A KR 1020110041651A KR 20110041651 A KR20110041651 A KR 20110041651A KR 101268333 B1 KR101268333 B1 KR 1012683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ing cover
- inner tube
- drainage
- space
- fast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오수를 배출하는 배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내부관; 상기 내부관의 반경방향 외부에 소정의 배수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외부 우수·오수 안내부; 상기 배수공간을 상부로부터 개폐하는 차단커버; 및 상기 차단커버를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 우수·오수 안내부 중 어느 하나에 밀착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메인 우수·오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 및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배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의 우수·오수관은 상층으로부터 배출된 우수·오수가 하층으로 내려오면서 각 층의 배수 구조물을 통하여 층마다 합류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우수·오수관을 다수 층에서 공동으로 사용함에 있어 우수·오수관의 악취가 배수 구조물을 통해 각 층으로 역류하고 우수·오수가 내려가는 소음이 각 층으로 전달되는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거주자에게 상당한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수·오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배수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은, 우수·오수를 배출하는 배수 구조물에 있어서, 내부관; 상기 내부관의 반경방향 외부에 소정의 배수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외부 우수·오수안내부; 상기 배수공간을 상부로부터 개폐하는 차단커버; 및 상기 차단커버를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 우수·오수 안내부 중 어느 하나에 밀착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커버와 내부관 사이 및 상기 차단커버와 외부 우수·오수 안내부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차단커버의 내면과 상기 내부관의 외면 중 하나에 마련된 숫나사부, 및 상기 차단커버의 내면과 상기 내부관의 외면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숫나사부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차단커버의 내면과 상기 내부관의 외면 중 하나에 마련된 돌출부; 및 상기 차단커버가 상기 배수공간으로부터 이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차단커버가 상기 배수공간을 밀폐하는 폐쇄위치 사이의 이동, 및 상기 차단커버가 폐쇄위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체결위치와 상기 폐쇄위치 사이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차단커버의 내면과 상기 내부관의 외면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돌출부를 안내하는 체결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우수·오수안내부의 배수 공간은 분리벽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되, 상기 복수의 분할 공간 중 적어도 일부는 내부관과 서로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는 폐쇄되어 있고, 복수의 분할 공간은 배수공간의 높이보다 낮은 분리벽에 의해 상부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 구조물은 차단부와 개방부를 포함하는 이물질필터부를 상기 배수공간에 삽입하되, 상기 차단부는 내부관과 연결되지 않은 분할공간에 높이고, 상기 개방부는 페쇄되어 있는 분할공간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필터부와 외부 우수·오수안내부는 회전방지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필터부와 외부 우수·오수안내부는 회전방지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커버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고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 구조물은 상기 내부관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부관과; 상기 내부관과 상부관 사이에 개재되는 제3의 실링부재와; 상기 제3의 실링부재가 상기 내부관과 상부관 사이를 실링할 수 있도록 가압하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수 구조물에 의하면 악취 및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실링부재로 밀봉되기 때문에, 우수·오수관의 악취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미사용시에는 차단커버로 완전 밀봉하다가, 필요 시 오픈시켜 오수·우수를 배출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구조물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 구조물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 구조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 구조물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구조물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구조물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수 구조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이물질필터부와 외부 우수·오수 안내부를 고정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커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 구조물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 구조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 구조물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구조물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구조물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수 구조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이물질필터부와 외부 우수·오수 안내부를 고정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커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수 구조물(1)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상하좌우에 대한 방향 기준은 도면을 정면에서 보는 기준을 기초로 설정되었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 구조물(1)은 내부관(10); 상기 내부관(10)의 반경방향 외부에 소정의 배수공간(28)을 두고 배치되는 외부 우수·오수안내부(20); 상기 배수공간(28)을 상부로부터 개폐하는 차단커버(40); 및 상기 차단커버(40)를 상기 내부관(10)과 상기 외부 우수·오수안내부(20) 중 어느 하나에 밀착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체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관(10)은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의 상층에서 배출되는 우수·오수를 하층으로 안내하는 메인 우수·오수관(미도시)을 고정하는 것으로, PVC(polyvinyl chloride), PE(polyethylene)등의 플라스틱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내부관(10)은 생략가능하며, 우수·오수를 하층으로 안내하는 메인 우수·오수관(미도시)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내부관(10)은 하부 외면에 제2 암나사부(54b)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암나사부(54b)는 후술되는 상기 외부 우수·오수안내부(20)의 제1직립부(22) 내면에 마련된 제2 숫나사부(52b)에 끼워져 나사 체결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우수·오수안내부(20)는 상기 내부관(10)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1직립부(22); 상기 제1직립부(22)와 배수공간(28)을 두고 배치되는 원통형의 제2직립부(24); 상기 제1직립부(22)와 제2직립부(24) 사이를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9)가 형성된 바닥부(25), 및 제2직립부(24)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하는 고정지지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직립부(22)는 상부 외면에 마련된 제1 숫나사부(52a) 및 하부 내면에 마련된 제2 숫나사부(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직립부(24)는 상기 제1직립부(22)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배수공간(2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직립부(22)와 제2직립부(24)는 바닥부(25)에 의해 하단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5)는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개구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9)는 내부관(10)과 연결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흘러들어오는 우수·오수를 안내하여 내부관(10)에 합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부(26)는 외부 우수·오수안내부(20)를 상기 내부관(10)이 통과하는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수공간(28)을 둘러싸도록 제1 삽입홈(27)에 삽입된 제1실링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재(60)는 일부가 고정지지부(26) 상면에 돌출하도록 상기 제1삽입홈(27)에 삽입될 수 있다. 돌출된 제1실링부재(60)는 후술하는 상기 차단커버(40)의 저면(44)에 밀착되어 상기 배수공간을 외부로부터 밀봉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차단커버(40)는 내면의 제2삽입홈(42)에 삽입된 제2실링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재(62)는 상기 제1실링부재(60)와 마찬가지로 제2삽입홈(42)에 일부가 돌출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돌출된 제2실링부재(62)는 상기 제1직립부(22)의 외면에 있는 걸림턱(23)에 밀착되어 내부관(10) 및 배수공간(28)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재(60) 및 제2실링부재(62)는 고무링, 실리콘패드, 고무패드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탄성물질을 상기 고정지지부(26)의 상면 및 차단커버 내면에 부착하거나 코팅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링부재(60) 및 제2실링부재(62)는 차단커버(40)의 저면(44) 및 제1직립부의 걸림턱(23)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실링부재(62)는 차단커버(40) 내면과 제1직립부(23)의 상단 사이에만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내부관(10)의 외측면까지 확장할 수 있도록 하면 제1직립부(23)와 내부관(10)의 제1숫나사부(52a) 사이를 추가로 밀봉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실링부재(60) 및 제2실링부재(62)는 체결부(50)의 체결력만으로 배수공간(28)의 차단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단커버(40)는 상부 내면에 제1 암나사부(5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암나사부(54a)는 상기 직립부(22)의 상부 외면에 마련된 제1 숫나사부(52a)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직립부(22)에 제1 숫나사부(52a) 대신에 제1 암나사부(54a)가 마련되면, 차단커버(40)에는 제1 숫나사부(52a)가 마련되어야 한다.
상기 차단커버(40)는 제1직립부(22)와의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배수공간(28)의 상부를 폐쇄 및 개방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커버(40)는 배수가 필요할 때는 상기 배수공간(28)을 개방시키고, 배수가 필요 없을 때에는 상기 배수공간(28)을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차단커버(40)의 개방과 폐쇄는 상기 내부관(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차단커버(40)를 돌려서 나사 체결을 계속 진행하면, 상기 차단커버(40)의 저면(44)과 고정지지부(26)의 상면에 돌출된 제1실링부재(60)가 접촉하고 동시에 상기 차단커버(40)의 내면에 배치되어 돌출한 제2실링부재(62)와 상기 제1직립부재(22)의 걸림턱(23)이 접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차단커버(40)를 조금 더 돌려 나사 체결을 더 진행하면 탄성체인 제1실링부재(60)와 제2실링부재(62)가 모두 탄성 변형되어 배수공간(28)은 차단커버(400에 의해 완전 밀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차단커버(40)의 저면부를 상기 배수공간(28)에 억지끼움에 의해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억지끼움되는 차단커버(40)의 저면부는 탄성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공간(28)에는 이물질필터부(30)가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우수·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우수·오수안내부(20)의 배수 공간(28)은 분리벽(210)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된다.
상기 복수의 분할 공간 중 적어도 일부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내부관(10)과 서로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는 하부가 폐쇄되어 있다. 이때, 분리벽(21)은 각 분할공간 높이보다 낮게 설계되어야 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물질필터부(30)는 차단부(32)와 개방부(34)를 포함한다. 이물질필터부(30)는 배수공간(28)에 삽입하되, 차단부(32)는 하부가 개방된 분할공간에 위치하고 개방부(34)는 하부가 폐쇄된 분할공간에 놓이도록 한다.
따라서, 오수·우수는 외부로부터 이물질필터부(30)의 개방부(34)를 통해 하부가 폐쇄된 분할공간로 들어가 채워지며, 이렇게 채워진 오수·우수는 분리벽(21)을 넘어 옆의 하부가 개방된 분할공간으로 흘러들어간다. 결과적으로 오수·우수는 분할공간의 하부를 통해 내부관(10)으로 흘러들어간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오수·우수의 이물질은 1차로 이물질필터부(30)를 통해 걸러지며, 2차적으로 하부가 폐쇄된 분할공간(32)의 바닥에 침전되어 걸러지게 된다.
또한, 우수·오수가 흘러들어가는 경로에서 개구부(29)가 없는 인접 분할공간에 우수·오수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메인 우수·오수관으로부터 나오는 악취나 소음을 막아준다.
상기 외부 우수·오수안내부(20)는 PVC(polyvinyl chloride), PE(polyethylene) 등의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우수·오수 안내부(20)는 내부관(10)이 관통하는 콘크리트 바닥을 성형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숫나사부(52a)와 제1 암나사부(54a)로 이루어진 체결부(50)는 다양한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면으로 나타내지 않았지만, 제1 숫나사부(52a)는 상기 차단 커버(30)의 하부 외면에 배치되고, 제1 암나사부(54a)는 상기 외부 우수·오수안내부(20)의 고정지지부(26)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지지부(26)는 차단커버(30) 하부 외면의 제1 숫나사부(52a)와 나사 체결되기 알맞도록 제작될 필요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구조물의 단면도로서, 외부 우수·오수안내부(20)는 내면에 제2 숫나사부(52b)가 마련된 제1직립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관(10)의 외면 하부에는 상기 제1직립부(22)의 제2 숫나사부(52b)와 나사 체결되는 제2 암나사부(54b)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차단커버(40)의 제1 암나사부(54a)와 나사 체결되는 제1 숫나사부(52a)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차단커버(40)는 상기 내부관(10)에 나사 체결되어 내부공간(28)을 폐쇄 및 개방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외부 우수·오수안내부(20)의 제1직립부(22)는 내면에만 나사 결합을 위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내외면 모두에 나사 구조를 마련하는 것보다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50)는 제1 숫나사부(52a)와 제1 암나사부(54a)로 구성하는 외에도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도 6에 개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50)는 차단커버(40)의 내면에 마련된 돌출부(56) 및 외부 우수·오수안내부(20)의 제1직립부(22) 외면에 마련되어 상기 돌출부(56)를 안내하는 체결안내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안내부(58)는 제1직립부의 상하방향으로 마련된 세로홈(58a)과 가로방향으로 마련된 가로홈(58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커버(40)의 돌출부(56)는 상기 체결안내부(58)의 세로홈(58a)에서 상하 이동하여 차단커버(40)가 상기 배수공간(28)으로부터 이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배수공간(28)을 밀폐하는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커버(40)의 돌출부(56)는 상기 체결안내부(58)의 가로홈(58b)으로 이동하여 상기 차단커버(40)가 폐쇄위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체결위치와 상기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차단커버(40)의 돌출부(56)는 상기 체결안내부(58)의 세로홈(58a)를 통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는데, 최하단까지 내려오기 바로 전에 제1실링부재(60)와 제2실링부재(62)에 접촉하여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때, 차단커버(40)에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 탄성체인 제1실링부재(60)과 제2실링부재(62)가 변형되어 조금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차단커버(40)는 제1실링부재(60) 및 제2실링부재(62)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차단커버(40)의 돌출부(56)는 가로홈(58b)으로 이동하여 체결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차단커버(40)의 체결을 해제하여 개방위치로 이동시킬 때는, 상기 돌출부(56)가 세로홈(58a)에 위치되도록 차단커버(40)를 회전시킨 후, 세로홈(58a)을 따라 최상부까지 올라가면 차단커버(40)는 개방 위치가 된다. 이때, 최상단에 위치된 돌출부(56)는 가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차단커버(40) 자체 하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막아준다.
이와 같은 도 6의 구조에 의하면 차단커버(40)는 편리하게 배수공간(28)을 폐쇄 및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수 구조물의 분해사시로서, 배수 구조물(1)은 상기 내부관(10)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부관(16)과; 상기 내부관(10)과 상부관(16) 사이에 개재되는 제3의 실링부재(12)와; 상기 제3의 실링부재(12)가 상기 내부관(10)과 상부관(16) 사이를 밀착시키도록 하는 조임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관(10)은 상부에 상부관(16)이 삽입되는 입구(11)를 포함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관(10)의 상부에는 제3의 실링부재(12)가 놓인다.
제3의 실링부재(12)는 하측의 연장하는 링 형상의 끼움부(13)를 포함하고 있다. 끼움부(13)는 내부관(10)과 상부관(16)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조임부(14)는 상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축소되는 확장부(15) 및 내면에 제3암나사부(56a)를 포함한다. 조임부(14)는 내부관(10)과 상부관(16)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관 외부에 형성된 제3숫나사부(56b)와 제3암나부(56a)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확장부(15)의 내면과 상기 내부관(10) 상단에 놓인 제3실링부재를 가압하여 내부관(10)과 상부관(16) 사이를 실링하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물질필터부(30)와 외부 우수·오수 안내부(20)를 회전방지부(29,36)에 의해 고정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이물질필터부(30)가 배수공간(28)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개방부(34)와 하부가 폐쇄된 분할공간이 서로 일치하게 되어 오수·우수가 직접 내부관으로 흘러들어갈 수가 있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우수·오수안내부(20)의 정해진 위치에 돌기(29)를 형성하고, 이물질필터부(30)에 상기 돌기(29)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부(36)를 형성하여 서로 분리가능하게 고정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커버(40)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고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그립부(46)를 포함하고 있다. 그립부(46)는 나사 체결되는 차단커버(40)는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립부(46)를 통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구조에서는 제2실링부재(62)가 배수공간(28)에서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즉, 제2실링부재(62)가 차단커버(40)와 내부관(10)이 체결된 위치 앞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관(10)과 제1직립부(22) 사이 및 내부관(10)과 차단커버(10)의 사이를 연결하는 경로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아 냄새나 악취가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커버(40)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커버(40)와 제1직립부(22)를 먼저 체결한 후, 내부관(10)과 제1직립부(22) 사이 및 내부관(10)과 차단커버(10)의 사이의 경로들이 만나는 위치에 제2실링부재(62)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실링부재(62)를 배치하면, 악취나 오염이 배출될 수 있는 경로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1 : 배수 구조물 10 : 내부관
20 : 외부 우수·오수안내부 22 : 제1직립부
23 : 걸림턱 24 : 제2직립부
25 : 바닥부 26 : 고정지지부
27 : 제1 삽입홈 28 : 배수공간
29 : 개구부 30 : 이물질필터부
40 : 차단커버 42 : 제2 삽입홈
50 : 체결부 52a : 제1 숫나사부
54a : 제1 암나사부 52b : 제2 숫나사부
54b : 제2 암나사부 56 : 돌출부
58 : 체결안내부 60 : 제1 실링부재
62 : 제2 실링부재
20 : 외부 우수·오수안내부 22 : 제1직립부
23 : 걸림턱 24 : 제2직립부
25 : 바닥부 26 : 고정지지부
27 : 제1 삽입홈 28 : 배수공간
29 : 개구부 30 : 이물질필터부
40 : 차단커버 42 : 제2 삽입홈
50 : 체결부 52a : 제1 숫나사부
54a : 제1 암나사부 52b : 제2 숫나사부
54b : 제2 암나사부 56 : 돌출부
58 : 체결안내부 60 : 제1 실링부재
62 : 제2 실링부재
Claims (9)
- 우수·오수를 배출하는 배수 구조물에 있어서,
내부관;
상기 내부관의 반경방향 외부에 소정의 배수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외부 우수·오수안내부;
상기 배수공간을 상부로부터 개폐하는 차단커버;
상기 차단커버와 상기 내부관 또는 상기 외부 우수·오수 안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단커버를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 우수·오수 안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차단커버와 내부관 사이 및 상기 차단커버와 외부 우수·오수안내부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에 의한 밀착 체결이 상기 차단커버가 상기 실링부재를 가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구조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차단커버의 내면과 상기 내부관의 외면 중 하나에 마련된 숫나사부, 및
상기 차단커버의 내면과 상기 내부관의 외면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숫나사부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차단커버의 내면과 상기 내부관의 외면 중 하나에 마련된 돌출부; 및
상기 차단커버가 상기 배수공간으로부터 이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차단커버가 상기 배수공간을 밀폐하는 폐쇄위치 사이의 이동, 및 상기 차단커버가 폐쇄위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체결위치와 상기 폐쇄위치 사이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차단커버의 내면과 상기 내부관의 외면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돌출부를 안내하는 체결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우수·오수안내부의 배수 공간은 분리벽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되, 상기 복수의 분할 공간 중 적어도 일부는 내부관과 서로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는 폐쇄되어 있고, 복수의 분할 공간은 배수공간의 높이보다 낮은 분리벽에 의해 상부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구조물. - 제 5항에 있어서,
차단부와 개방부를 포함하는 이물질필터부를 상기 배수공간에 삽입하되, 상기 차단부는 내부관과 연결되지 않은 분할공간에 놓이고, 상기 개방부는 페쇄되어 있는 분할공간에 놓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구조물.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필터부와 외부 우수·오수안내부는 회전방지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커버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고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부관과;
상기 내부관과 상부관 사이에 개재되는 제3의 실링부재와;
상기 제3의 실링부재가 상기 내부관과 상부관 사이를 밀봉할 수 있도록 가압하는 조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5363 | 2010-06-11 | ||
KR20100055363 | 2010-06-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5800A KR20110135800A (ko) | 2011-12-19 |
KR101268333B1 true KR101268333B1 (ko) | 2013-05-28 |
Family
ID=4550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1651A KR101268333B1 (ko) | 2010-06-11 | 2011-05-02 | 우수·오수 배수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833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1776Y1 (ko) * | 2020-01-23 | 2020-06-03 | 황금맷돌 주식회사 | 싱크대용 디스포저 고정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8262B1 (ko) * | 2021-09-29 | 2023-04-05 | (주)통일화학 | 배수트랩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7057Y1 (ko) | 1999-07-29 | 2000-02-15 | 장득걸 | 이중차단 발코니 배수기구 |
KR100356537B1 (ko) * | 1997-11-27 | 2003-01-24 | 오주훈 | 배수관 조립체 |
KR200305383Y1 (ko) | 2002-12-06 | 2003-02-25 | 박점순 |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
KR200305385Y1 (ko) | 2002-12-06 | 2003-02-25 | 박점순 |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
-
2011
- 2011-05-02 KR KR1020110041651A patent/KR1012683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6537B1 (ko) * | 1997-11-27 | 2003-01-24 | 오주훈 | 배수관 조립체 |
KR200167057Y1 (ko) | 1999-07-29 | 2000-02-15 | 장득걸 | 이중차단 발코니 배수기구 |
KR200305383Y1 (ko) | 2002-12-06 | 2003-02-25 | 박점순 |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
KR200305385Y1 (ko) | 2002-12-06 | 2003-02-25 | 박점순 |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1776Y1 (ko) * | 2020-01-23 | 2020-06-03 | 황금맷돌 주식회사 | 싱크대용 디스포저 고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5800A (ko) | 2011-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5036968A1 (en) |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a discharge pipe to a discharge opening | |
JP2015507113A (ja) | 洗面器用ポップアップ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 |
KR101268333B1 (ko) | 우수·오수 배수 구조물 | |
KR101272152B1 (ko) |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 |
JP5613886B2 (ja) | 槽体の配管構造 | |
KR101419367B1 (ko) | 배수구 | |
KR20170002282U (ko) |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 |
KR101177493B1 (ko) | 배관 연결구조 | |
KR100962021B1 (ko) | 배수 트랩 시스템 | |
KR20090003300U (ko) | 냄새차단 배수트랩 | |
KR200408173Y1 (ko) | 배수트랩 | |
KR100740525B1 (ko) | 오수받이 장치 | |
KR101415317B1 (ko) |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중트랩 층상배관장치 | |
KR200480792Y1 (ko) |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조 | |
KR100955478B1 (ko) | 시공이 용이한 우수 및 오수 공공물받이 | |
KR200478734Y1 (ko) | 배수트랩 | |
KR200468349Y1 (ko) | 냄새가 풍기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유닛 | |
JP2004278001A (ja) | 給排水管の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構造を使用した管トラップ及びsトラップ | |
KR100990279B1 (ko) | 오수받이 연결관 고정 및 밀폐장치 | |
JP2008291540A (ja) | 排水トラップ | |
KR200474545Y1 (ko) | 바닥용 배수 트랩 | |
KR20170048718A (ko) | 층상배관용 저상 플로우 드레인 | |
KR20160082416A (ko) | 층상배관용 저상 플로우 드레인 | |
KR200330367Y1 (ko) | 욕실용 배수장치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 |
KR200306239Y1 (ko) | 하수관과의 분리 및 이음이 용이한 건축용 수직 하수관의연결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