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300U - 냄새차단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냄새차단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300U
KR20090003300U KR2020090000538U KR20090000538U KR20090003300U KR 20090003300 U KR20090003300 U KR 20090003300U KR 2020090000538 U KR2020090000538 U KR 2020090000538U KR 20090000538 U KR20090000538 U KR 20090000538U KR 20090003300 U KR20090003300 U KR 200900033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drain
sealant
drain ho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5358Y1 (ko
Inventor
김범선
Original Assignee
대한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주택공사 filed Critical 대한주택공사
Priority to KR20090000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35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3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3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3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8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bell siph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구(1)에서 올라올 수 있는 냄새를 봉수(2)를 이용하여 차단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뚫린 통형 모양으로 바닥면에 배수구(1)와 연통하는 배수구멍(111)을 구비한 성형슬리브(110); 하단이 상기 배수구멍(111)에 끼워져 상기 배수구(1)와 연통되고, 상단에는 물이 넘쳐 흐를 수 있도록 상부배수구멍(211)을 구비한, 상기 배수구멍(111)에 상응하는 통형 모양의 봉수인써트(210); 상기 봉수인써트(210)에 둘러지는 링형 모양으로 배수구멍(111)과 상기 봉수인써트(210) 사이에 끼워져서 배수구(1)와 단절시켜주는 수밀패킹(410); 및 상부가 막히고 하부는 뚫린 통형 모양으로 상기 봉수인써트(210)를 상부에서 덮으면서 둘러싸되 그 길이는 상기 봉수인써드(210)가 상기 성형슬리브(110)의 내부 공간에 노출된 것보다 짧아 하단 아래로 물이 흘러들어갈 수 있고, 내부 상면에는 봉수인써트(210)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끼우개(311)를 구비한 봉수캡(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을 제공한다.
봉수, 배수트랩, 냄새차단, 배수구

Description

냄새차단 배수트랩{Stink cutting drainage trap}
본 고안은 바닥 드레인 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이나 목용탕 등 욕실의 바닥에 배수구와 연통하여 설치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배수트랩은 단순히 물을 배수하는 역할뿐 아니라 배수구에서 세균이나 악취가 역류할 수 없도록 봉수를 이용하여 이를 차단하는 역할도 하게 되며, 본 고안은 그러한 악취를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하면서도 구성이 간단한 냄새차단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다가구 주택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바닥 드레인 트랩은 바닥타일과의 미관을 고려하여 트랩의 상부면은 타일눈과 일치시킬 수 있도록 조정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성형슬리브의 규격은 내경 200㎜의 원통형 또는 내폭 140㎜~150㎜의 직사각형의 구조를 갖고 성형슬리브와는 별개로 트랩 상부에 봉수를 형성하는 봉수주머니를 조립하고 있으며 봉수주머니와 성형슬리브 또는 봉수주머니와 성형슬리브 뚜껑의 플라스틱 접촉면은 기밀이 완벽치 않아 냄새의 유입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냄새의 차단은 완전한 기밀(또는 수밀)이 될 때 가능하나 현재 채택하고 있 는 트랩구조는 트랩 구성물의 패킹접촉과 일부는 면 접촉에 의해 냄새의 차단을 기대하는 구조로 배수관(통기관 포함) 내부의 공기가 상부로 잘 올라가는 조건에서는 세대로 유입되지 않지만 외기조건 등의 영향으로 배수관(통기관 포함)의 공기 흐름이 원활치 못한 경우는 세대로의 냄새유입은 불가피한 상태이다. 상기의 냄새유입 조건일 때 패킹 누르개가 사각형인 트렌치 드레인은 원형 패킹누름형태인 일반적인 바닥드레인보다 더욱 냄새유입이 심해 입주자들의 민원이 많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트랩의 상부 개구부가 확보되는 경우(약 Ø100㎜정도) 냄새 유입 방지는 기본적으로 물고임이 슬래브에 묻히는 성형슬리브에 형성되어야 하고 그 봉수를 만드는 캡을 성형슬리브 또는 물고임 턱에 부착도록 하여(key point) 트랩으로서의 기능을 확보하여 냄새를 차단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배수구(1)에서 올라올 수 있는 냄새를 봉수(2)를 이용하여 차단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뚫린 통형 모양으로 바닥면에 배수구(1)와 연통하는 배수구멍(111)을 구비한 성형슬리브(110); 하단이 상기 배수구멍(111)에 끼워져 상기 배수구(1)와 연통되고, 상단에는 물이 넘쳐 흐를 수 있도록 상부배수구멍(211)을 구비한, 상기 배수구멍(111)에 상응하는 통형 모양의 봉수인써트(210); 상기 봉수인써트(210)에 둘러지는 링형 모양으로 배수구멍(111)과 상기 봉수인써트(210) 사이에 끼워져서 배수구(1)와 단절시켜주는 수밀패킹(410); 및 상부가 막히고 하부는 뚫린 통형 모양으로 상기 봉수인써트(210)를 상부에서 덮으면서 둘러싸되 그 길이는 상기 봉수인써드(210)가 상기 성형슬리브(110)의 내부 공간에 노출된 것보다 짧아 하단 아래로 물이 흘러들어갈 수 있고, 내부 상면에는 봉수인써트(210)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끼우개(311)를 구비한 봉수캡(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을 제공한다.
본 고안을 실시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설치 등 시공이 용이하다.
둘째, 구성이 간단하여 자재비가 적게 소요되면서도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셋째, 새로운 건물뿐 아니라 기 시공된 건물에도 장착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이 다양한다.
넷째, 냄새를 차단하는 효과가 탁월하여 건물 완성 후 민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배수구(1)에서 올라올 수 있는 냄새를 봉수(2)를 이용하여 차단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뚫린 통형 모양으로 바닥면에 배수구(1)와 연통하는 배수구멍(111)을 구비한 성형슬리브(110); 하단이 상기 배수구멍(111)에 끼워져 상기 배수구(1)와 연통되고, 상단에는 물이 넘쳐 흐를 수 있도록 상부배수구멍(211)을 구비한, 상기 배수구멍(111)에 상응하는 통형 모양의 봉수인써트(210); 상기 봉수인써트(210)에 둘러지는 링형 모양으로 배수구멍(111)과 상기 봉수인써트(210) 사이에 끼워져서 배수구(1)와 단절시켜주는 수밀패킹(410); 및 상부가 막히고 하부는 뚫린 통형 모양으로 상기 봉수인써트(210)를 상부에서 덮으면서 둘러싸되 그 길이는 상기 봉수 인써드(210)가 상기 성형슬리브(110)의 내부 공간에 노출된 것보다 짧아 하단 아래로 물이 흘러들어갈 수 있고, 내부 상면에는 봉수인써트(210)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끼우개(311)를 구비한 봉수캡(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성형슬리브(110)는 사각통형 모양이고, 상기 봉수인써트(210) 및 봉수캡(310)은 원통형 모양이고, 상기 고정끼우개(311)는 일정한 간격으로 3개가 형성되고, 상기 봉수캡(310)의 상면에는 손잡이(312)를 구비하고, 상기 봉수인써트(210)는 배수구(1)에 끼워질 때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212)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봉수캡(310)이 구비한 고정끼우개(311)는 한쪽으로 치우쳐서 구비되어 상기 봉수캡(310)은 상기 봉수인써트(210)의 상단에 끼워질 때 한쪽으로 치우쳐 편심을 갖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봉수인써트(210)는 원통형 모양으로 배수구(1)에 끼워질 때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212)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봉수캡(310)은 긴 사각통형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배수구(1)에서 올라올 수 있는 냄새를 봉수(2)를 이용하여 차단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뚫린 통형 모양으로 바닥면에 배수구(1)와 연통하는 배수구멍(121)을 구비한 성형슬리브(120); 하단이 상기 배수구멍(121)에 끼워져 상기 배수구(1)와 연통되고, 상단은 물이 넘쳐 흐를 수 있도록 뚫려 있으며, 외주면 둘레에는 걸 쇠(221)를 구비한 상기 배수구멍(121)에 상응하는 통형 모양의 봉수인써트(220); 상기 봉수인써트(220)에 둘러지는 링형 모양으로 배수구멍(121)과 상기 봉수인써트(220) 사이에 끼워져서 배수구(1)와 단절시켜주는 수밀패킹(420); 및 상부가 막히고 하부는 뚫린 통형 모양으로 상기 봉수인써트(220)를 상부에서 덮으면서 둘러싸되 그 길이는 상기 봉수인써드(210)가 상기 성형슬리브(110)의 내부 공간에 노출된 것보다 길어 상기 봉수인써트(220)의 상단 위로 물이 넘쳐 흘러들어갈 수 있고, 내주면 둘레에는 상기 걸쇠(22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응하는 높이에 걸림쇠(321)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물이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하부배수구멍(322)을 구비한 봉수캡(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성형슬리브(120)는 사각통형 모양이고, 상기 봉수인써트(220) 및 봉수캡(320)은 원통형 모양이고, 상기 걸쇠(221) 및 걸림쇠(321)는 일정한 간격으로 3개가 형성되고, 상기 봉수캡(320)의 상면에는 손잡이(323)를 구비하고, 상기 봉수인써트(220)는 배수구(1)에 끼워질 때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222)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걸쇠(221)는 상기 걸림턱(222)에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걸림쇠(321)는 상기 걸쇠(221)의 높이에 상응하여 상기 봉수캡(32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봉수인써트(220)는 원통형 모양으로 일정 간격으로 2개의 걸쇠(221)를 구비하고, 상기 봉수캡(320)은 긴 사각통형 모양으로 길이방향의 내부 좌우측면 하부에 상기 걸쇠(22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응하는 높이에 걸림쇠(3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배수구멍(111, 121)에는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봉수인써트(210, 220)가 배수구멍(111, 121)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배수구멍(111, 121)과 상기 봉수인써트(210, 220)는 나사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성형슬리브(110, 120)와 상기 봉수인써트(210, 220)는 상기 봉수인써트(210, 220)가 상기 배수구멍(111, 121)에 삽입되는 부분이 결합된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1.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a)는 일반적인 모습, (b)는 편심을 갖는 모습)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봉수인써트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봉수캡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또는 도 2(b)에서 보듯이 본 고안인 냄새차단 배수트랩은 배수구로 물이 내려가지 않는 상황에서도 배수트랩에 냄새를 차단하는 물인 봉수(2)를 머금게 하는 방법에 의해 배수구에서 역류하는 냄새를 차단하는 구조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이하 설명할 제2실시예와 그 사상은 동일한 것이며, 유일한 차이는 봉수캡(310, 320)이 봉수인써트(210, 220)에 결합되는 방식에 따른 구성상의 차이이다. 이하, 각 실시예 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냄새차단 배수트랩은 도 1, 도 2(a) 및 도 2(b)에서 보듯이 성형슬리브(110), 봉수인써트(210), 수밀패킹(410) 및 봉수캡(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성형슬리브(110)는 욕실이나 기타 배수구(1)가 필요한 바닥면의 콘크리트 슬라브 내부에 묻히는 것으로 그 내부에 봉수인써트(210), 수밀패킹(410) 및 봉수캡(310)을 구비하게 된다. 물론, 봉수(2)도 그 내부에 머금게 된다.
성형슬리브(110)는 상부가 뚫린 통형 모양으로 바닥면에 배수구(1)와 연통하는 배수구멍(111)을 구비한다. 상부의 뚫린 부분에는 도 1에서 보듯이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구멍을 구비한 배수 걸름망이 덮어져서 물 외의 오물은 걸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슬리브(110)는 통형이면 충분하며 일반적으로 시공이나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 모양이다. 도면에는 편의상 사각통형 모양으로 도시한다.
상기 성형슬리브(110)가 구비한 배수구멍(111)에는 봉수인써트(210)가 끼워지게 된다.
배수구멍(111)에 봉수인써트(210)를 끼우는 경우에는 수밀을 확실히 하기 위 해 봉수인써트(210)에 수밀패킹(410)을 끼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봉수인써트(210) 긴 통형 모양으로 하단은 상기 배수구멍(111)에 끼워셔 배수구(1)와 연통되고, 상단에는 물이 넘쳐흐를 수 있도록 상부배수구멍(211)을 구비해야 한다.
배수가 이루어질 때는 항상 봉수인써트(210)의 내부를 통과해야 하므로 봉수인써트(210)는 배수구(1)와 필수적으로 연통되어야 한다. 봉수인써트(210)는 그 사용의 편의를 위해 원통형인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물은 봉수인써트(210)의 상단을 넘쳐서 흘러야 하므로 상단에는 이를 위해 상부배수구멍(211)을 구비해야 한다.
상부배수구멍(211)은 물이 넘쳐 흐를 수 있으면 충분하며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다만, 이하 설명할 봉수캡(310)이 봉수인써트(210)의 상단에 결합될 것이어서 그 결합이 가능해야 하며, 구체적인 것은 후술한다.
봉수인써트(210)의 실시예로 도 3의 (a) 및 도 3의 (b)를 예시로 도시한다. 도 3의 (a)는 봉수인써트(210)의 상단 둘레에 둘 이상의 홈을 구비하는 형태이고, 도 3의 (b)는 봉수인써트(210)의 상단 둘레에 둘 이상의 홀을 구비하는 형태이다.
또한 봉수인써트(210)는 성형슬리브(110)의 배수구멍(111)에 끼워질 때 결합이 용이하도록 걸림턱(212)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걸림턱(212)은 봉수인써트(210)의 하부에 외주면을 감싸면서 구비되는 돌기 모양의 것으로 직경이 봉수인써트(210)보다 커서 봉수인써트(212)를 배수구멍(111) 에 끼울 때 걸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멍(111)에는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봉수인써트(210)가 배수구멍(111)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배수구멍(111)과 상기 봉수인써트(210)는 나사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기 시공되어 설치된 배수트랩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기 제작된 성형슬리브를 이용해야 하므로 성형슬리브에 암나사산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라면 봉수인써트도 수나사산이 구비되지 않는 것을 약간은 억지 끼움하는 방식으로 맞춰서 넣어야 한다.
그 뿐 아니라, 상기 성형슬리브(110)의 배수구멍(111)과 봉수인써트(210)가 배수구멍(111)에 삽입되는 부분을 일체형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리면 시공시 한 단계가 빠지게 되므로 시공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수인써트(210)가 상기 배수구멍(111)에 끼워지는 경우에는 수밀패킹(410)에 의해 배수구(1)와 성형슬리브(110의 내부를 완벽하게 차단해야 한다. 즉, 도 1에서 보듯이 결합시에는 봉수인써트(210) 중 배수구멍(111)에 끼워지는 부분에 수밀패킹(410)을 끼워 단단히 물이나 냄새를 차단해야 한다.
수밀패킹(41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고무재질인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봉수인써트(210)는 봉수캡(310)이 감싸게 된다. 봉수캡(310)은 봉수인써트(210)를 감싸면서 덮어줘서 도 2(a)에서 보듯이 배수구(1)에서 나오는 악취 및 세균 등이 봉수(2)에 의해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봉수캡(310)은 상단이 막히고 하단은 개방된 통형 모양으로 일반적으로 그 사용의 편의를 위해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트렌치 트랩 등 특수한 경우에 사용되는 긴 사각통형의 형상도 제안한다(도 4의 (c)참조).
제1실시예에서는 봉수캡(310)이 봉수인써트(210)의 상단에 올려져서 봉수캡(310)의 하단은 허공에 뜨게 된다(도 2(a) 및 도 2(b) 참조).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봉수캡(310)의 하단에 별도의 배수구멍이 불필요하다.
봉수캡(310)의 상단은 막혀있으며 상면 외부에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손잡이(3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봉수캡(310)의 내부 상면에는 상기 봉수인써트(210)와의 결합을 위해 고정끼우개(311)를 구비한다. 고정끼우개(31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반찬그릇의 뚜껑 체결방식과 동일한 방식이다(도 2(a) 참조).
즉, 봉수인써트(210)와 봉수캡(310)의 결합은 봉수캡(310)을 봉수인써트(210)의 상단에 올려놓고 지그시 눌러주어 끼워지는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고정끼우개(311)는 봉수인써트(210)의 상단이 도 3의 (b)와 같은 형상인 경우는, 이에 상응하여 원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간편하게 짧은 것을 다수 개 구비할 수도 있다.
하지만, 도 3의 (a)와 같은 형상인 경우에는 그 형상에 상응하여 고정끼우 개(311)를 짧은 것으로 3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고정끼우개(311)의 형상은 봉수인써트(210)의 상단 형상에 상응하여야 한다.
또한, 본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봉수캡(310)이 구비한 고정끼우개(311)는 한쪽으로 치우쳐서 구비되어 상기 봉수캡(310)은 상기 봉수인써트(210)의 상단에 끼워질 때 한쪽으로 치우쳐 편심을 갖게 끼워질 수 있다(도 2(b)참조).
이는 배수구(1)의 중심과 배수 걸름망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때 적용하는 것으로, 시공을 하다 보면 배수구(1)와 배수 걸름망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봉수캡(310)이 편심을 갖도록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자 함이다.
2. 제2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a)는 걸쇠 및 걸림쇠가 별도 위치에 있는 모습, (b)는 걸쇠가 걸림턱의 연장선산에 있는 모습)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봉수인써트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봉수캡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a)는 일반적인 경우, (b)는 걸림쇠가 끝단에 있는 경우, (c)는 긴 사각통형 모양인 경우로 편의상 너비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로 표현한 경우)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봉수인써트(210)와 봉수캡(310)의 결합이 걸쇠(221)와 걸림쇠(321)에 의해 걸려서 결합되는 방식을 사용한다.
성형슬리브(120), 수밀패킹(420) 등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도면 부호만 상이할 뿐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봉수인써트(220)는 상·하단이 모두 뚫린 통형으로 사용의 편의를 위해 원통형인 것이 일반적이다.
본 제2실시예에서의 봉수인써트(220)는 이하 설명할 봉수캡(320)의 고정 설치를 위해 외주면 둘레에 걸쇠(221)를 구비하게 된다.
걸쇠(221)는 돌기 모양으로 짧은 것을 2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봉수캡(320)은 상기 봉수인써트(220)의 상부를 덮으면서 둘러싸는 것으로, 상기 제1실시예와는 달리 봉수캡(320)의 길이는 봉수인써트(220)보다 길어서 봉수인써트(220)를 모두 감싸면서 덮을 뿐 아니라 봉수인써트(220)의 상단위로 물이 넘쳐 흐를 수 있어야 한다(도 6(a) 참조).
물론, 봉수캡(320)의 직경이 봉수인써트(220)보다 충분히 커야 하고, 외부 상면에 손잡이(323)를 구비할 수 있으며, 걸림턱(22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봉수캡(320)은 컵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봉수인써트(220)를 덮게 되므로 하단으로 물이 배수될 수 있어야 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므로 이의 해결을 위해 봉수캡(320)의 하단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하부배수구멍(322)을 별도로 구비해야 한다(도 8 참조). 물론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본 제2실시예에서는 봉수인써트(220)와 봉수캡(320)의 결합이 걸쇠(221)와 걸림쇠(321)의 결합에 의하므로, 봉수캡(320)은 상기 봉수인써트(22)의 걸쇠(221)에 상응하여 걸림쇠(321)를 구비해야 한다.
통상 걸쇠(221)는 봉수인써트(220)가 성형슬리브(120) 내부로 드러나는 부분의 하단에서 소정 높이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2개 이상의 돌기 형태로 구비된다(도 7 참조).
이에 상응하여 걸림쇠(321) 봉수캡(320)의 하단에서 상기 걸쇠(221)가 형성된 높이에 상응하는 소정 높이에 걸쇠(221)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게 된다.
결합방식은 봉수인써트(220)의 상단에 봉수캡(320)을 상기 걸쇠(221)와 걸림쇠(321)가 걸리지 않게 엇갈려서 성형슬리브(120)의 바닥까지 덮은 후에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쇠(221)와 걸림쇠(321)가 일치하여 걸리게 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본 고안은 트렌치 트랩 등에 사용하기 위해 봉수캡(320)이 긴 사각통형 모양인 것도 제안한다. 이 경우에는 봉수캡(320)을 씌우고 회전고정시키는 경우에 주의해야 한다.
봉수캡(320)이 사각통형인 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봉수인써트(220)는 걸쇠(221)를 일정 간격으로 2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의 (c)참조).
그 이유는 긴 사각통형의 봉수캡(320)을 사용하면 걸림쇠(321)를 봉수캡(320)의 길이방향의 내부 좌우측면에 2개를 구비하게 되므로 이에 상응해야 하기 때문이다(도 8의 (c)참조).
결합 방식은 상술한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걸쇠(221)와 걸림쇠(321)가 걸리지 않게 엇갈려서 덮으려면, 상기 봉수인써트(220)의 걸쇠(221)를 봉수캡(32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덮으면 된다. 덮은 후 90도 정도를 회전시키면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걸쇠(221)가 걸림턱(222)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걸쇠(221)의 높이가 거의 성형슬리브(120)의 내부 바닥면보다 살짝 높게 형성될 수 있다(도 7의 (b)참조). 이 경우라면 걸림쇠(321)도 이에 상응하여 봉수캡(32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야 한다(도 8의 (b)참조).
본 고안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이건 고안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a)는 일반적인 모습, (b)는 편심을 갖는 모습).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봉수인써트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봉수캡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a)는 걸쇠 및 걸림쇠가 별도 위치에 있는 모습, (b)는 걸쇠가 걸림턱의 연장선산에 있는 모습).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봉수인써트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봉수캡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a)는 일반적인 경우, (b)는 걸림쇠가 끝단에 있는 경우, (c)는 긴 사각통형 모양인 경우로 편의상 너비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로 표현한 경우).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W.S: 물의 흐름 방향
1: 배수구
2: 봉수
110, 120: 성형슬리브
111, 121: 배수구멍
210, 220: 봉수인써트
211: 상부배수구멍
212, 222: 걸림턱
221: 걸쇠
310, 320: 봉수캡
311: 고정끼우개
321: 걸림쇠
322: 하부배수구멍
313, 323: 손잡이
410: 수밀패킹

Claims (10)

  1. 배수구(1)에서 올라올 수 있는 냄새를 봉수(2)를 이용하여 차단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뚫린 통형 모양으로 바닥면에 배수구(1)와 연통하는 배수구멍(111)을 구비한 성형슬리브(110);
    하단이 상기 배수구멍(111)에 끼워져 상기 배수구(1)와 연통되고, 상단에는 물이 넘쳐 흐를 수 있도록 상부배수구멍(211)을 구비한, 상기 배수구멍(111)에 상응하는 통형 모양의 봉수인써트(210);
    상기 봉수인써트(210)에 둘러지는 링형 모양으로 배수구멍(111)과 상기 봉수인써트(210) 사이에 끼워져서 배수구(1)와 단절시켜주는 수밀패킹(410); 및
    상부가 막히고 하부는 뚫린 통형 모양으로 상기 봉수인써트(210)를 상부에서 덮으면서 둘러싸되 그 길이는 상기 봉수인써드(210)가 상기 성형슬리브(110)의 내부 공간에 노출된 것보다 짧아 하단 아래로 물이 흘러들어갈 수 있고, 내부 상면에는 봉수인써트(210)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끼우개(311)를 구비한 봉수캡(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
  2. 제1항에서,
    상기 성형슬리브(110)는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 모양이고,
    상기 봉수인써트(210) 및 봉수캡(310)은 원통형 모양이고,
    상기 고정끼우개(311)는 일정한 간격으로 3개가 형성되고,
    상기 봉수캡(310)의 상면에는 손잡이(312)를 구비하고,
    상기 봉수인써트(210)는 배수구(1)에 끼워질 때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212)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
  3. 제1항에서,
    상기 봉수캡(310)이 구비한 고정끼우개(311)는 한쪽으로 치우쳐서 구비되어 상기 봉수캡(310)은 상기 봉수인써트(210)의 상단에 끼워질 때 한쪽으로 치우쳐 편심을 갖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
  4. 제1항에서,
    상기 봉수인써트(210)는 원통형 모양으로 배수구(1)에 끼워질 때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212)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봉수캡(310)은 긴 사각통형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
  5. 배수구(1)에서 올라올 수 있는 냄새를 봉수(2)를 이용하여 차단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뚫린 통형 모양으로 바닥면에 배수구(1)와 연통하는 배수구멍(121)을 구비한 성형슬리브(120);
    하단이 상기 배수구멍(121)에 끼워져 상기 배수구(1)와 연통되고, 상단은 물이 넘쳐 흐를 수 있도록 뚫려 있으며, 외주면 둘레에는 걸쇠(221)를 구비한 상기 배수구멍(121)에 상응하는 통형 모양의 봉수인써트(220);
    상기 봉수인써트(220)에 둘러지는 링형 모양으로 배수구멍(121)과 상기 봉수인써트(220) 사이에 끼워져서 배수구(1)와 단절시켜주는 수밀패킹(420); 및
    상부가 막히고 하부는 뚫린 통형 모양으로 상기 봉수인써트(220)를 상부에서 덮으면서 둘러싸되 그 길이는 상기 봉수인써드(210)가 상기 성형슬리브(110)의 내부 공간에 노출된 것보다 길어 상기 봉수인써트(220)의 상단 위로 물이 넘쳐 흘러들어갈 수 있고, 내주면 둘레에는 상기 걸쇠(22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응하는 높이에 걸림쇠(321)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물이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하부배수구멍(322)을 구비한 봉수캡(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
  6. 제5항에서,
    상기 성형슬리브(120)는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 모양이고,
    상기 봉수인써트(220) 및 봉수캡(320)은 원통형 모양이고,
    상기 걸쇠(221) 및 걸림쇠(321)는 일정한 간격으로 3개가 형성되고,
    상기 봉수캡(320)의 상면에는 손잡이(323)를 구비하고,
    상기 봉수인써트(220)는 배수구(1)에 끼워질 때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222)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
  7. 제6항에서,
    상기 걸쇠(221)는 상기 걸림턱(222)에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걸림쇠(321)는 상기 걸쇠(221)의 높이에 상응하여 상기 봉수캡(32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
  8. 제5항에서,
    상기 봉수인써트(220)는 원통형 모양으로 일정 간격으로 2개의 걸쇠(221)를 구비하고,
    상기 봉수캡(320)은 긴 사각통형 모양으로 길이방향의 내부 좌우측면 하부에 상기 걸쇠(22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응하는 높이에 걸림쇠(3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배수구멍(111, 121)에는 암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봉수인써트(210, 220)가 배수구멍(111, 121)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배수구멍(111, 121)과 상기 봉수인써트(210, 220)는 나사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성형슬리브(110, 120)와 상기 봉수인써트(210, 220)는 상기 봉수인써트(210, 220)가 상기 배수구멍(111, 121)에 삽입되는 부분이 결합된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차단 배수트랩.
KR20090000538U 2009-01-15 2009-01-15 냄새차단 배수트랩 KR200445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0538U KR200445358Y1 (ko) 2009-01-15 2009-01-15 냄새차단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0538U KR200445358Y1 (ko) 2009-01-15 2009-01-15 냄새차단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300U true KR20090003300U (ko) 2009-04-08
KR200445358Y1 KR200445358Y1 (ko) 2009-07-23

Family

ID=41320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0538U KR200445358Y1 (ko) 2009-01-15 2009-01-15 냄새차단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3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832B1 (ko) * 2010-11-23 2013-04-04 재성진흥 주식회사 배수트랩을 일체로 성형한 욕실 방수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216B1 (ko) * 2011-08-09 2013-09-27 전영세 층상 배수장치
KR101688973B1 (ko) 2016-01-25 2016-12-22 이동윤 배수트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558A (ko) * 2002-02-21 2003-08-27 김경호 하수를 고이게 해 악취를 막아주는 하수 유입구
KR200301755Y1 (ko) 2002-10-22 2003-01-24 여주식 배수트랩
KR100820226B1 (ko) 2007-03-02 2008-04-30 (주)에이치에이씨씨피건설 개폐 가능한 봉수 장치를 구비하는 하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832B1 (ko) * 2010-11-23 2013-04-04 재성진흥 주식회사 배수트랩을 일체로 성형한 욕실 방수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358Y1 (ko)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707B1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KR200445358Y1 (ko) 냄새차단 배수트랩
JP6454840B2 (ja) 排水継ぎ手部材
KR101674159B1 (ko) 욕조 배수장치
JP6029130B2 (ja) 排水トラップ
JP5111781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の封水高さ調整部材
JP5688529B2 (ja) 排水トラップ
KR20150017876A (ko) 씽크대용 악취차단장치
KR101177495B1 (ko)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수트랩
KR101988857B1 (ko)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JP5793747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KR101268333B1 (ko) 우수·오수 배수 구조물
CN215253210U (zh) 一种新型排水汇集器
KR101304762B1 (ko) 볼을 이용한 악취 차단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장치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200479000Y1 (ko) 루프드레인용 여과망 덮개
KR200417635Y1 (ko)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구조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KR20130090656A (ko) 배수 트랩
JP6019287B2 (ja) 排水トラップ
KR20110053501A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용 봉수 구조를 갖는 배수 트랩
KR101263603B1 (ko) 사출 배수 트랜치의 하수관 연결장치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10141531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중트랩 층상배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