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976B1 - 드레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레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976B1
KR101690976B1 KR1020140093957A KR20140093957A KR101690976B1 KR 101690976 B1 KR101690976 B1 KR 101690976B1 KR 1020140093957 A KR1020140093957 A KR 1020140093957A KR 20140093957 A KR20140093957 A KR 20140093957A KR 101690976 B1 KR101690976 B1 KR 101690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ipe
venturi nozzle
wall
extending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2475A (ko
Inventor
송용석
최성윤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3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976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드레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드레인 시스템은 상하로 연장된 메인 배관, 상기 메인 배관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 배관의 내벽과 이격되어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 방향의 아래쪽으로 반경이 점차 줄어드는 상부 영역과, 상기 연장 방향의 아래쪽으로 반경이 점차 늘어나는 하부영역과, 상기 상부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이 연결되는 내부 통로를 포함하는 벤츄리 노즐, 상기 벤츄리 노즐의 외벽와 상기 메인 배관의 내벽을 연결하는 노즐 서포트(support); 및 상기 메인 배관의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메인 배관의 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분지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레인 시스템{Drain system}
본 발명은 드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드레인 시스템(drain system)은 전형적인 논 펌핑 시스템(Non-pumping System)으로 중력에 의해 상부의 유체를 하부의 특정 지점으로 이송시키는 시스템이다. 이송 유체는 오일, 빗물, 청수 또는 해수 등이 될 수 있다
선박에서는 이 중에도 빗물, 청수 또는 해수 등의 물이 유체인 드레인 시스템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침수와 관련하여 불필요한 유체를 최대한 빨리 문제없이 배출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드레인 시스템은 데크(deck)마다 복수의 유입구 및 배관을 형성하게된다. 그러나, 이렇게 데크 마다 드레인 배관이 형성되는 경우나, 드레인 유입구의 높이가 크게 차이가 날 경우에 상부 유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가 하부 유입구에서 역류가 되어 되려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유입구 마다 체크 밸브(Check Valve)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비용 및 작동의 신뢰도 측면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226977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비용을 감축하고 간단하게 역류를 방지하는 드레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은, 상하로 연장된 메인 배관, 상기 메인 배관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 배관의 내벽과 이격되어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 방향의 아래쪽으로 반경이 점차 줄어드는 상부 영역과, 상기 연장 방향의 아래쪽으로 반경이 점차 늘어나는 하부영역과, 상기 상부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이 연결되는 내부 통로를 포함하는 벤츄리 노즐, 상기 벤츄리 노즐의 외벽와 상기 메인 배관의 내벽을 연결하는 노즐 서포트(support); 및 상기 메인 배관의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메인 배관의 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분지관을 포함한다.
상기 분지관은, 상기 내부 통로의 측면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보다 높게 위치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은, 상하로 연장된 메인 배관, 상기 메인 배관의 내부에서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 방향의 아래쪽으로 반경이 점차 줄어드는 상부 영역과, 상기 연장 방향의 아래쪽으로 반경이 점차 늘어나는 하부영역과, 상기 상부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이 연결되는 내부 통로를 포함하는 벤츄리 노즐 및 상기 메인 배관의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메인 배관의 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분지관을 포함하되, 상기 벤츄리 노즐의 일 측벽과 상기 메인 배관의 일측벽이 서로 접촉한다.
상기 복수의 제1 분지관은 각각 제1 레벨의 복수의 제1 유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레벨 위의 제3 레벨에서 형성되는 복수의 제3 분지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분지관은 상기 메인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드레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설치가 간단하고 유지 보수가 쉬운 드레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합류부를 설명하기 위한 합류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합류부를 설명하기 위한 합류부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합류부의 일반 드레인시의 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합류부의 과대 유량 드레인시의 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합류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드레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합류부의 투영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은 메인 배관(10), 제1 유입구(100a), 제2 유입구(100b), 제3 유입구(100c), 제1 합류부(200a), 제2 합류부(200b) 및 배출구(300)를 포함한다.
메인 배관(10)은 Ⅰ영역 내지 Ⅲ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Ⅰ영역은 가장 낮은 레벨의 영역일 수 있다. 즉, 건물의 가장 낮은 층이나, 선박의 가장 낮은 데크일 수 있다. Ⅱ영역은 Ⅰ영역 상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Ⅲ 영역은 가장 높은 레벨의 영역일 수 있다. 구조물의 최상층이나, 선박의 가장 높은 레벨의 데크일 수 있다. 메인 배관(10)은 상기 Ⅰ영역 내지 Ⅲ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배관(10)은 각 영역에서의 유입되는 유체를 배출구(30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인 배관(10)은 다른 펌핑(pumping) 작용 없이 중력에 의해 유체를 낮은 레벨 즉, Ⅰ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배관(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 영역에서의 유체는 합류부(200a, 200b)를 통해 메인 배관(10)으로 모일 수 있다.
제1 유입구(100a)는 Ⅰ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유입구(100a)는 Ⅰ영역의 여러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유입구는 복수일 수 있다. 제1 유입구(100a)는 배출되어야 하는 유체가 유입되는 구멍일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액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체는 물, 오일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제1 유입구(100a)는 제1 분지관(110a)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분지관(110a)은 제1 유입구(100a)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제1 분지관(110a)은 복수일 수 있다. 제1 분지관(110a)은 제1 합류부(200a)에서 메인 배관(1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분지관(110a)의 일 단부는 각각의 제1 유입구(100a)이고, 타 단부는 제1 합류부(200a)일 수 있다.
제2 유입구(100b)는 Ⅱ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유입구(100b)는 Ⅱ영역의 여러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유입구는 복수일 수 있다. 제2 유입구(100b)는 배출되어야 하는 유체가 유입되는 구멍일 수 있다.
제2 유입구(100b)는 제2 분지관(110b)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분지관(110b)은 제2 유입구(100b)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제2 분지관(110b)은 복수일 수 있다. 제2 분지관(110b)은 제2 합류부(200b)에서 메인 배관(1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분지관(110b)의 일 단부는 각각의 제2 유입구(100b)이고, 타 단부는 제2 합류부(200b)일 수 있다.
제3 유입구(100c)는 Ⅲ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유입구(100c)는 Ⅲ영역의 여러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유입구는 복수일 수 있다. 제3 유입구(100c)는 배출되어야 하는 유체가 유입되는 구멍일 수 있다.
제3 유입구(100c)는 제3 분지관(110c)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분지관(110c)은 제3 유입구(100c)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제3 분지관(110c)은 복수일 수 있다. 제3 분지관(110c)은 메인 배관(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분지관(110c)은 별도의 합류부 없이 직접 메인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최상 레벨의 경우 역류가 일어나지 않아 다른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다만, 최상이 아닌 중간이나 최하 레벨의 경우 상위 레벨에서 이동한 유체가 역류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배출구(300)는 메인 배관(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300)는 중력에 의해 유체가 이동하는 마지막 부분일 수 있다. 배출구(300)는 유체가 상하 아래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합류부를 설명하기 위한 합류부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합류부를 설명하기 위한 합류부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합류부의 일반 드레인시의 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합류부의 과대 유량 드레인시의 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은 메인 배관(210), 벤츄리 노즐(240), 노즐 서포트(230) 및 분지관(25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배관(210)은 도 1에 도시되었듯이, 여러 레벨의 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각 레벨의 유량을 모두 배출해야 하므로 충분히 넓은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메인 배관(210)은 원기둥의 형상이 일반적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벤츄리 노즐(240)은 메인 배관(2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벤츄리 노즐(240)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관의 형상일 수 있다. 벤츄리 노즐(240)은 메인 배관(210)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벤츄리 노즐(240)은 상하 방향으로 반경이 점점 줄어드는 상부 영역(242)과 상하 방향으로 반경이 점점 늘어나는 하부 영역(2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영역(242)과 하부 영역(244)이 결합되어 벤츄리 노즐(240)은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의 반경이 상기 상측 및 하측 단부의 사이의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즉. 반경이 상하 아래 방향으로 작아졌다가 다시 커질 수 있다. 상기 상측 단부의 반경은 상기 하측 단부의 반경과 동일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가운데 부분의 반경이 점차 줄었다가 다시 늘어나는 경우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형상에 따라 벤츄리 노즐(240)은 내부에 반경이 좁은 내부 통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통로(220)는 추후에 유체의 압력을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벤츄리 노즐(240)의 수평 단면은 원일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이나 다각형의 형상도 가능할 수 있다. 단, 안정적이고 균일한 원 형상이 바람직할 수 있다.
벤츄리 노즐(240)의 수평 단면은 모두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원일 수 있다. 즉, 상하방향의 직선 상의 점이 모두 수평 단면인 원의 중심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츄리 노즐(240)의 외벽은 메인 배관(210)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유량이 작을 때는 벤츄리 노즐(240)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노즐 서포트(230)는 벤츄리 노즐(240)을 지지할 수 있다. 노즐 서포트(230)는 벤츄리 노즐(240)의 외벽에 연결될 수 있다. 노즐 서포트(230)는 메인 배관(210)의 내벽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벤츄리 노즐(240)의 외벽이 메인 배관(210)과 접촉하지 않아도 노즐 서포트(23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노즐 서포트(2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일정한 두께의 패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노즐 서포트(230)는 형상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인 배관 내의 유체가 잘 흘러 갈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하 방향과 수평인 방향으로는 표면적이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분지관(250)은 메인 배관(210)의 외부에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분지관(250)은 메인 배관(210)의 외벽을 관통하여 메인 배관(21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분지관(250)은 메인 배관(210)의 내부에 있는 벤츄리 노즐(240)에 연결될 수 있다. 분지관(250)은 복수일 수 있고, 복수의 분지관(250)은 모두 벤츄리 노즐(240)에 연결될 수 있다.
분지관(250)은 연결부(252)와 연장부(254)를 포함한다.
연결부(252)는 분지관(250)이 벤츄리 노즐(240)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분지관(250)의 유체가 벤츄리 노즐(240)로 이동할 수 있도록 벤츄리 노즐(240)의 측면에 연결부(2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분지관(250)을 지나 연결부(252)를 통해 벤츄리 노즐(240)로 이동될 수 있다.
연장부(254)는 연결부(25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254)는 각 레벨의 유입구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연장부(254)는 유입구와 연결부(252)를 잇는 배관일 수 있다.
연장부(254)의 위치는 연결부(252)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연장부(254)의 유체가 중력에 의해 연결부(252)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254)는 중력에 의해 유체가 방해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부(252)의 높이보다 같거나 높은 위치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부(254)의 높이가 더 높아야 한다.
연장부(254)의 반경은 연결부(252)의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연결부(252)의 압력을 더 낮게 하기 위함이다. 즉, 유체가 중력에 의해 이동하는 하부일수록 더 낮은 압력이 있어야 유체의 역류가 방지되므로, 연장부(254)의 반경은 연결부(252)와 가까워 질수록, 즉, 아래방향으로 내려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일반적으로, 유량이 많지 않을 경우에는 유체는 파이핑 플로우(piping flow) 즉, 풀 플로우(full flow)로 흐르지않고, 관벽을 타고 흘러내려간다(open channel flow). 오픈 채널 플로우는 유체가 대기와 접하며 흐르는 것이므로 모든 지점에서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되었듯이, 벤츄리 노즐(240)의 상부의 압력(P1), 내부 통로(220)의 내부의 압력(P2), 벤츄리 노즐(240)의 하부의 압력(P3) 및 분지관(250) 내부의 압력(P4)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역류는 일어나지 않고, 이는 기존의 드레인 시스템에서도 문제되지 않는다. 이 때에는 벤츄리 노즐(240)과 메인 배관(2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체가 흐를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유량이 많을때에는 파이핑 플로우 즉, 배관 전체를 유체가 채우며 흘러가게된다. 일반적으로 파이핑 플로우의 경우 메인 배관(210) 내의 압력차가 생기게 되어 유체의 역류가 발생할 수 있다. 파이핑 플로우의 경우에는 벤츄리 노즐(240)의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까지 유체가 흐를 수 있다. 물론, 벤츄리 노즐(240)의 내부가 단면적이 훨씬 크므로 대부분의 유체는 벤츄리 노즐(240)의 내부로 흐를 수 있다. 벤츄리 노즐(240)의 내부에서는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므로 유체의 속도가 점차 커지게된다. 이 때,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하여 유체의 속도 에너지가 증가한만큼 유체의 압력 에너지가 낮아지므로 벤츄리 노즐(240)의 내부의 압력(P2)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압력의 강하는 벤츄리 노즐(240)의 사이즈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벤츄리 노즐(240)의 내부의 압력(P2)을 분지관(250) 내부의 압력(P4)보다 낮도록 벤츄리 노즐(240)의 크기를 정한 경우에 유체의 역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벤츄리 노즐(240)의 상부의 압력(P1)은 벤츄리 노즐(240)의 내부의 압력(P2)보다 크게 되고, 벤츄리 노즐(240)의 하부의 압력(P3)은 벤츄리 노즐(240)의 내부의 압력(P2) 보다 크다. 단, 분지관(250) 내부의 압력(P4) 역시 벤츄리 노즐(240)의 내부의 압력(P2)보다 커지므로, 역류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은 각각의 분지관(250) 마다 체크 밸브를 설치할 필요도 없이 단순히 하나의 레벨의 영역에 하나의 벤츄리 노즐(240)만을 포함하면 되므로 드레인 시스템 설치 및 운영 비용이 매우 감소될 수 있다. 나아가, 유지 보수도 용이하고, 설치도 용이한 드레인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을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거나 간략히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합류부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드레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합류부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합류부(201)는 메인 배관(211), 벤츄리 노즐(221) 및 분지관(251)을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은 유사하나, 벤츄리 노즐(221)은 그 형상을 달리한다. 즉, 벤츄리 노즐(221)은 일 측면이 메인 배관(211)의 내벽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벤츄리 노즐(221)을 따로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부재의 설치가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작업도 용이하고, 자재의 절감도 가져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00: 합류부 210: 메인 배관
220: 내부 통로 230: 노즐 서포트
240: 벤츄리 노즐 250: 분지관

Claims (3)

  1. 상하로 연장된 메인 배관;
    상기 메인 배관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 배관의 내벽과 이격되어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 방향의 아래쪽으로 반경이 점차 줄어드는 상부 영역과, 상기 연장 방향의 아래쪽으로 반경이 점차 늘어나는 하부영역과, 상기 상부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이 연결되는 내부 통로를 포함하는 벤츄리 노즐;
    상기 벤츄리 노즐의 외벽와 상기 메인 배관의 내벽을 연결하는 노즐 서포트(support); 및
    상기 메인 배관의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메인 배관의 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분지관을 포함하되,
    상기 분지관은 상기 내부 통로의 측면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보다 높게 위치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직경은 상기 연결부에 가까울수록 작아지는 드레인 시스템.
  2. 삭제
  3. 상하로 연장된 메인 배관;
    상기 메인 배관의 내부에서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 방향의 아래쪽으로 반경이 점차 줄어드는 상부 영역과, 상기 연장 방향의 아래쪽으로 반경이 점차 늘어나는 하부영역과, 상기 상부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이 연결되는 내부 통로를 포함하는 벤츄리 노즐; 및
    상기 메인 배관의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메인 배관의 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분지관을 포함하되,
    상기 벤츄리 노즐의 일 측벽과 상기 메인 배관의 일측벽이 서로 접촉하되,
    상기 분지관은 상기 내부 통로의 측면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보다 높게 위치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직경은 상기 연결부에 가까울수록 작아지는 드레인 시스템.
KR1020140093957A 2014-07-24 2014-07-24 드레인 시스템 KR101690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957A KR101690976B1 (ko) 2014-07-24 2014-07-24 드레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957A KR101690976B1 (ko) 2014-07-24 2014-07-24 드레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475A KR20160012475A (ko) 2016-02-03
KR101690976B1 true KR101690976B1 (ko) 2016-12-29

Family

ID=5535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957A KR101690976B1 (ko) 2014-07-24 2014-07-24 드레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9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2369A (en) * 2019-03-21 2020-09-23 Samatek Ltd Rag relief for overflow screen
CN112081217A (zh) * 2020-08-12 2020-12-15 杭州易薪科技创新有限公司 一种防臭地漏芯
CN115029982A (zh) * 2022-06-27 2022-09-09 杭州禹航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透水路面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310Y1 (ko) * 1998-06-26 2002-04-13 권태봉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CN101979918A (zh) 2010-11-02 2011-02-23 肥城白庄煤矿有限公司 喷水减温器
JP2013011088A (ja) * 2011-06-29 2013-01-17 Toei Kanki Kk 合流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977A (ja) 2000-02-20 2001-08-24 Tonichi Kogyo Kk 水抜きボーリングの排水量増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310Y1 (ko) * 1998-06-26 2002-04-13 권태봉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CN101979918A (zh) 2010-11-02 2011-02-23 肥城白庄煤矿有限公司 喷水减温器
JP2013011088A (ja) * 2011-06-29 2013-01-17 Toei Kanki Kk 合流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475A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976B1 (ko) 드레인 시스템
JP4252553B2 (ja) 建造物内の排水設備
US9249897B2 (en) Double action float valve
SE1350040A1 (sv) Pumpstation
US10323396B2 (en) Way out valve for urinals with double little ball
US20190093326A1 (en) Flush mechanism for toilets
JP6581428B2 (ja) 田んぼダムシステム
JP4109398B2 (ja) 真空式下水道システム
KR200456565Y1 (ko) 에어컨응축수 배수처리시스템의 사이펀현상방지구조
JP4907640B2 (ja) 排水配管の継手装置
JP2008156924A (ja) 合流部構造
JP4754195B2 (ja) ボール逆止弁とこれを用いた排水制御装置
KR102280607B1 (ko) 유연성 시트를 이용한 거품 저감 배수 구조체
JP2022167473A (ja) サイホン排水システム
KR101371151B1 (ko) 밸브실
JP2012077568A (ja) 逆流防止機能付き排水装置
JP2010065792A (ja) 空気排出装置
JP2011184933A (ja) 雨水排出システムおよび雨水排出システムの施工方法
JP2011021366A (ja) 逆流防止構造
JP4448366B2 (ja) ボール逆止弁の配管構造
JP2019105101A (ja) 非常用貯水タンク
US8763629B1 (en) Double action float valve
EP1975327A1 (en) Vacuum fluid transfer system
TWM514486U (zh) 落水頭構造
FI126293B (en) Hardware for a fluid line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