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437Y1 - 분리관 - Google Patents

분리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437Y1
KR0116437Y1 KR2019940026150U KR19940026150U KR0116437Y1 KR 0116437 Y1 KR0116437 Y1 KR 0116437Y1 KR 2019940026150 U KR2019940026150 U KR 2019940026150U KR 19940026150 U KR19940026150 U KR 19940026150U KR 0116437 Y1 KR0116437 Y1 KR 0116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age
tube
joint cap
bottom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6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991U (ko
Inventor
이해명
Original Assignee
이해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명 filed Critical 이해명
Priority to KR2019940026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437Y1/ko
Publication of KR960014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9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437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원형관, 기타형태의 이중관으로서 성분이 다른 유체를 이송하는 관의 종말에 설치하여 이중관의 내외부관으로 이송되는 유체를 각각 다른관에 연결할 경우에 꼭 필요한 장치로서 고안된 유체분리관으로, 중앙부 우수관 (2) 과 바깥부의 생활오수관 (3) 이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이중관으로 나사를 갖는 죠인트 캡(4)이 있어서 우수관(2)을 중앙부에 지지하며, 한측면에 연결되는 연결관(6)과 오수관(3)이 연통되는 형태로 된 분리관(1)이다.

Description

분리관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분리관의 일부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분리관의 조립된 상태와 사용상태를 함께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몸통4:우수관지지부
6:죠인트캡10:오수배출구
본 고안은 아파트와 같은 대형건물에서 옥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와 각층의 베란다나 다용도실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분리시켜서 흐르도록 해주는 분리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우수와 오수를 구분하지 않고 단일 배수관을 설치하거나 우수관과 오수관을 각각 별도로 배관해왔었다.
전자의 경우에는 수질오염문제를 야기시키는 관계로 환경문제가 대두된 오늘날 실시될 수 없는 것이고, 후자의 경우는 우수관과 오수관을 각각 배관하는데 다른 건물시공비용의 가중은 물론 공간활용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인바, 본 고안의 목적은 동심원상에 2중으로 배관되는 우수관과 오수관으로 부터 유입되는 우수와 오수를 배관의 종말단계에서 각각 분리시켜서 원활하게 배수시켜줄 수 있는 분리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상부가 개방되어있고 하부가 저벽(2)으로 막혀진 몸통(1)의 저벽(2)중앙아래쪽에는 우수관(3)이 관통하는 우수관지지부(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부(4)의 외주면에는 숫나사(5)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지지부(4)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부(4)를 관통하는 우수관(3)이 끼워진 상태를 고정시켜주는 죠인트캡(6)이 나사결합되어있다.
죠인트캡(6)은 상기 우수관(3)이 관통하는 구멍(7)이 형성되어있는데 이 구멍(7)의 위쪽에는 상기 지지부(4)의 숫나사(5)와 맞물려지는 암나사(8)가 형성되어 있어서, 죠인트갭(6)을 잠그어주는 것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4)와 죠인트캡(6)자신의 구멍(7)을 관통하는 우수관(3)을 붙잡아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되어있다.
몸통(1)의 일측에는 몸통(1)의 저벽(2)과 측벽(9)으로부터 한몸체로 하여서 연장된 오수배출구(10)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1)의 상부에는 환상플랜지(11)가 형성되어있고, 이 환상플랜지(11)에는 나사끼움구멍(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13)를 이용하여서 제 2 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몸통(1)의 환상플랜지(11)위쪽 연장부(14)를 통상의 배구수(15)의 하단부에 있는 환상요입부(16)속에 끼운 상태에서 배수구(15)의 하단부에 있는 돌기(17)에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8 은 오수의 배수용 앨보우이고, 19 는 건물옥상에 있는 우수배수구이며, 20 은 오수관이고, 21 은 우수관 연결소켓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 몸통(1)의 우수관지지부(4)와 죠인트캡(6)은 나사결합시 즉, 죠인트캡(6)을 조여줄 때 오수관지지부(4)의 내경이 축소되어서 오수관지지부(4)를 관통하는 우수관(3)을 고정시켜주는 것이므로 나사결합면이 테이퍼지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 2 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아파트와 같은 대형건물의 옥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a)와 각층의 베란다나 다용실로부터 유입되는 오수(b)를 배수시켜주는 동심원상의 우수관(3)과 오수관(20)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상기 우수(a)와 오수(b)를 분리 배출시켜주는 것인바, 몸통(1)자체는 몸통(1)의 상부에 있는 연장부(14)를 건물의 시공시 콘크리트층에 매입된 통상의 배수구(15)의 환상요입부(16)에 끼워넣고 환상플랜지(11)를 배수구(15)의 돌기(17)와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나사(13)를 조여서 고정된다.
몸통(1)의 저벽(2)중앙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우수관지지부(4)속으로는 우수관(3)을 관통시키고, 우수관(3)이 관통하는 죠인트캡(6)의 암나사(8)와 상기 우수관지지부(4)의 숫나사(5)를 나사결합시켜서 죠인트캡(6)을 잠그어주면 상기 우수관(3)이 관통하는 우수관지지부(4)의 내경크기가 작아지게되어서 우수관(3)이 몸통(1)에 고정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우수관(3)속의 우수(a)는 우수관(3)의 길이방향쪽으로 배수되도록 하고, 오수관(20)속의 오수(b)는 몸통(1)의 저벽(2)위에서 일측에 있는 오수배출구(10)쪽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우수(a)와 오수(b)를 분리배수시켜주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우수(a)와 오수(b)의 흐름저항을 야기시키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분리배수시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통상의 배구수(15)와 끼워맞춤되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하부가 저벽(2)으로 막혀진 몸통(1)의 저벽(2)중앙의 아래쪽에는 외주면에 숫나사(5)를 가진 우수관지지부(4)가 연장되어있고, 통상의 우수관(3)이 관통하는 구멍(7)의 윗쪽에 상기 숫나사(5)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8)를 가진 죠인트캡(6)이 상기 우수관지지부(4)에 결합되어있어서 죠인트캡(6)을 조여주는 것에 의하여 우수관(3)을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몸통(1)의 일측에는 몸통(1)의 저벽(1)과 측벽(9)으로부터 연장된 오수배출구(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관.
KR2019940026150U 1994-10-07 1994-10-07 분리관 KR0116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150U KR0116437Y1 (ko) 1994-10-07 1994-10-07 분리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150U KR0116437Y1 (ko) 1994-10-07 1994-10-07 분리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991U KR960014991U (ko) 1996-05-17
KR0116437Y1 true KR0116437Y1 (ko) 1998-07-01

Family

ID=60853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6150U KR0116437Y1 (ko) 1994-10-07 1994-10-07 분리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4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001B1 (ko) * 2001-03-14 2004-03-02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991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8803B2 (en) Extendible p-trap dishwasher waste port
JP2022100873A (ja) 雨水排水構造
KR0116437Y1 (ko) 분리관
US6341618B1 (en) Plumbing stop valve and method of use
JP4454412B2 (ja) 床下配管の通気構造
KR200317535Y1 (ko) 오수 및 우수 배수·배관용 연결구조
KR200226282Y1 (ko) 조립식 욕실용 보조 배수트랩
JPH07317245A (ja) 軒樋用ドレン
KR200265573Y1 (ko) 배수트랩
JP3929597B2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KR20190074056A (ko) 배수관 회전조인트
JPH11131582A (ja) 排水管と排水桝との接続装置
CN212294889U (zh) 一种防渗漏潜置地漏管道结构
KR200204329Y1 (ko) 배수트랩
CN219547927U (zh) 一种集成式的排水管组件
KR100211522B1 (ko) 건물의 오수, 우수분리배수용 이중관의 시공방법
KR200204327Y1 (ko) 배수트랩
RU22160U1 (ru) Смотровой колодец
CN213709740U (zh) 一种下水管组件
CN212405355U (zh) 一种家装排水用同层排水汇合器
US4323270A (en) Pipe fitting device for plumbing systems
KR200289237Y1 (ko) 배수트랩과 배수밸브 사이의 중간 연결구
KR200289780Y1 (ko) 배수트랩
KR20110033406A (ko) 오수받이
KR200314109Y1 (ko) 오수 및 우수 배수·배관용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