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406A -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406A
KR20110033406A KR1020090090896A KR20090090896A KR20110033406A KR 20110033406 A KR20110033406 A KR 20110033406A KR 1020090090896 A KR1020090090896 A KR 1020090090896A KR 20090090896 A KR20090090896 A KR 20090090896A KR 20110033406 A KR20110033406 A KR 20110033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op
outlet
port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원
Original Assignee
장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원 filed Critical 장동원
Priority to KR102009009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3406A/ko
Publication of KR20110033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지내나 공장지내 등에 배관되고 있는 배수관로의 기점이나 합류점이나 굴곡점 등에 설치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유입관(예를 들면 택지내 배수관)과 유출관(예를 들면 공공 배수본관)과의 사이에 낙차가 없는 경우와 큰 낙차가 있는 경우로 오수받이를 나누어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설비투자가 커지고, 사용 품종을 선택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되며, 재고 관리도 번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오수받이 본체의 주벽에 상류측의 유입관과 접속하는 유입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하류측의 유출관과 접속하는 유출구를 형성하고, 오수받이 본체의 저벽에 드롭관과 접속하는 드롭구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오수받이에 의하면 유입관과 유출관을 거의 낙차 없이 접속하는 경우와 소정의 단차를 마련해 접속하는 경우에 모두 겸용할 수 있게 되므로 설비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 품종을 선택하는 번거로움이 없게 되며, 재고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오수받이 본체, 주벽, 저벽, 유입구, 유출구, 드롭구, 유로 형성 부재, 밀폐마개

Description

오수받이 { a drain sewage }
본 발명은 택지내나 공장지내 등에 배관되고 있는 배수관로의 기점이나 합류점이나 굴곡점 등에 설치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 있어서의 부엌이나 욕실이나 화장실 등으로부터의 배수지관이 택지내 배수관과 합류하는 장소나 택지내 배수관과 공공 배수 본관과의 합류점 등에는 오수받이가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수지관과 택지내 배수관 또는 택지내 배수관과 공공 배수본관은 흐름 구배를 갖게 하는 정도의 기울기는 있어도 거의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배관되고 있다.
따라서 그러한 장소에는 오수받이 본체의 주벽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고 있고, 상류측의 유입관과 하류측의 유출관을 거의 낙차 없이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수받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계단상에 조성된 택지에 있어서 택지내 배수관과 공공 배수 본관과의 사이에 큰 낙차가 있는 경우에는 오수받이 본체의 주벽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오수받이 본체의 저벽에 드롭구가 형성되며, 유입구에 접속한 유입관과 드롭구에 드롭관을 통해 접속한 유출관을 일정 낙차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한 오수받이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유입관(예를 들면 택지내 배수관)과 유출관(예를 들면 공공 배수본관)과의 사이에 낙차가 없는 경우와 큰 낙차가 있는 경우로 오수받이를 나누어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오수받이의 종류가 많아지면 그 만큼 금형의 종류도 많아져 설비투자가 커지고, 사용 품종을 선택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되며, 재고 관리도 번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유입관과 유출관을 거의 낙차 없이 접속시키는 경우와 소정의 단차를 마련해 접속시키는 경우에 겸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수받이 본체의 주벽에 상류측의 유입관과 접속하는 유입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하류측의 유출관과 접속하는 유출구 를 형성하고, 오수받이 본체의 저벽에 드롭관과 접속하는 드롭구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에서는 저벽에 마련된 드롭구를 소정 형상을 가지는 유로 형성 부재로 밀폐하고 유입구에 상류측의 유입관을 접속함과 동시에 유출구에 아래 류측의 유출관을 접속하면 유입관과 유출관은 대부분 낙차 없이 접속된다.
그리고 측벽에 형성되고 있는 유출구를 소정 형상을 가지는 밀폐마개로 밀폐하고 유입구에 상류측의 유입관을 접속함과 동시에 드롭구에 드롭관을 통해 하류측의 유출관을 접속하면 유입관과 유출관은 드롭관의 길이에 응한 낙차를 가지면서 접속된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는 유입관과 유출관을 거의 낙차 없이 접속하는 경우와 소정의 단차를 마련해 접속하는 경우에 모두 겸용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설비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 품종을 선택하는 번거로움이 없게 되며, 재고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는 본 발명의 드롭구를 밀폐한 상태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동 실시예의 유출구를 밀폐한 상태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동 실시예의 오수받이 본체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는 동 실시예의 유로 형성 부재의 정면도 및 밀폐마개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5에서 도면부호 1은 오수받이 본체, 2는 드롭구를 밀폐하여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 형성 부재, 3은 유입구는 유출구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마개이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에 있어서 상기 오수받이 본체(1)는 상부에 입상관(P1)과 접속되는 입상관 접속구(11)가 마련되고, 주벽(1a)에 상류측의 유입관(P2)이 접속되는 유입구(12)가 3개 형성되는 동시에 하류측의 유출관(P3)이 접속되는 1개의 유출구(13)가 형성되며, 저벽(1b)에 드롭관(P4)이 접속되는 드롭구(14)가 형성된다.
상기 3개의 유입구(12)와 유출구(13)는 모두 간격이 같게 되도록 90도 핏치로 마련되고, 유입관(P2)와 유출관(P3)에 소정의 흐름 구배(θ)를 갖게 하도록 약간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상기 유출구(13)은 그의 180도 반대 측에 위치하는 유입구(12)와 같은 축상에 마련되고, 드롭구(14)는 입상관 접속구(11)와 같은 축상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에 있어서 유로 형성 부재(2)는 오수받이 본체(1)의 드롭구(14)에 삽입 결합되면 오수받이 본체(1)의 저벽(1b)에 밀착되는 외주면(2a)과 드롭구(14)를 밀폐하는 하부면(2b)과 오수받이 내부 하단을 형성하는 상부면(2c)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로 형성 부재(2)는 상부면(2c)을 상기 유입구(12)에 접속한 유입관(P2) 및 상기 유출구(13)에 접속하여 유출관(P3)와 동일한 흐름 구배로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면(2c)이 하부면(2b)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상부면(2c)을 유입구(12)의 저부 및 유출구(13)의 저부와 단차 없게 연속시킬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며, 외주면(2a)에 밀폐링(21)의 접속을 위한 링홈(22)이 형성된다.
한편 밀폐마개(3)는 도 5와 같이 오수받이 본체(1)의 유출구(13)에 삽입 결합하면 유출구(13)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실린더부(3a)와 유출구(13)의 단면에 당접하는 플랜지부(3b)로 구성되며, 실린더부(3a)의 외주면에 밀폐링(31)의 접속을 위한 링홈(32)이 형성된다.
상기 밀폐마개(3)는 실린더부(3a)의 선단이 오수받이 본체(1)의 주벽(1a)의 내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수받이에 있어서 도 1a와 같이 오수받이 본체(1)의저벽(1b)에 마련된 드롭구(14)에 유로 형성 부재(2)를 삽입 결합하여 드롭구(14)를 밀폐하고 유입구(12)에 상류측의 유입관(P2)를 접속함과 동시에 유출구(13)에 하류측의 유출관(P3)를 접속하면 유입관(P2)와 유출관(P3)은 흐름 구배θ를 갖게 하는 정도의 기울기만으로 낙차 없이 접속된다.
또한 도 1b와 같이 오수받이 본체(1)의 주벽(1a)에 형성되고 있는 유출구(13)을 밀폐하고 유입구(12)에 상류측의 유입관(P2)를 접속함과 동시에 드롭구 (14)에 드롭관(P4)를 개입시켜 하류측의 유출관(도시 생략)을 접속하면 유입관(P2) 와 유출관은 드롭관(P4)의 길이에 따른 낙차를 가지면서 접속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설계의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는 유입구가 3개 형성되고 있는 경우를을 나타냈지만, 유입구의 개수는 2개 혹은 1개이어도 무방하며, 주벽에 형성되고 있는 유출구와 유입구의 간격은 모두 동일 간격으로 할 필요는 없고, 각각 다르게 해도 괜찮다.
또한 유로 형성 부재 및 밀폐마개는 유출구 또는 유입구를 밀폐 상태로 밀폐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의 것을 사용해도 괜찮으며, 유입구 및 유출구의 형상은 원형외의 것이라도 무방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드롭구를 밀폐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b는 동 실시예의 유출구를 밀폐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평면도
도 3는 동 실시예의 오수받이 본체의 종단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유로 형성 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동 실시예의 밀폐마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오수받이 본체
1a : 주벽
1b : 저벽
11 : 입상관 접속구
12 : 유입구
13 : 유출구
14 : 드롭구
2 : 유로 형성 부재
3 : 밀폐마개

Claims (1)

  1. 상부에 입상관(P1)과 접속되는 입상관 접속구(11)가 마련되는 오수받이 본체(1)의 주벽(1a)에 상류측의 유입관(P2)이 접속되는 유입구(12)가 형성되는 동시에 하류측의 유출관(P3)이 접속되는 유출구(13)가 형성되며, 저벽(1b)에 드롭관(P4)이 접속되는 드롭구(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KR1020090090896A 2009-09-25 2009-09-25 오수받이 KR20110033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896A KR20110033406A (ko) 2009-09-25 2009-09-25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896A KR20110033406A (ko) 2009-09-25 2009-09-25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406A true KR20110033406A (ko) 2011-03-31

Family

ID=4393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896A KR20110033406A (ko) 2009-09-25 2009-09-25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34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7469A (ja) * 2014-01-21 2015-07-3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汚水排出システムおよびそれと下水本管とを接続する方法
JP2015145584A (ja) * 2014-02-03 2015-08-13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7469A (ja) * 2014-01-21 2015-07-3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汚水排出システムおよびそれと下水本管とを接続する方法
JP2015145584A (ja) * 2014-02-03 2015-08-13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620B1 (ko) 오수받이
GB2510806A (en) Plumbing overflow
KR20110033406A (ko) 오수받이
KR100995348B1 (ko) 맨홀구조체
CN2863923Y (zh) 防水接漏器
CN104047360B (zh) 大流量防反溢防干涸水封防臭可泄洪安全地漏
CN202466775U (zh) 防臭型小便器下水组件及具有该下水组件的小便器
CN110043737B (zh) 一种具有渗漏水连接口的预埋型旋流接头
US20170051482A1 (en) Trap integrated drain device for washbasin
CN203320640U (zh) 一种排水管道组件
CN207620060U (zh) 一种下水道口防味器
CN208793856U (zh) 管道气体密封堵头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20080084223A (ko) 하수용 배수트랩
CN110485518A (zh) 一种厨房垃圾处理器的三通排水管件
JP3094335U (ja) 地滑り対策用集水パイプ
KR101361120B1 (ko) 확장관의 내부 장착용 악취차단장치
CN219100225U (zh) 一种不易堵塞的浴室下水管道
CN201047226Y (zh) 重力自闭式多用途地漏
CN219491174U (zh) 一种隐蔽式多口汇集排水盒
CN211621886U (zh) 一种止水节用地漏
CN216041551U (zh) 单槽菜盆防臭下水套件
KR20190074056A (ko) 배수관 회전조인트
KR20120056955A (ko) 싱크대 배수구 연결부재
KR101186960B1 (ko) 멀티트랩 오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