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384Y1 -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384Y1
KR200305384Y1 KR20-2002-0036590U KR20020036590U KR200305384Y1 KR 200305384 Y1 KR200305384 Y1 KR 200305384Y1 KR 20020036590 U KR20020036590 U KR 20020036590U KR 200305384 Y1 KR200305384 Y1 KR 200305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age
tube
fixed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점순
Original Assignee
박점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점순 filed Critical 박점순
Priority to KR20-2002-0036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3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3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4Odour seals having U-shaped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등과 같은 다층식 구조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상,하층으로 관통되어 배관되는 배수관을 연결하여 오수(생활폐수) 및 우수(빗물) 등과 같은 하수를 용이하게 배수시킴은 물론 배수구를 통한 이들의 역류방지 및 악취 또는 해충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는 아파트 등과 같은 다층식 건축물의 상,하층으로 관통되는 상층 배수관과 하층 배수관을 연결함에 있어, 거푸집상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측으로 고정몸체와 조절몸체가 순차적으로 조립구성되며, 상기 조절몸체의 상부측으로 "U"자 형상의 봉수트랩 구조를 갖는 가림판이 장착되고 상기 가림판의 상부측으로부터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된 합류관 및 이에 나합되는 조립관이 순차적으로 조립되며, 이들 상부측으로 작동관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고정관체가 조립구성되되, 상기 고정관체는 작동관체의 회전작동에 의해 승하강작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A SEWAGE AND RAINWATER PIPE'S CONNECTING STRUCTURE}
본 고안은 다층식 구조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배수관을 연결하여 오수 및 우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관용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아파트 베란다의 적정부를 관통하여 하층으로 연통·배관되는 상,하층 배수관을 연결하여 오수(생활폐수) 및 우수(빗물) 등과 같은 하수를 용이하게 배수시킴은 물론 배수구를 통한 이들의 역류방지 및 악취 또는 해충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 주택, 아파트 등과 같은 다층식 건축물의 경우에는 오수 및 우수 등과 같은 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관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바, 특히 옥상으로부터 각 층의 베란다 혹은 다용도실의 적정부를 관통하여 하층으로 연결되는 배수관을 통해 옥상에서의 빗물 또는 각 층의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배수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배수구조는 통상적으로 상층 바닥면과 하층 천정면을 관통하여 배관되는 배수관 파이프와, 상기 각 층의 배수관 파이프가 연결되는 바닥면에 유입공이 형성된 배관용 연결부재를 착설하여 이들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에 의한 배관 시공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부재를 거푸집상에 고정시킨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을 형성하고, 그 위에 타일등의 장식부재를 부착하여 마감한 후, 상기 연결구의 상,하로 배수관 파이프를 연결하면 옥상 및각층에서 내려오는 오수 및 우수가 상기 연결구를 통해 합류되면서, 지하의 하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하층으로 연통되는 배수관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종래 연결부재의 경우에는 배수를 위한 상기 연결부재의 유입공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하수가 상기 배수관을 통해 낙하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입공들을 통해 소음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층으로 배수되는 오수 및 우수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상층으로 역류되면서 상기 연결부재의 유입공들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어 심한 냄새를 발생시키게 될 우려가 있었고, 더욱이 하층에서 발생되는 각종 벌레들이나 해충들이 상층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입공들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면서 실내의 분위기를 크게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악취 및 벌레 등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각종 배수트랩들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러한 기존 배수트랩의 경우에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설치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수트랩의 경우에는 기존에 시공되어 있는 배관용 연결부재와는 호환성이 없어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재시공에 따른 과도한 경비가 소요될 뿐만아니라, 건물의 균열 발생을 유도하게 되어 치명적인 악영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아파트 등과 같은 다층식 구조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상,하층 배수관을 연결함에 있어, 상기 상층 배수관에 연결되어 승하강작동되는 고정관체와 조립관체에 의해 상기 배수관이 연결·설치되는 바닥면의 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층 및 하층으로 관통되어 배관되는 배수관을 통해 오수 및 우수 등과 같은 하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배수되는 하수의 낙수에 의한 소음 및 악취의 역류 현상이나 벌레등과 같은 해충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켜줄 수 있는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시공되어 있는 배관용 연결부재에 간편하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시공에 따른 시공경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는 아파트 등과 같은 다층식 건축물의 상,하층으로 관통되는 상층 배수관과 하층 배수관을 연결함에 있어, 거푸집상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측으로 고정몸체와 조절몸체가 순차적으로 조립구성되며, 상기 조절몸체의 상부측으로 "U"자 형상의 봉수트랩 구조를 갖는 가림판이 장착되고 상기 가림판의 상부측으로부터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된 합류관과 이에 나합되는 조립관이 순차적으로 조립되도록 하여, 이들 상부측으로 조립되는 고정관체와 작동관체의 승하강작동에 의해 하층 배수관과 연통되는 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연결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연결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사시도.
도 3a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연결부재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동관체 10a: 걸림돌기
10b: 암나사부 14 : 고정관체
14a: 걸림턱 15 : 밀착부재
20 : 조립관 22 : 숫나사부
30 : 합류관 32 : 유입구
40 : 가림판 42 : 봉수트랩
50 : 조절몸체 60 : 고정몸체
70 : 고정부재 80,90 : 상,하층 배수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연결부재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연결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a및 도 3는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연결부재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의 단면구성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아파트 등과 같은 다층식 건축물의 상층 배수관(80)과 하층 배수관(9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면에 단턱부(72)를 갖는 고정부재(70)와, 상기 고정부재(70)의 상부측에 결합되며 그 하부측으로 상기 하층 배수관(90)의 상단을 수용할 수 있는 고정몸체(60)와, 상기 고정몸체(60)의 상부측에 나합되어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절몸체(50)와, 상기 조절몸체(50)의 상부측으로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가림판(40)과, 상기 가림판(40)의 상부측에서 조절몸체(50)의 내측으로 삽입·장착되며 외주면 상단부에 다수의 유입구(32)가 형성된 합류관(30)과, 상기 합류관(30)의 상부에 나합되고 상층 배수관(80)의 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조립관(20)이 순차적으로 조립구성된 배수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립관(20)은 상단부 외주면에 숫나사부(22)가 형성되고, 그 상부측으로부터 고정관체(14)가 작동관체(10)의 회전작동에 의해 승하강작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고정관체(14)는 상기 합류관(30) 및 조립관(20)의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합류관(30)의 유입구(32)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그 하단부에 밀착부재(15)가 끼워져 고정·설치되며 상단부 내측으로 걸림턱(14a)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관체(10)는 하단이 상기 고정관체(14)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4a)에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10a)가 형성되고 내주면의 안쪽 방향으로 상기 조립관(20)의 숫나사부(22)와 나합되는 암나사부(10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관체(14)는 이 상단부에 맞물려 결합되어 있는 작동관체(10)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작동시켜 주는 것에 의해 상기 조립관(20)의 나선부를 따라 상,하로 승하강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림판(40)은 외벽(42a)이 하부 내측으로 연장·절곡형성된 격벽(42b)과의 사이에 "U"자 형상을 이루는 봉수트랩(4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봉수트랩(42) 구조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물이 항상 고여있는 상태로서, 하층으로부터 배수관(90)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 및 해충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합류관(30)에 형성된 유입구(32)는 베란다 청소등에 의한 오수를 배수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원주상으로 균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관체(10)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환형을 이루는수용홈(11)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용홈(11) 내부에 기밀유지를 위한 기밀링(12)을 삽입하여 고정캡(13)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하층 배수관(80),(90) 연결시공시 연결부재들간의 틈새 사이로 누수 및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고정관체(14)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작동관체(10)는 그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0a)가 상기 고정관체(14)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4a)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관체(10)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관체(14)가 승하강작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합류관(30)의 유입구(32)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관용 연결부재들에 대한 조립 및 설치에 따른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관용 연결부재들간의 조립구조는 통상적으로 상기 고정부재(70)의 상부측으로부터 고정몸체(60)와 조절몸체(50)가 순차적으로 조립되고, 이들 상부측으로 가림판(40)이 장착되며 상기 가림판(40)의 상부측으로부터 합류관(30)과 이에 나합되어 배수관(80)의 설치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관(20)이 순차적으로 조립됨과 동시에, 그 상부측으로 고정관체(14)와 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관체(14)를 상,하로 승하강작동 가능하게 하는 작동관체(10)가 순차적으로 조립된다.
이때, 상기 조절몸체(50)는 상층 바닥면과 하층 천장면의 설치공간에 대해 이들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몸체(60)와 나사결합을 이루고있으며, 상기 고정몸체(60)와 조절몸체(50), 조립관(20)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면 유로상에는 다수개의 날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배수되는 하수가 와류현상에 의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낙수에 의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배관용 연결부재들을 이용한 시공과정은 도 3a 및 도 3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거푸짚(A)상에 상기 고정부재(70)를 볼트(미도시됨)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각층 베란다의 규격에 부합되는 고정몸체(60)를 선별하여 상기 고정부재(70)의 상부측으로 끼운 다음,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고정시킨다.
이렇게 하여 콘크리트(C)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몸체(60)상에 조절몸체(50)를 나합하여 끼우고, 그 상부측으로 바닥면과 일치되는 가림판(40)을 적층하여 고정시킨 다음, 타일(T)등과 같은 장식부재를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림판(40)의 상부측으로부터 합류관(30) 및 조립관(20)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주게 되는데,
상기 합류관(30)은 그 하단부가 상기 가림판(40)에 형성된 봉수트랩(42)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고정시키고, 그 상부측으로 조립관(20)의 하단부를 나선을 이용하여 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립관(20)은 상층 배수관(80)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부분으로서상,하층 배수관(80),(90)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작동관체(10)와 맞물려 결합되어 있는 고정관체(14)를 합류관(30) 및 조립관(20)의 외부로 완전히 씌워지는 형태로 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합류관(30)은 그 하부측에서 유입구(32)를 이루고 있는 하단부가 상기 가림판(40)에 형성되어 있는 환턱(44)에 걸려 지지·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가림판(40)은 그 하단부가 상기 조절몸체(50)의 상단부에 마련된 단턱(52)에 안착되어 지지·고정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고정관체(14)와 작동관체(10)는 상기 고정관체(14)의 상부측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작동관체(10)의 암나사부(10b)가 상기 조립관(20)의 숫나사부(22)에 나합되어 상기 작동관체(10)의 회전작동에 의한 나합정도에 따라, 상기 고정관체(14)가 상,하로 승하강작동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준비된 상,하층 배수관(80),(90)을 상기 고정몸체(60)의 하단과 상기 조립관(20)의 내측으로 각각 밀어 넣어서 끼운 다음, 상기 조립관(20)을 회전 상승시켜 상층 배수관(80)의 축방향으로 가압 장착되도록 하여 배관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배관용 연결부재들에 의한 배관작업이 완료되면, 첨부도면 도 3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관체(1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그 하부측에 결합된 고정관체(14)가 하강되면서 상기 고정관체(14)의 하단부가 상기 가림판(40)의 상부면과 밀착되어 외부와 연통된 합류관(30)의 유입구(32)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서 상기 하층 배수관(90)들을 통해 역류되는 하수의악취 및 벌레등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유입구(32)를 통해 낙수에 의한 소음 및 하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관체(14)의 하단부에는 밀착부재(15)가 고정설치 됨에 따라, 상기 유입구(32)의 폐쇄작동시 고정관체(14)의 하단부가 상기 가림판(40)의 상부면에서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베란다의 청소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오수를 배수시켜 주기 위해서는 첨부도면 도 3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관체(10)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하부측에 결합된 고정관체(14)를 승강시켜 주게 되면, 상기 고정관체(14)의 하단부가 상기 가림판(40)의 상부면에서 이격되면서, 상기 합류관(30)의 유입구(32)를 개방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유입구(32)를 통해 오수를 용이하게 배수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오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관체(10)를 다시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유입구(32)를 폐쇄시킨 상태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관체(14)의 일측으로 세탁기의 배수호스(100)를 연결·사용할 수 있는 연결구(16)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상기 세탁기의 배수호스(100)를 통해 배수되는 오수 및 세제거품이 상기 연결구(16)를 통해 배수로를 따라 직접 배수관(90)을 통해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세탁기에서 오수와 함께 배수되는 세제거품이 상기 유입구(32)를 통해 배수될 때, 배수되지 못한 세제거품이 배수구 주변에 잔류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거품이 상기 유입구(32)를 통해 외부로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에 의하면, 상기 상,하층 배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들의 상부측에 조립되어 작동관체의 회전작동에 의해 고정관체가 승하강작동되도록 함에 따라, 외부와 연통되는 합류관의 유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층 및 하층으로 관통되는 배수관들을 통해 오수 및 우수 등과 같은 하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배수되는 하수의 낙수에 의한 소음 및 악취의 역류 현상이나 벌레등과 같은 해충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될 뿐만아니라, 기존에 시공되어 있는 배수관 연결부재에 간편하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재시공에 따른 시공경비를 크게 절감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아파트 등과 같은 다층식 건축물의 상층 배수관(80)과 하층 배수관(9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면에 단턱부(72)를 갖는 고정부재(70)와, 상기 고정부재(70)의 상부측에 결합되며 그 하부측으로 상기 하층 배수관(90)의 상단을 수용할 수 있는 고정몸체(60)와, 상기 고정몸체(60)의 상부측에 나합되어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절몸체(50)와, 상기 조절몸체(50)의 상부측으로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가림판(40)과, 상기 가림판(40)의 상부측에서 조절몸체(50)의 내측으로 삽입·장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구(32)가 형성된 합류관(30)과, 상기 합류관(30)의 상부에 나합되고 상층 배수관(80)의 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조립관(20)이 순차적으로 조립구성된 배수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립관(2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숫나사부(22)가 형성되고, 그 상부측으로부터 고정관체(14)가 작동관체(10)의 회전작동에 의해 승하강작동 가능하게 조립되되,
    상기 고정관체(14)는 상기 합류관(30) 및 조립관(20)의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유입구(32)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하단부에 밀착부재(15)가 끼워져 고정설치되며;
    상기 작동관체(10)는 하단부에 상기 고정관체(14)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4a)에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돌기(10a)와, 내주면의 안쪽 방향으로 상기 조립관(20)의 숫나사부(22)와 나합되는 암나사부(10b)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관체(10)의 회전작동에 따라 이와 맞물려 있는 고정관체(14)가 상기 조립관(20)의 나선부를 따라 승하강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40)은 외벽(42a)이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내향 절곡된 격벽(42b)과의 사이에 "U"자 형상을 이루는 봉수트랩(42)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관체(10)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환형의 수용홈(11)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11)에는 기밀링(12)과 고정캡(13)이 순차적으로 끼워져 조립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체(14)의 일측으로 세탁기의 배수호스(100)를 연결·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구(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KR20-2002-0036590U 2002-12-06 2002-12-06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KR200305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590U KR200305384Y1 (ko) 2002-12-06 2002-12-06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590U KR200305384Y1 (ko) 2002-12-06 2002-12-06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384Y1 true KR200305384Y1 (ko) 2003-02-25

Family

ID=4940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590U KR200305384Y1 (ko) 2002-12-06 2002-12-06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38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528B1 (ko) * 2015-04-24 2015-12-10 박병호 베란다 우수관용 배수장치
KR20190016266A (ko) * 2017-08-08 2019-02-18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KR102209778B1 (ko) * 2020-11-25 2021-01-29 (주)세이프코리아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528B1 (ko) * 2015-04-24 2015-12-10 박병호 베란다 우수관용 배수장치
KR20190016266A (ko) * 2017-08-08 2019-02-18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KR102035288B1 (ko) * 2017-08-08 2019-10-22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KR102209778B1 (ko) * 2020-11-25 2021-01-29 (주)세이프코리아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793B1 (ko) 건축구조물 바닥 배수구 방수막 이음판 드레인 제작설치구조
KR20100042619A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KR200305384Y1 (ko)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KR200372522Y1 (ko) 아파트 욕실의 오수 배수장치
KR200317535Y1 (ko) 오수 및 우수 배수·배관용 연결구조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20070035953A (ko) 배수관 이음매 및 이를 이용한 배수관 구조
KR200305385Y1 (ko)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KR200305383Y1 (ko)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KR100658160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배수구조
JP3681688B2 (ja) 排水配管の継手装置
KR101701804B1 (ko) 공동주택의 드레인 환경 개선용 배관라인
KR200417636Y1 (ko) 배수트랩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KR102489671B1 (ko) 통합 벤트 드레인
KR200375384Y1 (ko) 조립식 이중 배수트랩
KR200305922Y1 (ko) 배수배관용 연결 플로어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KR200207070Y1 (ko) 아파트용 배수관 연결구
CN1932173A (zh) 一种用于同层排水的地漏
KR200395195Y1 (ko) 배수트랩용 종단관의 개선구조
KR102475401B1 (ko)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
KR200257176Y1 (ko) 배수파이프 연결 플로어
KR100441255B1 (ko) 배수트랩
KR200156422Y1 (ko) 배수관 연결장치
KR200314109Y1 (ko) 오수 및 우수 배수·배관용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