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422Y1 - 배수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422Y1
KR200156422Y1 KR2019960045043U KR19960045043U KR200156422Y1 KR 200156422 Y1 KR200156422 Y1 KR 200156422Y1 KR 2019960045043 U KR2019960045043 U KR 2019960045043U KR 19960045043 U KR19960045043 U KR 19960045043U KR 200156422 Y1 KR200156422 Y1 KR 200156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ixed
drain pipe
pip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271U (ko
Inventor
이종모
Original Assignee
박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용 filed Critical 박원용
Priority to KR2019960045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422Y1/ko
Publication of KR199800322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2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4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9Devices for preventing seepage around the floor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03F5/0411Devices for temporarily blocking inflow into a gu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2001/1206Pipes with specific features for influencing flow characteri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의 배란다 및 보일러실에 설치되는 배수관의 배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수관의 하단부와 연결된 배출트랩을 개폐식으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배출트랩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배수관을 통하여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내관(2)과 외관(3)으로 중첩형성하여 외관(3)의 외주연부에 결합스크류(4)를 형성하여 배수관(P)과 연결고정토록 된 고정관체(1)와, 상기 고정관체(1)의 외관(3)에 형성된 결합스크류(4)와 결합되는 개폐관(10)과, 중앙부에 상협하광의 걸름망(21)을 형성하고, 이 걸름망(21)의 하단부에 고정격판(22)에 의하여 일체화된 삽착관(23)을 형성하여 상기 개폐관(10)의 하단부에 고정된 슬라이드링(13)이 삽입되어 밀폐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걸름관체(20)와, 상기 걸름관체(20)가 안착되도록 단턱(31)을 상단부에 형성하고, 내측 상단부에 다수의 유수안내돌기(32)를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비스듬히 형성하여서 된 배수전(30)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관 연결장치
도면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관체 2 : 내관
3 : 외관 4 : 결합스크류
10 : 개폐관 12 : 밀폐링
13 : 슬라이드링 20 : 걸름관체
21 : 걸름망 22 : 고정격판
30 : 배수전 32 : 유수안내돌기
본 고안은 아파트의 배란다 및 보일러실에 설치되는 배수관의 배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베란다와 보일러실에는 상층에서 하층에 이르기까지 건물 내측으로 배수관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베란다 또는 보일러실에서 물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된 물은 하층과 연결된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되게 되는 바, 사용된 폐수를 배수관으로 흘려보내기 위하여 배수관의 하단부에는 배출트랩이 설치되고, 폐수 배출구가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노출된 폐수배출구로 하수관에서 발생된 각종의 악취가 역류되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게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상기 폐수배츨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배수관의 하단부와 연결된 배출트랩을 개폐식으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배출트랩을 밀폐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내관(2)과 외관(3)으로 중첩형성하여 내관(2)과 외관(3) 사이에 결합홈(5)을 형성하고, 외관(3)의 외주연부에 결합스크류(4)를 형성하여 배수관(P) 연결고정토록 된 고정관체(1)와, 상기 고정관체(1)의 외관(3)에 형성된 결합스크류(4)와 결합되는 나선(11)을 내주면에 형성하고, 상단부에는 밀폐링(12)을 결합하며, 하단부에는 슬라이드링(13)을 결합하여서 된 개폐관(10)과, 중앙부에 상협하광의 걸름망(21)을 형성하고, 이 걸름망(21)의 하단부에 고정격판(22)에 의하여 일체화된 삽착관(23)을 형성하되, 상기 걸름망(21)과 삽착관(23)사이에 단턱(24)을 형성하여 상기 개폐관(10)의 하단부에 고정된 슬라이드링(13)이 삽입되어 밀폐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걸름관체(20)와, 상기 걸름관체(20)가 안착되도록 단턱(31)을 상단부에 형성하고, 내측 상단부에 다수의 유수안내돌기(32)를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비스듬히 형성하여서 된 배수전(30)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고정관체(1)의 내관(2)은 걸름관체(20)의 걸름망(21)에 삽입되어 피스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천정에서 연결된 배수관(P)의 하단부에 고정관체(1)의 내관(2)과 외관(3)사이에 형성된 결합홈(5)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관체(1)의 외관(3)에 형성된 결합스크류(4)에 개폐관(10)을 나사결합시킨다.
상기 개폐관(10)을 회전시켜 배수관(P)의 적정높이에서 적당히 고정시킨 후, 내관(2)의 하단부에 걸름관체(30)의 걸름망(31)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걸름관체(20)는 배수전(30)의 상단부 단턱(31)에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개폐관(10)의 회전시켜 하단의 슬라이드링(13)이 단턱(24)에 밀착되어 배수전(30)의 내부와 실내가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면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설치된 본 고안의 배수관 연결장치는, 베란다나 보일러실에서 물을 사용하여 폐수를 배수시켜야 할 경우에는 고정관체(1)의 외관(3)에 나사결합된 개폐관(10)을 회전시켜 고정관체(1)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걸름관체(20)의 단턱(24)에 밀착되어 있던 슬라이드링(13)이 이탈되어 걸름망(21)이 노출된다.
이와같이하여 걸름망(21)이 노출되면, 폐수는 이 걸름망(21)을 통하여 배수전(30)으로 유입,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배수전(30)의 내부상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유수안내돌기(32)에 의하여 유입된 폐쉬는 회전하면서 배출되는 것이다.
와류하면서 배출되는 폐수는 그 배출속도가 현저하게 증가될 뿐만 아니라, 배출소음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게된다.
실내의 폐수가 완전히 배출되면, 개폐관(10)을 다시 역회전시켜 슬라이드링(13)이 걸름관체(20)의 단턱(24)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면, 배수전(30)의 내측과 실내가 완전히 분리, 차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배수전과 실내를 필요에 따라 개폐시킴으로써 배수관(P)을 통하여 실내로 악취가 유입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배수관(P)과 개폐관(10)을 소음흡수층이 형성된 3중관을 이용하게되면, 배출되는 폐수에 의한 배출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정정) 내관(2)과 외관(3)으로 중첩형성하여 내관(2)과 외관(3)사이에 결합홈(5)을 형성하고, 외관(3)의 외주연부에 결합스크류(4)를 형성하여 배수관(P)과 연결고정토록 된 고정관체(1)와, 상기, 고정관체(1)의 외관(3)에 형성된 결합스크류(4)와 결합되는 나선(11)을 외주면에 형성하고, 상단부에는 밀폐링(12)을 결합하며, 하단부에는 슬라이드링(13)을 결합하여서 된 개폐관(10)과, 중앙부에 상협하광의 걸름망(21)을 형성하고, 이 걸름망(21)의 하단부에 고정격판(22)에 의하여 일체화 된 삽착관(23)을 형성하되, 상기 걸름망(21)과 삽착관(23)사이에 단턱(24)을 형성하여 상기 개폐관(10)의 하단부에 고정된 슬라이드링(13)이 삽입되어 밀폐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걸름관체(20)와, 상기 걸름관체(20)가 안착되도록 단턱(24)을 상단부에 형성하고, 내측 상단부에 다수의 유체안내돌기(32)를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비스듬히 형성하여서 된 배수전(30)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수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관(10)을 이중관으로 형성하고, 그 사이에 발포제를 충진시켜 소음흡수부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수관 연결장치.
KR2019960045043U 1996-12-02 1996-12-02 배수관 연결장치 KR200156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043U KR200156422Y1 (ko) 1996-12-02 1996-12-02 배수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043U KR200156422Y1 (ko) 1996-12-02 1996-12-02 배수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271U KR19980032271U (ko) 1998-09-05
KR200156422Y1 true KR200156422Y1 (ko) 1999-09-01

Family

ID=1947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043U KR200156422Y1 (ko) 1996-12-02 1996-12-02 배수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4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272B1 (ko) * 2002-04-30 2004-05-20 최연우 기능성트랩 소재구
KR101006017B1 (ko) 2010-02-10 2011-01-06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배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아파트의 베란다 배수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272B1 (ko) * 2002-04-30 2004-05-20 최연우 기능성트랩 소재구
KR101006017B1 (ko) 2010-02-10 2011-01-06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배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아파트의 베란다 배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271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6422Y1 (ko) 배수관 연결장치
KR20070035953A (ko) 배수관 이음매 및 이를 이용한 배수관 구조
KR100658160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배수구조
KR20030012778A (ko) 배수트랩
JP7144965B2 (ja) 間接排水用継手及び機器設置構造
JP2001262655A (ja) 排水用通気装置
KR200417636Y1 (ko) 배수트랩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KR200317535Y1 (ko) 오수 및 우수 배수·배관용 연결구조
KR200265310Y1 (ko)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JP3460056B2 (ja) 排水トラップ
KR102370423B1 (ko) 사이펀식 바닥배수장치
KR200171769Y1 (ko) 배수트랩
KR200305385Y1 (ko)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KR200305384Y1 (ko)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JP3569317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装置
KR200305383Y1 (ko)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KR200167057Y1 (ko) 이중차단 발코니 배수기구
KR19980015073U (ko) 하수관의 역류 및 악취방지장치
KR200204329Y1 (ko) 배수트랩
CN209227697U (zh) 水封下水器
KR200408173Y1 (ko) 배수트랩
KR20010044775A (ko) 배수트랩
KR200305922Y1 (ko) 배수배관용 연결 플로어
KR200282577Y1 (ko) 착탈식 걸름망 구조를 갖는 건축용 수직배수관 이음기구
CN107386388B (zh) 一种下水管密封配件及其专用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