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073U - 하수관의 역류 및 악취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의 역류 및 악취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073U
KR19980015073U KR2019960028279U KR19960028279U KR19980015073U KR 19980015073 U KR19980015073 U KR 19980015073U KR 2019960028279 U KR2019960028279 U KR 2019960028279U KR 19960028279 U KR19960028279 U KR 19960028279U KR 19980015073 U KR19980015073 U KR 199800150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ide member
pipe
fitted
back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웅
Original Assignee
안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웅 filed Critical 안재웅
Priority to KR2019960028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073U/ko
Publication of KR19980015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073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의 역류 및 악취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출측 및 유입측 하수관사이에 양단을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일측부재(12)와 타측부재(16)로 이루어진 하우징(10)의 내부에 고무재로 된 반구형의 차단막(20)을 설치하여 하수가 일방향으로만 배출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수가 역류되거하 하수관내의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의 역류 및 악취방지장치
본 고안은 하수관의 역류 및 악취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하수관의 연결부사이에 결합시킨 하우징의 내부에 하수의 배출시에만 열리는 고무재로 된 반구형의 차단막을 설치하여 하수가 일방향으로만 배출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수가 역류되거나 하수관내의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대형 건물의 주방이나 화장실 또는 목욕실에서 발생한 생활하수는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을 거쳐 그대로 하천으로 유입되거나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어 정화를 거친 후 단계적으로 하천과 바다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하수의 발생지인 가정의 주방을 예를 들면, 싱크대에서 배출되는 하수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비롯한 각종 부패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하수관내에서 부패가 진행되어 악취가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지대가 낮은 지역이나 지하층에서는 하수가 가정으로 역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한 하수로부터의 악취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싱크대나 배수트랩의 하부에 U자관 등을 설치하여 U자관 내부가 항상 막혀 있도록 하므로써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U자관은 단순히 악취의 유출만을 방지할 수 있었으며, 우기에 하수가 가정으로 역류될 경우에는 상기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생활하수 등이 배출되는 하수관으로부터 하수가 가정으로 역류되는 것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하수내의 음식물 찌꺼기 등이 하수관내에서 부패되면서 발생하는 악취가 싱크대나 배수트랩으로 역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수관의 연결부사이에 양단을 슬리브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부재와 타측부재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하수의 배출시에만 개방되는 고무재로 된 반구형의 차단막을 설치하여 하수가 일방향으로만 배출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수가 역류되거나 하수관내의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의 역류 및 악취방지장치를 제공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12 : 일측부재
13 : 소경부14 : 대경부
15 : 홈16 : 타측부재
17 : 소경부18 : 결합부
19 : 경사면20 : 차단막
21 : 중간부22 : 둘레부
23 : 돌출부30, 32 : 하수관
도1 내지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수관의 역류 및 악취방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의 내부에 고무재로 된 차단막(20)이 자중에 의하여 닫히고 배출되는 하수의 압력에 의하여 열리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10)은 일측부재(12)의 일측에 타측부재(16)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부재(12)와 타측부재(16)는 각각 그 타측에 배출측 및 유입측 하수관의 일단이 곧바로 결합된다.
상기 일측부재(12)는 배출측 하수관이 끼움결합되는 소경부(13)와 타측부재(16)가 결합되는 4각관 형상으로 형성된 대경부(1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일측부재(12)의 대경부(14)에는 상,하부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인식면(14')을 형성하여 시공시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타측부재(16)는 유입측 하수관이 끼움결합되는 소경부(17)와 상기 일측부재(12)의 내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4각관 형상으로 된 결합부(18)로 구성된다.
상기 타측부재(16)의 결합부(18)내측에는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19)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19)의 일측(도면에서는 상부)과 상기 일측부재(12)의 대경부(14)선단 내측 사이의 홈(15)에는 고무재의 차단막(20)일측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차단막(20)은 그 내부의 일측에 상기 타측부재(16)의 내경에 끼워지는 직경으로 된 타원형으로 된 반구형의 중간부(21)가 형성되고, 이 중간부(21)의 외측으로는 얇은 둘레부(22)가 형성되며, 이 둘레부(22)의 일측에는 상기 일측부재(12)와 타측부재(16)사이에 끼워지는 돌출부(23)가 가 형성된다.
상기 타측부재(16)의 결합부(18)에 형성된 경사면(19)은 하수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하수가 배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자체의 자중에 의해 차단막(20)이 경사면(19)에 밀착되고, 차단막(20)의 반구형 중간부(21)는 타측부재(16)의 내경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하수가 정상적으로 흐를 경우에는 하수의 흐름시 발생하는 하수의 압력에 의하여 경사면(19)에 밀착되어 있던 차단막(20)이 들려지게 되므로써 하수가 배출되는 것이고, 하수가 역류할 경우에는 차단막(20)이 경사면(19)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수의 압력이 가해져 더욱 강하게 밀착되므로 하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양측부재(12, 16)가 각각 배출측과 유입측 하수관(30,31)에 슬리이브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10)의 일측부재(12)는 배출측 하수관(30)에 결합되고 타측부재(16)는 유입측 하수관(31)에 결합된다.
본 고안의 역류방지장치를 하수관에 설치할 경우 주의할 점은 하우징(10)을 가급적 수평상태가 되도록 맞추어 설치하여야 하고, 하우징(10)내부에 설치된 차단막(20)의 돌출부(23)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하는 것으로, 이는 하우징(10)내부에 설치된 차단막(20)이 자중에 의하여 닫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제 기능이 발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하수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하우징(10)내부에 설치된 차단막(20)은 자중에 의하여 타측부재(16)의 경사면(19)에 밀착 즉,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배출측 하수관(30)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악취 등이 유입측 하수관(31)으로 전달되지 않게되므로 씽크대나 하수트랩 등으로 악취가 유출되지 않는 것이다.
또, 하수가 유입측 하수관(31)으로부터 배출될 경우 차단막(20)은 하수의 배출압력에 의하여 밀리게 되면서 들려지게 되므로 하수가 배출측 하수관(30)으로 원활히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장마철이나 우기 또는 저지대에서 배출측 하수관(30)으로부터 하수가 유입측 하수관(31)으로 역류되려 할 경우에는, 배출측 하수관(30)으로부터 하수의 압력이 유입측 하수관(31)으로 가해지게 되며, 이때 하우징(10)내부에 설치된 차단막(20)은 하수의 정상적인 배출시와는 달리 정반대의 힘을 받게 되므로 경사면(19)에 더욱 강한 힘으로 밀착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하수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고안은 일측부재와 타측부재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고무재의 차단막을 설치하여 하수가 일방향으로만 배출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하수관으로부터 발생한 악취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한 것이며, 우기시 저지대의 건물에 설치된 하수관에 하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생활하수 등이 배출되는 하수관으로부터 하수가 가정으로 역류되는 것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하수내의 음식물 찌꺼기 등이 하수관내에서 부패되면서 발생하는 악취가 싱크대 등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배출측 하수관이 끼움결합되는 소경부(13)에 연장되게 대경부(14)가 형성된 일측부재(12),
    유입측 하수관(31)이 결합되는 소경부(17)와 상기 일측부재(12)의 대경부(14)내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18)내측에 사선방향으로 경사면(19)이 형성된 타측부재(16),
    상기 경사면(19)에 접촉되도록 상부의 돌출부(23)가 일측부재(12)의 대경부(14)와 타측부재(16)의 결합부(18)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자중에 의하여 닫히고 하수의 압력에 의하여 열리는 차단막(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역류 및 악취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20)은 그 내부의 일측에 상기 타측부재(16)의 내경에 끼워지는 직경으로 된 타원형으로 된 반구형의 중간부(21)가 형성되고, 이 중간부(21)의 외측으로는 얇은 둘레부(22)가 형성되며, 이 둘레부(22)의 일측에는 상기 일측부재(12)와 타측부재(16)사이에 끼워지는 돌출부(23)가 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역류 및 악취방지장치.
KR2019960028279U 1996-09-05 1996-09-05 하수관의 역류 및 악취방지장치 KR199800150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279U KR19980015073U (ko) 1996-09-05 1996-09-05 하수관의 역류 및 악취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279U KR19980015073U (ko) 1996-09-05 1996-09-05 하수관의 역류 및 악취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073U true KR19980015073U (ko) 1998-06-25

Family

ID=5397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279U KR19980015073U (ko) 1996-09-05 1996-09-05 하수관의 역류 및 악취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07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566B1 (ko) * 2007-05-03 2008-05-07 김종선 하수관로 역류 방지장치
KR100846664B1 (ko) * 2007-11-26 2008-07-16 이기화 하수역류방지구
KR20160018249A (ko) * 2014-08-08 2016-02-17 한국전력공사 그라우트 주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566B1 (ko) * 2007-05-03 2008-05-07 김종선 하수관로 역류 방지장치
KR100846664B1 (ko) * 2007-11-26 2008-07-16 이기화 하수역류방지구
KR20160018249A (ko) * 2014-08-08 2016-02-17 한국전력공사 그라우트 주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7048B2 (en) Non-return device
KR200265950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KR19980015073U (ko) 하수관의 역류 및 악취방지장치
KR20030012778A (ko) 배수트랩
JP2562115B2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JP2001262655A (ja) 排水用通気装置
KR200369779Y1 (ko) 트랩을 이용한 하수관로의 악취역류차단 및 해충유입 방지장치
KR100950542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156422Y1 (ko) 배수관 연결장치
KR200239577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구
KR20080109400A (ko)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KR200368838Y1 (ko) 하수관로 악취 및 벌레 차단장치(튜브)
TWM566772U (zh) 用於排放幹管之逆止裝置
CA2528697C (en) Odour extraction system with fluid tank valve
KR200401683Y1 (ko) 악취 유입 방지용 배수관
KR200317146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2370423B1 (ko) 사이펀식 바닥배수장치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0139488Y1 (ko) 하수구 악취방출 차단용 트랩
KR200333375Y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중간 방취구 구조
KR200340880Y1 (ko)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 시스템
KR200192968Y1 (ko) 하수구용 냄새 차단장치
JPH0634446Y2 (ja) 先止式電気温水器の膨張水排水路
KR200185726Y1 (ko) 씽크호스 설치용 악취차단장치 홀더
KR940000287Y1 (ko)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관의 배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