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288B1 -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288B1
KR102035288B1 KR1020170100271A KR20170100271A KR102035288B1 KR 102035288 B1 KR102035288 B1 KR 102035288B1 KR 1020170100271 A KR1020170100271 A KR 1020170100271A KR 20170100271 A KR20170100271 A KR 20170100271A KR 102035288 B1 KR102035288 B1 KR 102035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 pipe
shielding cover
net member
filter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6266A (ko
Inventor
연준오
김항
구희모
최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00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2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이나 건물, 선박, 해양플랜트 등의 우수관 또는 배수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우수관 또는 배수관과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를 개방 또는 차폐함으로써 배수구를 통해 소음 및 냄새, 벌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관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바닥면의 배수구와 연통되는 복수의 통수공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여과망부재와; 상기 배수관의 하단부에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여과망부재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되어 여과망부재를 개폐하는 차폐커버와; 상기 여과망부재의 상단부와 차폐커버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여과망부재에 대해 차폐커버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차폐커버가 여과망부재를 차폐한 상태에서 차폐커버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rain Hole of Drain Pipe}
본 발명은 배수관 또는 우수관의 배수구를 개방 또는 차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이나 건물, 선박, 해양플랜트 등의 우수관 또는 배수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우수관 또는 배수관과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를 개방 또는 차폐함으로써 배수구를 통해 소음 및 냄새, 벌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아파트에서는 고층에서부터 하층에까지 배수관 또는 우수관을 연결하여 오수 또는 우수를 배수하고 있는데, 각 층의 발코니에서도 오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직설되어 내려오는 배수관의 종단에 여과망만을 구성하고 있는데, 고층에서부터 배수관을 따라 배수되는 오수에 가속도가 발생되어 심한 소음이발생하고, 심지어는 발코니의 배수관에 구성된 여과망 주위에서 악취와 벌레 등의 해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배수구 개폐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에 개발된 배수구 개폐장치는 방음처리된 배수관의 하부에 연결관과 이에 슬라이더되는 개폐관을 구성하여서 방음 효과를 얻고 있는데, 발코니에서 오수를 배수하고자 할 때에는 개폐관을 연결관의 상부로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 개폐관의 양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조임볼트를 조여 개폐관을 고정시킨 다음 오수를 배수하고, 오수의 배수 후에는 조임볼트를 일일이 풀어서 개폐관을 원상복귀 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발코니에서 오수의 배수시마다 개폐관의 조임볼트를 일일이 조이고 풀고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연결관과 개폐관의 구성은 곡자 연결부분마다 수재의 부재를 일일이 제작하여 서로 접착시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관과 개폐관의 제작공정이 너무 많은 까닭으로 제작에 어려움과 제작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5750호(1999.02.18.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1993-0004970호(1993.07.26.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조립 및 작동이 용이하며, 간단한 동작으로 배수구를 개폐하여 소음 및 냄새 등을 차단할 수 있는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관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바닥면의 배수구와 연통되는 복수의 통수공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여과망부재와; 상기 배수관의 하단부에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여과망부재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되어 여과망부재를 개폐하는 차폐커버와; 상기 여과망부재의 상단부와 차폐커버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여과망부재에 대해 차폐커버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차폐커버가 여과망부재를 차폐한 상태에서 차폐커버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른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관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바닥면의 배수구와 연통되는 복수의 통수공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여과망부재와; 배수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관과;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통형태를 가지며, 내주면에 상기 스크류관의 수나사산과 나선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스크류관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하단부가 바닥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면서 상기 여과망부재를 개폐하는 차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폐커버를 배수관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배수관 하단에 구비된 여과망부재가 개폐될 수 있게 되므로, 여과망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차폐커버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바닥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여과망부재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여과망부재를 통해 소음이 발생하거나 악취와 벌레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여과망부재를 통해 배수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차폐부재를 상승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여과망부재가 개방되어 배수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기존의 공동주택에 시공되어 있는 배수관 또는 신규로 건축되는 공동주택에 시공되는 배수관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수구 개폐장치의 단면도로, 도 2는 배수구가 폐쇄된 상태이고, 도 3은 배수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배수구 개폐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작동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배수구 개폐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배수구 개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배수구 개폐장치의 변형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관(P)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여과망부재(10)와, 상기 배수관(P)의 하단부에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어 여과망부재(10)를 개폐하는 차폐커버(20)와, 상기 여과망부재(10)의 상단부와 차폐커버(20)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여과망부재(10)에 대해 차폐커버(20)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차폐커버(20)가 여과망부재(10)를 차폐한 상태에서 차폐커버(2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망부재(10)는 배수관(P)의 하단부와 바닥면의 배수구 사이에 설치되는 공지의 여과망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망부재(10)는 배수관(P)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망부재(10)는 배수관(P)의 하단부에 나사나 접착제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바닥면(예를 들어 발코니의 바닥 슬리브)에 배치된다. 상기 여과망부재(10)에는 발코니 바닥면의 배수구와 연통되는 복수의 통수공(1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폐커버(20)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가지며, 이미 설치되어 있는 배수관(P)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반원통형으로 된 2개의 차폐커버 부품(20a, 20b)이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2개의 차폐커버 부품(20a, 20b)의 일측 단부는 힌지축부(23)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편 일측 단부는 볼트(25a) 및 너트(25b)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차폐커버(20)는 배수관(P)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관 형태로 배수관(P)의 하단부 외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부(21)와, 상기 슬라이드부(21)의 하단부에 상기 여과망부재(10)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되어 여과망부재(10)의 외면을 차폐하는 개폐부(22)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부(21)는 상기 배수관(P)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원통관 형태로 이루어져 배수관(P)의 외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22)는 상기 여과망부재(10)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부(22)의 내측면에는 상기 여과망부재(10)의 통수공(11) 내측으로 삽입되어 차폐커버(20)가 배수관(P)에 대해 상향 이동할 때 통수공(11)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걸리면서 차폐커버(20)의 상승 위치를 제한하는 복수개의 스톱퍼(27)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2)의 하단부에는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수밀 작용을 하도록 고무와 같은 유연한 수지 재질의 가스켓(40)이 부착되어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차폐커버(20)는 반원통형으로 된 2개로 분할된 차폐커버 부품(20a, 20b)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가스켓(40) 또한 반원형으로 분할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2개의 차폐커버 부품(20a, 20b)이 상호 결합될 때 가스켓(4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스켓(40)의 양 끝단부는 원주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22)의 상부면에는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 등의 배수호스(미도시)가 연결되는 복수의 배수포트(28)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포트(28)는 배수호스가 연결되지 않을 때에는 마개(29)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차폐커버(20)의 내측에서 여과망부재(10)의 상단부와 차폐커버(20)의 개폐부(22)의 상부면 사이에 설치되어 차폐커버(20)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외에도 판스프링이나 기타 탄력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차폐커버(20)가 여과망부재(10)를 차폐한 상태에서 차폐커버(2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여과망부재(1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4,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수관(P)의 외면에 고정되는 록킹돌기(61)와, 상기 차폐커버(2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록킹돌기(61)가 삽입되는 가이드공(62)과, 상기 차폐커버(20)의 상부에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힌지핀(6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에 상기 록킹돌기(61)에 걸려지는 걸림턱(65)이 형성되어 있는 클램핑버튼(63)과, 상기 차폐커버(20)의 외면에 대해 상기 클램핑버튼(63)을 탄력적으로 지탱하는 버튼스프링(66)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돌기(61)는 양면테이프나 접착제,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배수관(P)의 외면에 단단히 고정되며, 상기 차폐커버(20)의 가이드공(62) 내측에 삽입된다. 상기 록킹돌기(61)의 좌우 폭과 상기 가이드공(62)의 좌우 폭은 대체로 일치하여 상기 차폐커버(20)가 상하로 이동할 때 록킹돌기(61)가 차폐커버(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클램핑버튼(63)은 상기 가이드공(62)의 바로 상측에 힌지핀(64)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클램핑버튼(63)을 누르면 클램핑버튼(63)의 걸림턱(65)이 록킹돌기(61)로부터 벗어나서 클램핑버튼(63)과 록킹돌기(61) 간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고, 차폐커버(20)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차폐커버(2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여과망부재(10)를 개방한 상태에서 차폐커버(20)를 하강시키면, 클램핑버튼(63) 경사진 끝단이 록킹돌기(61)를 자연스럽게 타고 넘으면서 클램핑버튼(63)의 걸림턱(65)이 록킹돌기(61)의 하단에 걸리면서 차폐커버(20)의 상승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수구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차폐커버 부품(20a, 20b)을 배수관(P)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배치하고, 차폐커버 부품(20a, 20b)의 결합부(24)에 볼트(25a) 및 너트(25b)를 체결하여 차폐커버(20)를 배수관(P)의 하단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차폐커버(20)의 배수관(P)의 최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차폐커버(20)의 가이드공(62)의 최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록킹돌기(61)가 배치되도록 록킹돌기(61)를 배수관(P)의 외면에 체결수단으로 단단히 고정하고, 클램핑버튼(63)의 걸림턱(65)가 록킹돌기(61)에 걸려지게 하면 차폐커버(2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 차폐커버(20)의 개폐부(22) 하단에 설치된 가스켓(40)이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여과망부재(10)가 완전히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0)는 압축되어 탄성력이 축적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차폐커버(20)의 배수관(P)의 최하측으로 이동하여 여과망부재(10)가 차폐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배수관(P)의 여과망부재(10)를 통해 물을 배수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클램핑버튼(63)을 누르면 전술한 것처럼 클램핑버튼(63) 하단의 걸림턱(65)이 록킹돌기(61)에서 벗어나 차폐커버(2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차폐커버(20)는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여 여과망부재(10)가 개방되어 배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차폐커버(20)가 상승하게 되면, 차폐커버(20) 내측면의 스톱퍼(27)가 여과망부재(10)의 통수공(11) 상단에 부딪히면서 차폐커버(20)의 상승 위치가 제한된다. 이 때, 상기 차폐커버(20)의 가이드공(62) 하단부도 상기 록킹돌기(61)에 부딪히면서 스톱퍼(27)와 함께 상승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폐커버(20)를 상승시켜 여과망부재(10)를 개방한 다음 배수를 완료하고, 다시 차폐커버(20)를 하강시키면 차폐커버(20)가 탄성부재(30)를 압축시키면서 여과망부재(10)를 폐쇄하게 되고, 클램핑버튼(63)의 걸림턱(65)이 록킹돌기(61)의 하단에 걸리면서 차폐커버(20)의 위치가 고정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차폐커버(20)를 배수관(P)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배수관(P) 하단에 구비된 여과망부재(10)가 개폐될 수 있게 되므로, 여과망부재(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차폐커버(2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바닥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여과망부재(10)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여과망부재(10)를 통해 소음이 발생하거나 악취와 벌레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폐커버(20)의 소음 차단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차폐커버(20)의 슬라이드부(21)의 하단부와 상기 개폐부(22)의 상단부 사이에 링 형태로 된 유연한 수지 재질의 흡음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음재(50)는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흡음재(50)와 함께, 또는 흡음재(50) 대신 상기 슬라이드부(21)의 하단부와 상기 개폐부(22)의 상단부 사이에 화재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팽창하는 열팽창성 재료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내화재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내화재는 팽창흑연과 같이 열에 의해 팽창하는 성분과 난연제 등이 수지에 혼합되어 난연성 또는 불연성을 갖도록 된 공지의 열팽창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내화재가 설치되면, 화재 발생시 내화재가 열에 의해 급속히 팽창하면서 여과망부재(10)의 외면을 차폐하므로 아래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위층으로 화염이나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차폐커버(20)는 반원통형으로 된 2개로 분할된 차폐커버 부품(20a, 20b)이 결합되어 하나의 원통체를 이루기 때문에 기존의 공동주택에 시공되어 있는 배수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이와 다르게 차폐커버(20)가 완전히 일체로 된 원통체로 성형되어 배수관에 조립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차폐커버(20)가 2개로 분할되지 않고 일체형의 원통체로 이루어질 경우 신규한 공동주택의 배수관에 적용하기 유리하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차폐커버(20)가 여과망부재(10)를 차폐한 상태에서 차폐커버(2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록킹돌기(61) 및 클램핑버튼(63) 등으로 이루어졌지만, 도 6에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것과 같이 고정수단이 상기 여과망부재(10)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돌기(71)와, 상기 차폐커버(20)의 내면에 상기 고정돌기(71)와 대응하는 형태로 되어 상기 고정돌기(71)가 삽입되는 고정홈(72)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홈(72)은 차폐커버(20)의 개폐부(22)의 내면에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차폐커버(20)가 여과망부재(10)를 폐쇄할 때에는 고정돌기(71)가 상측의 고정홈(72) 내에 삽입되어 차폐커버(20)의 위치를 고정하고, 차폐커버(20)가 상승하여 여과망부재(10)를 개방할 때에는 고정돌기(71)가 하측의 고정홈(72) 내에 삽입되어 차폐커버(2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돌기(71)는 탄력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단부가 여과망부재(10)에 고정되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정수단이 고정돌기(71)와 고정홈(72)으로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차폐커버(20)를 상승시키는 힘을 가하지 않으면 고정홈(72) 내측에 삽입된 고정돌기(71)에 의해 차폐커버(20)가 여과망부재(10)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차폐커버(20)를 상승시키는 힘을 가하면 고정돌기(71)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고정홈(72)이 고정돌기(71)에서 벗어나 차폐커버(2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차폐커버(20)가 상승하여 정해진 위치까지 오면 차폐커버(20)의 내측면 하단에 형성된 고정홈(72) 내에 고정돌기(71)가 삽입되면서 차폐커버(20)는 상승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배수구 개폐장치의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30)의 하단부가 여과망부재(10)의 상단에 안착되면서 지지되어 차폐커버(20)를 지지하는데,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여과망부재(10)의 상단부가 편평하지 않고 경사지거나 일직선 형태로 되어 탄성부재(30)를 안착시키기 어려운 경우 여과망부재(10)의 상단부 또는 배수관(P)의 외면에 탄성부재(30)의 하단부를 지탱하는 스프링브라켓(80)을 체결수단으로 고정되게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관(P)의 하부에 고정되는 스크류관(130)과, 상기 스크류관(130)에 나선 결합되어 스크류관(130)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하여 배수관(P)의 하단부에 설치된 여과망부재(10)를 개폐하는 차폐커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관(130)은 배수관(P)과 대체로 동일하거나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원통관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수나사산(131)이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관(130)은 배수관(P)과 개별체로 되어 배수관(P)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스크류관(130)이 배수관(P)에 일체로 성형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도 10 참조). 이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류관(130)은 배수관(P)과는 개별체로 만들어진 후 배수관(P)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스크류관(130)이 배수관(P)의 하단부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관(130)은 반원통형으로 된 2개의 스크류관 부품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외에도 상기 스크류관 부품(130a, 130b)은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배수관(P)의 하단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차폐커버(120)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통형태를 가지며, 내주면에 상기 스크류관(130)의 수나사산(131)과 나선 결합되는 암나사산(123)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관(130)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바닥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어 배수관(P) 하단의 여과망부재(10)를 개폐한다.
상기 차폐커버(12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반원통형으로 된 2개의 차폐커버 부품이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폐커버(120)는 내주면에 상기 암나사산(123)이 형성되어 있는 나선결합부(121)와, 상기 나선결합부(121)의 하부에 나선결합부(12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되어 상기 여과망부재(10)의 외측을 개폐하는 개폐부(122)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나선결합부(121)는 상기 스크류관(130)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원통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122)는 상기 여과망부재(10)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원통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부(122)의 하단부에는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수밀 작용을 하도록 고무와 같은 유연한 수지 재질의 가스켓(14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122)의 상부면에는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 등의 배수호스(미도시)가 연결되는 복수의 배수포트(128)와, 상기 배수포트(128)를 개폐하는 마개(129)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수구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2개의 스크류관 부품(130a, 130b)을 배수관(P)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배치하고,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스크류관(130)을 배수관(P)에 고정한 다음, 상기 스크류관(130)의 외측에 차폐커버(120)를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한다. 이 때, 차폐커버(120)의 나선결합부(121)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산(123)이 스크류관(130)의 수나사산(131)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차폐커버(120)가 스크류관(130)의 외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폐커버(1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차폐커버(120)의 암나사산(123)과 스크류관(130)의 수나사산(131) 간의 작용에 의해 차폐커버(120)가 하강하게 되고, 차폐커버(120)의 개폐부(122) 하단에 설치된 가스켓(140)이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여과망부재(10)가 차폐된다.
사용자가 배수관(P)의 여과망부재(10)를 통해 물을 배수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차폐커버(120)를 이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차폐커버(120)가 스크류관(130)에 대해 상승하면서 여과망부재(10)가 개방되어 여과망부재(10)를 통해 배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차폐커버(120)를 스크류관(130)에 대해 회전시켜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배수관(P) 하단에 구비된 여과망부재(10)이 개폐될 수 있게 되므로, 여과망부재(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차폐커버(12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바닥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여과망부재(10)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여과망부재(10)를 통해 소음이 발생하거나 악취와 벌레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차폐커버(120)의 소음 차단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폐커버(120)의 나선결합부(121)의 하단부와 상기 개폐부(122)의 상단부 사이에 링 형태로 된 유연한 수지 재질의 흡음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흡음재(150)와 함께, 또는 흡음재(150) 대신 상기 나선결합부(121)의 하단부와 상기 개폐부(122)의 상단부 사이에 화재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팽창하는 열팽창성 재료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내화재가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0에 변형예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스크류관(130)은 상기 배수관(P)에 일체로 성형되어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스크류관(130)의 하단부에 복수의 통수공(132)을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게 되면 별도의 여과망부재(10)(도 8 참조)를 결합하지 않고 상기 통수공(132)을 통해 물을 배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P : 배수관 10 : 여과망부재
11 : 통수공 20 : 차폐커버
21 : 슬라이드부 22 : 개폐부
23 : 힌지축부 27 : 스톱퍼
28 : 배수포트 29 : 마개
30 : 탄성부재 40 : 가스켓
50 : 흡음재 61 : 록킹돌기
62 : 가이드공 63 : 클램핑버튼
64 : 힌지핀 65 : 걸림턱
66 : 버튼스프링 71 : 고정돌기
72 : 고정홈

Claims (17)

  1. 배수관(P)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바닥면의 배수구와 연통되는 복수의 통수공(1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여과망부재(10)와;
    상기 배수관(P)의 하단부에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여과망부재(1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되어 여과망부재(10)를 개폐하는 차폐커버(20)와;
    상기 여과망부재(10)의 상단부와 차폐커버(20)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여과망부재(10)에 대해 차폐커버(20)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차폐커버(20)가 여과망부재(10)를 차폐한 상태와 개방한 상태에서 차폐커버(2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커버(20)의 내측면에 상기 여과망부재(10)의 통수공(11) 내측으로 삽입되어 차폐커버(20)가 배수관(P)에 대해 상향 이동할 때 통수공(11)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걸리면서 차폐커버(20)의 상승 위치를 제한하는 스톱퍼(27)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여과망부재(10)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반원형 단면을 갖는 고정돌기(71)와, 상기 차폐커버(20)의 내면에 상기 고정돌기(71)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71)가 탄력적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홈(72)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71)는 탄력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단부가 여과망부재(10)에 고정되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홈(72)은 차폐커버(20)의 내면에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차폐커버(20)가 여과망부재(10)를 폐쇄할 때에는 고정돌기(71)가 상측의 고정홈(72) 내에 삽입되어 차폐커버(20)의 위치를 고정하고, 차폐커버(20)가 상승하여 여과망부재(10)를 개방할 때에는 고정돌기(71)가 하측의 고정홈(72) 내에 삽입되어 차폐커버(2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커버(20)는 배수관(P)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관 형태로 배수관(P)의 하단부 외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부(21)와, 상기 슬라이드부(21)의 하단부에 상기 여과망부재(10)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되어 여과망부재(10)의 외면을 차폐하는 개폐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커버(20)는 반원통형으로 된 2개의 차폐커버 부품(20a, 20b)이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차폐커버 부품(20a, 20b)의 일측 단부는 힌지축부(23)를 매개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21)의 하단부와 상기 개폐부(22)의 상단부 사이에 링 형태로 된 유연한 수지 재질의 흡음재(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21)의 하단부와 상기 개폐부(22)의 상단부 사이에 화재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팽창하는 열팽창성 재료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내화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22)에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배수호스가 연결되는 배수포트(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커버(20)의 하단부에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수밀 작용을 하는 유연한 수지 재질의 가스켓(40)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부재(10)의 상부 또는 배수관(P)의 외면에 상기 탄성부재(30)의 하단부를 지탱하는 스프링브라켓(8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100271A 2017-08-08 2017-08-08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KR102035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271A KR102035288B1 (ko) 2017-08-08 2017-08-08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271A KR102035288B1 (ko) 2017-08-08 2017-08-08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266A KR20190016266A (ko) 2019-02-18
KR102035288B1 true KR102035288B1 (ko) 2019-10-22

Family

ID=6556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271A KR102035288B1 (ko) 2017-08-08 2017-08-08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2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536B1 (ko) * 2019-02-22 2020-05-11 이소원 배수구 자동개폐 시스템
KR102266632B1 (ko) * 2020-11-26 2021-06-18 김인식 액체배출 및 차단작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배수공의 개폐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8898A (ja) * 2000-06-07 2001-12-21 Asahi Tec Corp 地中構造物の蓋用ロック装置
KR200305384Y1 (ko) * 2002-12-06 2003-02-25 박점순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KR200320994Y1 (ko) * 2003-04-22 2003-07-25 심득섭 베란다의 배수용 여과망 덮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970A (ko) 1991-08-09 1993-03-23 이헌조 테이프 레코더의 카운터 메모리 재생방법
KR950005535Y1 (ko) * 1992-10-05 1995-07-13 최현규 아파트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통
KR19990005750U (ko) 1997-07-21 1999-02-18 최현규 배수관용 배수구 개폐통
JP3069313B2 (ja) * 1997-09-10 2000-07-24 神戸樹脂工業株式会社 排水管接続用ソケット
KR20170011420A (ko) * 2015-07-23 2017-02-02 임용균 배수관 소음 절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8898A (ja) * 2000-06-07 2001-12-21 Asahi Tec Corp 地中構造物の蓋用ロック装置
KR200305384Y1 (ko) * 2002-12-06 2003-02-25 박점순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KR200320994Y1 (ko) * 2003-04-22 2003-07-25 심득섭 베란다의 배수용 여과망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266A (ko) 201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288B1 (ko) 배수관의 배수구 개폐장치
US20150135421A1 (en) Modular waxless seal
JPS6023217B2 (ja) 排水器具組立体
KR101031707B1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CA2919043C (en) Joint device for drain pipes
KR101082393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1609201B1 (ko)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JP5706659B2 (ja) 排水管路における掃除口用蓋
JP5704956B2 (ja) 排水管路用圧力開放蓋
KR100481792B1 (ko) 하수관의 냄새 및 소음 방지 장치
KR101042442B1 (ko) 가변 조립식 악취차단장치
KR100495396B1 (ko) 설치가 용이한 건축용 수직배수관 연결구
KR101713125B1 (ko) 세면기용 폽업장치
KR950005536Y1 (ko) 아파트베란다용 악취방지배수전
CN210151885U (zh) 一种防虫防臭地漏
JP2012180656A (ja) 逆流防止弁
KR101772405B1 (ko) 배관구조체
CN213653703U (zh) 防臭地漏和排水管系统
KR200311713Y1 (ko) 배수트랩
CN210177616U (zh) 一种具有防虫防臭功能的盥洗面盆排水器
KR200282286Y1 (ko) 배수용 트랩의 소음차단장치
JP2014119111A (ja) 排水用低位通気弁
KR200305385Y1 (ko)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KR101940953B1 (ko) 다용도 루프 드레인,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
KR101263603B1 (ko) 사출 배수 트랜치의 하수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