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694Y1 -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 - Google Patents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694Y1
KR200398694Y1 KR20-2005-0022341U KR20050022341U KR200398694Y1 KR 200398694 Y1 KR200398694 Y1 KR 200398694Y1 KR 20050022341 U KR20050022341 U KR 20050022341U KR 200398694 Y1 KR200398694 Y1 KR 200398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packing
bord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희
Original Assignee
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희 filed Critical 한승희
Priority to KR20-2005-0022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6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16L17/03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the sealing rings having only on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Abstract

본 고안은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 연결시에 각각에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각각의 경사면의 회전에 의해 접합부에 턱이 없이 연결각도를 변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각각의 관의 연결을 클램프에 의한 압착으로 조절함에 의해 시공후 형상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가변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단에 관형상의 제 1 관부와, 상기 제 1 관부의 끝단에서 축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평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테두리 상부에서 외주연에 나사돌기를 형성하는 제 1 돌출테두리가 구비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관과;
상기 제 1 결합부의 수평테두리와 대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패킹지지테두리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출테두리에 삽입되는 제 2 돌출테두리를 구비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의 밑단에서 일체화 된 관형상의 제 2 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관과;
상기 패킹지지테두리 및 상기 제 2 돌출테두리에 안치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수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패킹과;
밑면에 형성된 중공과, 상기 중공 외측에서 형성되는 밑면테두리와, 상기 밑면테두리 외측에서 융기하여 벽면을 구성하며 그 내주연에 나사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의 제 1 돌출테두리와 회전을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벽면테두리를 구비한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A VARIABLE CONNECTION PIPE USING CLAMP}
본 고안은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 연결시에 각각의 관 접합부에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각각의 경사면의 회전에 의해 접합부에 턱이 없이 연결각도를 변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각각의 관의 연결을 클램프에 의한 압착으로 조절함에 의해 시공후 형상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가변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파이프 또는 이중벽관 등을 연결하면서 설치할 때 이음관을 이용하여 직선형으로 설치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이음관을 이용하여 관 연결각도를 가변시키면서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관을 연결하면서 연결각도를 가변시키고자 할 때에 종래에는 절곡형으로 형성된 엘보우, T보우와 같은 절곡형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관을 연결시켰으나, 이와 같이 절곡형으로 형성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관을 연결시킬 때에 공장제조 된 연결부재의 각도를 시공여건에 부합되도록 용이하게 가변시키면서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감안하여 고안된 종래 기술로는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 제495394호(발명의 명칭 : "트랩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복수의 인입구로 입수 받아서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적어도 복수개의 입수라인이 인입구에 결합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와 결합되어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유결합멤버는 항아리 형상의 인입구의 내주연에 대응하여 기밀하게 미끄럼접촉 가능한 규격을 갖되 볼록형상으로 팽출된 외주부와 이런 외주부의 안쪽에서 보조입수라인의 삽입 결합을 위해 평활한 내주연을 갖게 형성된 내주부와 상기 보조입수라인의 삽입 거리를 구속하도록 보조입수라인의 두께에 대응한 높이만큼 상기 내주부의 일측 끝단에서 축심방향쪽으로 돌기된 테두리 정지턱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자유결합멤버를 회전하여 곡관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정지턱부 등이 인입구의 관로상에 노출됨에 의해 오수의 이동과정에서 슬러지가 걸러져 축적됨에 따라 악취역류, 위생상 문제 등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오수받이장치에 있어 상기 자유결합멤버의 회전에 의한 곡관 형성시 상기 자유결합멤버와 항아리 형상의 인입구의 체결이 단지 탄성결합과 각각의 사이에 오링삽입에 의한 결합에 불과하므로 시공시 곡관각도가 시공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하중, 활하중 등 뜻하지 않은 여건 등에 의해 변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373388호(고안의 명칭 :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에 있어서도, 배관 일측에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연결관을 일체로 연결한 후 그 내측에 통공을 구비한 볼을 회전가능토록 삽입하고, 상기 볼에 다른 하나의 배관을 삽입하여 상기 볼의 회전을 통해 곡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서 상기 구조에 의하여 곡관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볼이 연결관과 일체로 된 배관의 관로상에 노출됨에 따라 오수의 이동과정에서 슬러지가 걸러져 축적되고, 또한, 용이하게 곡관각도의 변형이 예상되므로 시공 후 시간이 지남에 변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관 연결시에 곡관형성에 따른 접합부에 슬러지가 축적되지 않고, 각각의 각도의 변환을 클램프에 의한 압착에 의해 조절함으로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형상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은 관연결시 시공상의 편의, 시공환경 등에 의해 접합부의 회전 등에 의해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이음관에 있어서,
일단에 관형상의 제 1 관부와, 상기 제 1 관부의 끝단에서 축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평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테두리 상부에서 외주연에 나사돌기를 형성하는 제 1 돌출테두리가 구비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관과;
상기 제 1 결합부의 수평테두리와 대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패킹지지테두리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출테두리에 삽입되는 제 2 돌출테두리를 구비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의 밑단에서 일체화 된 관형상의 제 2 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관과;
상기 패킹지지테두리 및 상기 제 2 돌출테두리에 안치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수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패킹과;
밑면에 형성된 중공과, 상기 중공 외측에서 형성되는 밑면테두리와, 상기 밑면테두리 외측에서 융기하여 벽면을 구성하며 그 내주연에 나사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의 제 1 돌출테두리와 회전을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벽면테두리를 구비한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 및 그의 상세한 결합 및 형상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에 있어 제 1관과 제 2관이 패킹과 클램프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a, 도 3b, 도3c 및 도3d는 도 2에 도시된 제1 관, 제 2관, 패킹 및 클램프를 나타내는 각각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또한, 도 4a와 4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 1관, 제 2관, 패킹 및 클램프가 직선으로 체결된 상태와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이다. 또한, 도 5a 및 5b는 제 1관부와 제 2관부에 소켓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경우 및 이중벽관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이다.
먼저, 제 1관(100)은 도 3a에서 보듯이 일단에 관형상의 제 1 관부(110)와 상기 제 1 관부(110)의 끝단에서 축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평테두리(131)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테두리(131) 상부에서 외주연에 나사돌기를 가진 제 1 돌출테두리(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돌출테두리(132)의 내주연은 상기 수평테두리(131)와 접촉면에서 수직으로 융기하며 이하에서 설명될 제 2 결합부의 패킹지지테두리(231)와 접하는 부위에서 경사면을 형성하며 외주연은 이하에서 설명될 클램프(300)와 회전결합을 위해 나사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테두리(131)는 상기 제 1 돌출테두리(132)를 기준으로 내측수평테두리(131a) 및 외측수평테두리(131b)로 구성하여 상기 내측수평테두리(131a)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패킹(240)과 제 2 결합부의 제 2 돌출테두리(232)에 의해 압착되도록 구성되며, 외측수평테두리(131b)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클램프(300)가 회전에 의해 완전히 조여졌을때 상기 클램프의 벽면테두리(302) 끝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관(200)은 도 3b에서 보듯이 상기 제 1 결합부의 수평테두리(131)와 대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패킹지지테두리(231)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231)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출테두리(132)에 삽입되는 제 2 돌출테두리(232)를 구비하는 제 2 결합부(230)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231)의 밑단에서 일체화 된 관형상의 제 2 관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돌출테두리(232)와 패킹지지테두리(231)에 안치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수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패킹(240)은 오링, 고무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240)은 제 1결합부(130)와 제 2 결합부(230)의 사이에 압착되면서 상기 1 결합부(130)와 상기 제 2 결합부(230)의 회전이 이하에서 설명될 클램프(300)의 회전을 통해 제 1 결합부(130)와 제 2 결합부(230)의 압착을 느슨하게 하는 경우 또는 일정한 힘 이상을 가하는 경우만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 1관(100)과 제 2관(200)이 뜻하지 않는 굴곡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패킹(240)은 고무, 연질 PVC, 실리콘, 통상의 패킹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240)을 상기 제 2 결합부의 제 2 돌출테두리(232)에 더욱 강결하게 안치하고자 하는 경우 도 2 및 도 3c에서 보듯이 상기 제 2 돌출테두리(232)의 외주연에 다수의 돌기(233)를 형성하고, 상기 패킹(240)에 있어서도 상기 돌기(233)에 대응하는 체결홈(241)을 형성하여 상기 패킹(240)이 상기 제 2 돌출테두리(232)와 패킹지지테두리(231)에 안치되는 경우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결합부(130)와 상기 제 2결합부(230)를 체결하는 수단으로서 클램프(300)가 사용되는데 상기 클램프(300)는 도 3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병마개 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밑면에 중공(303)을 형성하며, 상기 중공 외측에서 밑면테두리(301)가 형성되며, 상기 밑면테두리(301) 외측에서 융기하여 벽면을 구성하는 벽면테두리(302)가 형성되며 상기 벽면테두리(302)는 그 내주연에 나사돌기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제 1돌출테두리(132)와 회전을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 된다.
상기 중공(303)의 내경(D)은 상기 제 2 관부(210)의 외경보다 커야함은 물론 상기 제 2관(200)이 회전하여 관연결의 굴곡을 형성할시에 상기 제 2관(2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구성해야 한다.
또한 상기 벽면테두리(302)의 길이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제 1 돌출테두리(132)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상기 클램프(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결합부(130)가 완전히 조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결합부(230)의 높이 즉 패킹지지테두리(231)의 두께와 제 2 돌출테두리(232)의 길이의 합이 상기 벽면테두리(302)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상기 클램프(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부(230)가 완전히 조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상기 제 1관(100), 제 2관(200), 패킹(240) 및 클램프(300)의 결합에 의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유로운 각도변화가 가능한 가변이음관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관(100), 제 2관(200), 패킹(240) 및 클램프(300)의 결합에 의한 실시예가 도 4a,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 도 4a에서는 제 1관(100)과 제 2관(200)이 직선상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4b는 제 1관(100)과 제 2관(200)이 최대한 절곡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고안의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은 직선으로 연결된 상태나 절곡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더라도 제 1관(100)의 제 1 내측관로(120)와 제 2관(200)의 제 2 내측관로(220)가 접합부에서 턱이 없이 연결이 되므로 오수의 흐름이 원활할 것이며, 오수의 흐름에 따른 접합부(400)에 슬러지의 농축도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합부(400) 각각의 경사면은 시공여건에 따라 큰 굴곡을 필요로 하는 환경에서는 그 각각의 경사면을 크게 하고, 반대로 작은 굴곡을 필요로 하는 환경에서는 그 각각의 경사면을 작게 하여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내측수평테두리(131a)의 두께는 상기 내측수평테두리(131a)에 접하는 패킹면과 제 2 접합부의 제 2 돌출테두리면의 두께의 합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게 구성하여 패킹의 압착에 의해 완전히 수밀을 유지하게 하여야 하며 또한 이렇게 구성함에 의해 제 1 내측관로(120)와 제 2 내측관로(220)가 턱없이 평활한 면으로 연결되어 지게 된다.
한편,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관부(110)의 제 1 결합부(130)의 반대쪽 끝단에 제 1소켓부(140)를 일체로 구성하여 관 결합 즉 이중벽관, 코러게이트관 등이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관부(110)의 제 1 결합부(130)의 반대쪽 끝단에 제 1 이중벽관(150)을 일체로 구성하여 관 연결 작업이 필요 없으며,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관부(210)의 제 2 결합부(230)의 반대쪽 끝단에 제 2소켓부(250)를 일체로 구성하여 관결합 즉 이중벽관, 코러게이트관 등이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관부(210)의 제 2 결합부(230)의 반대쪽 끝단에 제 2이중벽관(260)을 일체로 구성하여 관 연결 작업이 필요 없으며,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각각의 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1,2이중벽관(150, 260)은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한 관으로서 상기 이중벽관 대신 공지의 코러게이트관, 주름관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향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에 의하면, 어느 각도에서도 관 연결작업이 가능하여, 시공상의 편의가 있음은 물론,
본 고안의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은 제 1관과 제 2관의 결합에 의한 곡관 형성시 접합부가 턱없이 형성됨에 따라 접합부 등에 슬러지가 축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은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클램프에 의한 회전으로 압착 또는 비압착에 의해 조절함으로서 시공후 형상변형이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트랩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있어 인입구와 자유결합멤버가 결합하여 곡관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에 있어 제 1관과 제 2관이 패킹과 클램프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a, 도 3b, 도3c 및 도3d는 도 2에 도시된 제1 관, 제 2관, 패킹 및 클램프를 나타내는 각각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4a 및 4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 1관, 제 2관, 패킹 및 클램프가 직선으로 체결된 상태와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
도 5a 및 5b는 제 1관부와 제 2관부에 소켓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경우 및 관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관 110 : 제 1관부
120 : 제 1내측관로 130 : 제 1결합부
140 : 제 1소켓부 150 : 제 1이중벽관
200 : 제 2관 210 : 제 2관부
220 : 제 2내측관로 230 : 제 2결합부
240 : 패킹 250 : 제 2소켓부
260 : 제 2이중벽관 300 : 클램프
400 : 접합부

Claims (4)

  1. 관연결시 시공상의 편의, 시공환경 등에 의해 접합부의 회전 등에 의해 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이음관에 있어서,
    일단에 관형상의 제 1 관부(110)와 상기 제 1 관부(110)의 끝단에서 축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평테두리(131)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테두리(131) 상부에 제 1 돌출테두리(132)를 구비하는 제 1 결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관(100)과;
    상기 제 1 결합부(130)의 수평테두리(131)와 대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패킹지지테두리(231)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231)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결합부(130)에 삽입되는 제 2 돌출테두리(232)를 구비하는 제 2 결합부(230)와 상기 패킹지지테두리(231)의 밑단에서 일체화 된 관형상의 제 2 관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관(200)과;
    상기 패킹지지테두리(231) 및 상기 제 2 돌출테두리(232)에 안치되어 상기 제 1 결합부(130)와 상기 제 2 결합부(230)의 수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패킹(240)과;
    밑면에 형성된 중공(303)과, 상기 중공(303) 외측에서 형성되는 밑면테두리(301)와, 상기 밑면테두리(301) 외측에서 융기하여 벽면을 구성하며 그 내주연에 나사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130)의 제 1 돌출테두리(132)와 회전을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벽면테두리(302)로 구성된 클램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230)의 제 2 돌출테두리(232)는 그 외주연에 다수의 돌기(233)를 형성하고, 상기 패킹(240)에 있어서도 상기 돌기(233)에 대응하는 체결홈(241)을 형성하여 상기 패킹(240)이 상기 제 2 돌출테두리(232) 및 상기 패킹지지테두리(231)에 안치되는 경우 미끄럼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부(110)는 상기 제 1결합부(130)의 반대쪽 끝단에 관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 1소켓부(140) 또는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한 제 1이중벽관(150) 중 어느 하나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부(210)는 상기 제 2결합부(230)의 반대쪽 끝단에 관결합이 가능하도록 제 2소켓부(250) 또는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한 제 2이중벽관(260) 중 어느 하나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
KR20-2005-0022341U 2005-08-01 2005-08-01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 KR200398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341U KR200398694Y1 (ko) 2005-08-01 2005-08-01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341U KR200398694Y1 (ko) 2005-08-01 2005-08-01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694Y1 true KR200398694Y1 (ko) 2005-10-14

Family

ID=4369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341U KR200398694Y1 (ko) 2005-08-01 2005-08-01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6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547B1 (ko) 2007-08-06 2008-02-26 주식회사 고리 가변연결부를 구비한 오수받이
KR200446080Y1 (ko) * 2008-01-16 2009-09-24 주식회사 천일피앤씨 양변기용 세척수 분사펌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547B1 (ko) 2007-08-06 2008-02-26 주식회사 고리 가변연결부를 구비한 오수받이
KR200446080Y1 (ko) * 2008-01-16 2009-09-24 주식회사 천일피앤씨 양변기용 세척수 분사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4580B2 (en) Flexible flange apparatus for connecting conduits and methods for connecting same
AU737676B2 (en) Branch pipe connection
EP1225384A3 (en) Pipe couplings
US7185894B2 (en) Watertight corrugated pipe gasket
KR200398694Y1 (ko)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
US20100140917A1 (en) Vacuum fitting connection
US20050178438A1 (en) Flexible and extendable plumbing trap device
US20090015007A1 (en) Flexible piping connector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KR101008205B1 (ko) 편수관
KR101000666B1 (ko) 확장돌기를 이용한 양방향 관연결구
KR100670838B1 (ko)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JP4542771B2 (ja) 排水配管構造および排水配管構造の施工方法
KR100766401B1 (ko)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JP3929597B2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JP2003524739A (ja) コルゲートパイプアダプタ及び結合システム
KR200407158Y1 (ko) 호스의 연결장치
JP2015124510A (ja) 自在継手
JP4405285B2 (ja) 排水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オフセット継手
JP4861053B2 (ja) 継手体の接続方法
KR200364167Y1 (ko) 체결형 가변각도 이음관
KR20040012228A (ko)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
JP2829496B2 (ja) 塩ビ製小口径マンホール等に用いる自在継手
JP2003329182A (ja) 自在管継手
JP2549749Y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