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2228A -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228A
KR20040012228A KR1020020045671A KR20020045671A KR20040012228A KR 20040012228 A KR20040012228 A KR 20040012228A KR 1020020045671 A KR1020020045671 A KR 1020020045671A KR 20020045671 A KR20020045671 A KR 20020045671A KR 20040012228 A KR20040012228 A KR 20040012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roove
sewage
coupled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윤
Original Assignee
한국미라이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라이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미라이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5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2228A/ko
Publication of KR20040012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22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6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with special sealing means between the engag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쌍의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 접속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내/외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만곡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만곡부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관의 일측과 결합되는 관형상의 연장부가 형성된 몸체와, 외주면이 상기 몸체의 만곡부 내측에 면접촉한 상태로 선회 가능하도록 만곡부 내측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관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축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삽입구멍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요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2 요홈이 형성된 가동부와, 일단이 상기 가동부의 제1 요홈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동부의 삽입구멍으로 내삽된 관의 외주에 압착되는 제1 패킹과, 상기 만곡부의 내측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2 요홈에 결합된 제2 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Connecting Apparatus for Water Supply Pipes and Drainpipes}
본 발명은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호 접속시킨 관의 접속부분에 수밀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관을 소정 각도 변경 배치할 수 있어 배관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수관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배관은 생활이나 사업에 기인하거나 부수되는 건물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汚水) 또는 우수(雨水)를 정화하여 하천으로 방류하는 종말처리장으로 보내기 위해 시가지 내 도로 밑에 그물 모양으로 깔려 있는 관을 말하며, 상수관은 정수사업장으로부터 각 건물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상수도를 이루는 관을 말한다.
이와 같은 상하수관은 종래에는 주로 콘크리트 하수관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요즘 들어서는 콘크리트보다 시공성이 우수한 PVC,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하수관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하수관은 배관 작업시 연통방향이 상호 연결할 경우, 종래에는 상기 하수배관을 연통 가능하게 상호 대응하도록 접합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장치를 통해 열융착 과정을 거쳐 접합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는 시공을 위해 하수관을 상호 열융착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하수관 연결작업도 장시간을 요구하게 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하수관 매설 후, 설계변경 등에 의해 연결시킨 하수관을 상호 분리시키거나 소정 각도로 변경 배관하여야 할 경우, 분리 자체가 불가능하고 더욱이 상/하수관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새로운 상/ 하수관으로 대체하여 다시 배관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하수관의 경우 건물로부터 배출되는 오물을 배수하기 위한 지관(支管)을 본관(本管)에 결합시킬 경우, 대부분 본관의 외주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지관을 직접 관통구멍에 삽입시킨 뒤 관통구멍과 지관의 외주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시일재등을 이용하여 시일링하게 되는데 이 경우 지진 등과 같이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지관은 본관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하수가 하수관으로부터 누수되어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호 접속시킨 하수관의 접속부분에 수밀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상/하수관을 소정 각도 변경 배치할 수 있어 상/하수관 배관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 접속장치 일측에 소정 곡률을 갖는 결합판을 결합하여 본관 일주면에 지관을 접속할 수 있는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의 부착구가결합되는 본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3: 하수관5: 지관
7: 본관10, 110: 몸체
11, 111: 연장부13, 113: 만곡부
15, 115: 결합부15a, 115a: 고정턱
20: 가동부21: 삽입구멍
23: 제1 요홈25: 제2 요홈
27: 고정턱30: 패킹
31: 밀착부33: 요홈
40: O-링50: 부착구
51: 원통부53: 결합판
55: 삽입턱57,58: 걸림턱
59: 결합구멍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쌍의 관을 연결하기 위한 하수관 접속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내/외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만곡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만곡부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관의 일측과 결합되는 관형상의 연장부가 형성된 몸체와, 외주면이 상기 몸체의 만곡부 내측에 면접촉한 상태로 선회 가능하도록 만곡부 내측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관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축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삽입구멍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요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2 요홈이 형성된 가동부와, 일단이 상기 가동부의 제1 요홈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동부의 삽입구멍으로 내삽된 관의 외주에 압착되는 제1 패킹과, 상기 만곡부의 내측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2 요홈에 결합된 제2 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패킹은 외주를 따라 요홈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선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밀착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연장부 일단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다른 관의 일측이 내삽되도록 내경이 상기 연장부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몸체의 연장부는 만곡부에 대하여 라운딩 절곡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연장부가 삽입 결합되는 원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 하단 외주연에 연장 형성되고 하수관의 외주에 대응하는 곡률로 이루어져 하수관 외주에 밀착 결합되는 결합판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 하단에는 상/하수관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삽입턱이 연장 형성된 부착구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한쌍의 관의 일측을 상호 연통하거나 또는 관의 일측을 다른 관의 외주에 연통시킬 경우, 하수관 상호 간에 수밀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관을 소정 각도 변경 배치가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되, 상기 본 발명은 상수관 및 하수관 모두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하기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하수관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 2a와 같이 한쌍의 하수관(1,3)의 일측과 타측을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하수관(1)의 일측으로 내삽되고 타측이 연장부(11)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내/외측이 반구형상의 곡률을 갖는 만곡부(13)가 형성된 관형 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만곡부(13) 내측에 면접촉한 상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부(20)는 외주면이 상기 만곡부(13) 내측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다른 하수관(3)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구멍(21)이 축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단에는 삽입되는 하수관(3)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턱(27)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동부(20)의 삽입구멍(21) 일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요홈(23)이 형성되고, 가동부(20)의 외주면 타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2 요홈(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동부의 제1 요홈(23)에 결합된 패킹(30)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루프상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주를 따라 요홈(33)이 형성되어 있고 패킹(30)의 내측에는 선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밀폐부(31)가 형성되어 도 2a와 같이 상기 가동부(20)의 삽입구멍(21)으로 내삽된 하수관(3)의 외주에 압착되어 가동부(20)와 하수관(3)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하수관(3)이 삽입구멍(21)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밀폐부(31)가 패킹(30)의 내측으로 밀리게 되는데, 상기 패킹(30)은 요홈(35)과 제1 요홈(2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메꿔지도록 형상이 탄력적으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가동부의 제2 요홈(25)에는 O-링(4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O-링(40)은 상기 가동부(20)가 만곡부(13)의 내측에서 선회될 때 만곡부 내의 기밀을 유지한다.
이때 상기 가동부(20)의 유효 선회각도는 도 2b와 같이 축방향을 중심(0°)으로 하였을 때 대략 ±15°정도로 선회 가능하게 되어, 하수관 연결작업이 용이하고 배관작업 시 장애물이 존재할 때 좀 더 여유있는 시공이 가능하다.
한편 도 3과 같이 하수관이 삽입되는 결합부(15)를 상기 연장부(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결합부(15)가 연장부(11)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결합부(15)가 연장부(11)의 경계 사이에 고정턱(15a)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5)로 삽입된 하수관(1)의 일단을 고정시키게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5)는 가동부(20)에 삽입되는 하수관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하수관(1)을 상호 연결할 때 사용되므로 결합부(15)의 내경은 결합부(15)에 삽입되는 하수관(1)의 직경에 대응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수관(1)을 상기 결합부(15)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부(15) 내측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뒤, 하수관(1)을 삽입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몸체(110)의 만곡부(113) 내측에 가동부(20)가 배치되고, 가동부(20)에 패킹(30) 및 O-링(40)이 결합되어 있다.
다만 하수관이 일측에 삽입되는 연장부(111)가 소정 각도로 예를 들면 0°∼90°사이 각도로 라운딩 절곡되어 있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 결과,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같이 가동부(20)에 결합된 하수관을 소정 각도로 변경 배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절곡된 연장부(111)를 통해 하수관(1,3)을 더욱 다양한 각도로 배관하는 것이 가능하며 아울러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5와 같이 상기 연장부(111) 일단에 연방부의 직경보다 큰 지경을 갖는 결합부(115)를 연장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때연장부(111)와 결합부(115)의 내측 경계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수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턱(115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하수관을 연결하되 상호 일측을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기에 설명하는 제3 실시예에서는 도 7과 같이 다수의 건물로부터 다수의 지관(支管)(5)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를 본관(本管)(7)으로 안내하기 위해 지관의 일측과 본관의 외주면을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상/하수관용 접속장치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몸체(10)의 만곡부(11) 내측에 삽입구멍(21)을 갖는 가동부(20)가 결합되고, 가동부(20)의 제1 요홈(23)에는 삽입구멍(21)으로 삽입된 지관(5)의 외주를 압착 수밀하기 위한 밀착부(31)를 갖는 패킹(30)이 삽입되며, 제2 요홈(25)에는 O-링(40)이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 및 상기 가동부(20)의 작동상태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조 및 작동상태를 이룬다.
그런데,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본관(7)과 가동부(20)에 결합된 지관(5)을 수밀을 유지한 상태로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본관(7)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부착구(50)를 구비한 것이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한편 상기 부착구(50)는 몸체(10)의 연장부(11)가 삽입 결합되는 원통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51) 하단에는 상기 원통부(51)와 연통되며 상기 본관(7)의 외주에 대응하는 곡률로 이루어진 결합판(53)이 원통부(51)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판(53)은 원통부(51) 내측단에 도 8과 같이 본관(7)의 외주에 관통된 관통구멍(5a)에 삽입되는 삽입턱(55)을 형성하여 상기 부착구(50)가 상기 본관(7) 외주를 따라 선회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상기 부착구(50)는 결합판(53) 내측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뒤, 본관(7)의 외주에 부착 결합시키는데, 이 경우, 본관(7)과의 결합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별도의 끈(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본관(7)과 결합판(53)을 결속하기 위해 끈이 걸릴 수 있도록 결합판(53)의 좌우단 및 전후단에 각각 걸림턱(57,58)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걸림판(53) 양측으로 다수의 결합구멍(59)을 형성하여 결합구멍(59)에 리벳(도시하지 않음)을 결합시키는 리벳결합을 통해 본관(7)과 부착구(50)와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용 접속장치는 도 6에 나타낸 상/하수관용 접속장치와 구조가 동일하며 다만, 연장부(11)가 라운딩 상태로 절곡된 것에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다양한 각도로 본관(7)에 지관(5)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한쌍의 관의 일측을 상호 연통하거나 또는 관의일측을 다른 관의 외주에 연통시킬 경우, 하수관 상호 간에 수밀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관을 소정 각도 변경 배치가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한쌍의 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 접속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내/외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만곡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만곡부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하수관의 일측과 결합되는 관형상의 연장부가 형성된 몸체와,
    외주면이 상기 몸체의 만곡부 내측에 면접촉한 상태로 선회 가능하도록 만곡부 내측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관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축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삽입구멍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요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2 요홈이 형성된 가동부와,
    일단이 상기 가동부의 제1 요홈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동부의 삽입구멍으로 내삽된 관의 외주에 압착되는 제1 패킹과,
    상기 만곡부의 내측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2 요홈에 결합된 제2 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킹은 외주를 따라 요홈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선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밀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연장부 일단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다른 관의 일측이 내삽되도록 내경이 상기 연장부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연장부는 만곡부에 대하여 라운딩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연장부가 삽입 결합되는 원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 하단 외주연에 연장 형성되고 관의 외주에 대응하는 곡률로 이루어져 관 외주에 밀착 결합되는 결합판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 하단에는 관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삽입턱이 연장 형성된 부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장치.
KR1020020045671A 2002-08-01 2002-08-01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 KR20040012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671A KR20040012228A (ko) 2002-08-01 2002-08-01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671A KR20040012228A (ko) 2002-08-01 2002-08-01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228A true KR20040012228A (ko) 2004-02-11

Family

ID=3732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671A KR20040012228A (ko) 2002-08-01 2002-08-01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222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276B1 (ko) * 2004-10-25 2006-07-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KR20070002292A (ko) * 2005-06-30 2007-01-05 김종한 굴절형 관이음
KR100743487B1 (ko) * 2007-04-27 2007-07-30 김용현 흄관용 연결관
KR100966648B1 (ko) * 2007-12-27 2010-06-29 주식회사 효성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940A (ja) * 1991-12-20 1993-09-24 Kubota Corp 自在継手の製造方法
JPH06323476A (ja) * 1993-05-11 1994-11-25 Daikaron Kako:Kk 自在継手
JPH06330552A (ja) * 1993-05-21 1994-11-29 Maezawa Kasei Ind Co Ltd 漏水防止装置
JPH07208669A (ja) * 1994-01-11 1995-08-1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自在管継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940A (ja) * 1991-12-20 1993-09-24 Kubota Corp 自在継手の製造方法
JPH06323476A (ja) * 1993-05-11 1994-11-25 Daikaron Kako:Kk 自在継手
JPH06330552A (ja) * 1993-05-21 1994-11-29 Maezawa Kasei Ind Co Ltd 漏水防止装置
JPH07208669A (ja) * 1994-01-11 1995-08-1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自在管継手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276B1 (ko) * 2004-10-25 2006-07-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
KR20070002292A (ko) * 2005-06-30 2007-01-05 김종한 굴절형 관이음
KR100743487B1 (ko) * 2007-04-27 2007-07-30 김용현 흄관용 연결관
KR100966648B1 (ko) * 2007-12-27 2010-06-29 주식회사 효성 변압기용 소음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3607B2 (en) Expansion repair coupling
KR100996950B1 (ko) 합성수지관연결구
KR20040012228A (ko)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
KR101120145B1 (ko) 관 조인트
KR101957725B1 (ko) 분기관의 연결구조
US4699404A (en) Flexible PVC coupling--"Flexfix"
KR101000666B1 (ko) 확장돌기를 이용한 양방향 관연결구
KR100326547B1 (ko) 굴절배관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KR200301978Y1 (ko) 분기관 결합구조
KR102454257B1 (ko) 하수관 연결구조체
KR200195784Y1 (ko) 주하수관에 분기 하수관 결합구
KR100748626B1 (ko) 상·하수관 접속구조
KR20020094841A (ko) 관 이음 플랜지
KR101030797B1 (ko) 패킹스토퍼
KR102447124B1 (ko) 하수관 결합구조체
KR200355574Y1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200218355Y1 (ko) 가지관 연결 조인트
KR20060019628A (ko) 상·하수관 접속구조
KR101490720B1 (ko) 하수도 가지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 가지관 연결방법
KR102153262B1 (ko) 지관 연결용 단지관
JP4780739B2 (ja) 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の継手構造
JP4527909B2 (ja) リブ付き管用マンホール
KR200341353Y1 (ko) ㄷ형 클립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하수관 연결 구조
KR19990024523A (ko)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의 연결부재
KR200274848Y1 (ko) 터널배수용 투수성 배수관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