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626B1 - 상·하수관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상·하수관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626B1
KR100748626B1 KR1020060014883A KR20060014883A KR100748626B1 KR 100748626 B1 KR100748626 B1 KR 100748626B1 KR 1020060014883 A KR1020060014883 A KR 1020060014883A KR 20060014883 A KR20060014883 A KR 20060014883A KR 100748626 B1 KR100748626 B1 KR 100748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connection
pipes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0717A (ko
Inventor
안태인
Original Assignee
안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인 filed Critical 안태인
Priority to KR102006001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626B1/ko
Publication of KR2006002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18Abutment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20Safety or prote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관 접속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관 접속구조는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수관 또는 하수관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관 접속구조에 있어서, 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며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측면에 고리 형상의 분리방지 홈이 형성되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패킹관과, 양측이 서로 다른 패킹관의 분리방지 홈에 각각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며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접속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하수관 접속구조는 한쌍의 관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홈을 형성하고, 이 결합홈에 끼워 맞춤 구조를 갖는 관형상의 패킹관을 결합시킨 다음 하나의 접속관을 이용하여 한쌍의 관을 연결하는 구조이므로, 지상으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도 이를 효율적으로 완충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즉, 패킹관과 접속관이 완충성이 우수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됨에 따라 수밀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관 접속부분의 파손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수관, 하수관, 접속, 콘크리트, 연결

Description

상·하수관 접속구조 {CONNECT STRUCTURE FOR WATER PI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 접속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 접속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 접속구조의 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 접속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연결관 10 : 결합홈
20 : 패킹관 25 : 분리방지 홈
26 : 이탈방지 돌부 30 : 접속관
36 : 분리방지 돌부 50 : 이음관
60 : 실리콘
본 발명은 지하에 매립되는 상·하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의 연결부위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충격력 또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저감시키면서 시공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상·하수관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배관은 생활이나 사업에 기인하거나 부수되는 건물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汚水) 또는 우수(雨水)를 정화하여 하천으로 방류하는 종말처리장으로 보내기 위해 시가지 내 도로 밑에 그물 모양으로 깔려 있는 관을 말하며, 상수관은 정수사업장으로부터 각 건물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상수도를 이루는 관을 말한다.
이와 같은 상하수관은 통수량이 큰 곳에서는 콘크리트 하수관을 주로 사용하며, 통수량이 비교적은 적은 곳에서는 콘크리트에 비해 시공성이 우수한 PVC,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재 또는 주물로 성형된 하수관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상·하수관중 콘크리트로 성형된 하수관의 경우에는 상호 접속되는 부분을 시멘트 등으로 실링처리를 하여 한쌍의 관이 서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되게 하고 있으나, 이러한 시공방법은 작업성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수밀성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하수관은 배관 작업시 연통방향이 상호 연결할 경우, 종래에는 상기 하수배관을 연통 가능하게 상호 대응하도록 접합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장치를 통해 열융착 과정을 거쳐 접합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는 시공 을 위해 하수관을 상호 열융착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하수관 연결작업도 장시간을 요구하게 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끝으로, 주물로 성형되는 하수관의 경우 대부분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한쌍의 관을 접합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커플러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관을 접속시키는 구조로서, 이 경우에도 시공성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합성수지, 주물로 성형되는 관들을 접속하는 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단점들 외에도 지상에서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이 반복적으로 전달되는 경우 관의 접속부분이 쉽게 파손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상·하수가 누수되어 지반 침하를 가속시킬 뿐만 아니라 하수의 경우에는 토양 및 지하수 오염과 같은 심각한 수질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한쌍의 관을 완충성이 우수한 패킹관과 접속관을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 구성시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한쌍의 관이 유동되는 경우에도 이를 탄력적으로 보상하여 수밀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충격에 의한 접속부분의 파손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하수관 접속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 접속구조는,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수관 또는 하수관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관 접속구조에 있어서, 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며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측면에 고리 형상의 분리방지 홈이 형성되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패킹관과; 양측이 서로 다른 패킹관의 분리방지 홈에 각각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며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접속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패킹관의 분리방지 홈은 입구에서 내측으로 진행하면서 내·외주면으로 삼각편상의 이탈방지 돌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관은 내·외주면으로 상기 이탈방지 돌부에 밀접하게 결합되게 대응되는 분리방지 돌부가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패킹관의 분리방지 홈은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으로 코팅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 접속구조는,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수관 또는 하수관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관 접속구조에 있어서, 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과; 양측이 서로 다른 관의 결합홈에 각각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내·외주면으로 결합홈의 측벽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탄성 플랜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관형상의 이음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이음관은 탄성 플랜지와 탄성 플랜지 사이에 실리콘이 충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관 접속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 접속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 접속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 접속구조의 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하수관 접속구조는 상수관 또는 하수관을 두 개 이상 직렬로 연결하는 곳에 적용 실시되며, 크게 관(1,1')의 양측 끝에 형성되는 결합홈(10)과, 이 결합홈(10)에 삽입 결합되는 패킹관(20) 그리고 패킹관(20)이 일측으로 결합되는 접속관(30)으로 구성된다.
결합홈(10)은 관(1,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측면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1,1')은 콘크리트로 성형되므로 관(1,1') 성형시 결합홈(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홈(10)에는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패킹관(20)이 끼워 맞춤 구조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패킹관(20)은 상술한 결합홈(10)에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일종의 탄성부재로서, 완충성이 우수한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다. 이러한 패킹관(20)은 전체적으로 관형상을 취하며 상기 결합홈(10)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측면에 고리 형상의 분리방지 홈(25)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패킹관(20)의 분리방지 홈(25)은 입구측에서 내측으로 진행하면서 내·외주면으로 삼각편상의 이탈방지 돌부(26)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때의 상기 이탈방지 돌부(26)는 전체적으로 톱니 형태로 성형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후술할 접속관(30)이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경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패킹관(20)은 전체적으로 경질의 고무나 PVC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나 분리방지 홈(25)은 연질의 합성수지나 실리콘으로 일정 두께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할 접속관(30)이 끼움구조로 결합될 때의 결합성을 개선시키기 위함이다.
접속관(30)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쌍의 관(1,1') 들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하는 관형상을 갖는 연결부재로서, 양측이 서로 다른 관(1,1')에 결합된 패킹관과 연결된다.
즉, 상기 접속관(30)은 양측이 서로 다른 패킹관(20)의 분리방지 홈(25)에 각각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구조이며, 이를 위해 패킹관(20)의 분리방지 홈(25)에 억지 끼워맞춤될 수 있을 정도의 지름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접속관(30)은 내·외주면으로 상기 티부에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응되는 분리방지 돌부(36)가 등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며, 이때의 분리방지 돌부(36)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름관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접속관(30)은 완충성이 우수한 경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하수관 접속구조는 다음과 같이 시공될 수 있다.
먼저, 한쌍의 관(1,1')이 서로 직렬로 배치될 수 있게 인접하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1,1')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0)에 패킹관(20)을 끼워 넣는다. 이때 상기 패킹관(20)은 전체적으로 결합홈(10)에 억지 끼움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지만 필요시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어서, 상기 패킹관(20)의 분리방지 홈(25)으로 접속관(30)의 일측을 강제 압입하여 끼워 맞춤으로 결합시킨다. 마찬가지로 상기 접속관(30)의 타측 부분 역시 다른 관에 끼움 결합된 패킹관(20)의 분리방지 홈(25)에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접속관(30)은 내·외주면에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분리방지 돌부(36)에 의해 주름관 형태를 취하게되며, 상기 패킹관(20)의 분리방지 홈(25) 역시 이탈방지 돌부(26)에 의해 주름홈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이와 같 은 구조를 통해 접속관(30)과 패킹관(20)은 상호 높은 결합력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력 등에 의해서도 쉽게 분리되거나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연결되는 한쌍의 관은 완충성이 우수한 패킹관(20)과 접속관(30)에 의해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유동에 따른 충격 및 진동을 안정적으로 흡수 완충시키면서 수밀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관 접속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하수관 접속구조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상·하수관 접속구조는 상수관 또는 하수관을 두 개 이상 직렬로 연결하는 곳에 적용 실시되며, 크게 관(1,1')의 양측 끝에 형성되는 결합홈(10)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결합홈(10)이 형성된 한쌍의 관(1,1')을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하면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결합홈(10)에는 이음관(50)의 양단이 각각 끼워 맞춤 구조로 구비되어 연결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이음관(50)은 본 실시예에서의 주요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부분으 로서, 경질의 고무재나 합성수지재 또는 PVC재로 성형될 수 있으며, 양측이 서로 다른 관(1,1')의 결합홈(10)에 각각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이음관(50)은 내·외주면으로 결합홈(10)의 측벽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탄성 플랜지(51)가 등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형성되는 구조이며, 이러한 탄성 플랜지(51)는 연질의 합성수지나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음관(50)은 탄성 플랜지(51)와 탄성 플랜지(51) 사이에 접착성과 완충성이 우수한 실리콘(60)이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결되는 관(1,1')은 완충성이 우수한 이음관(50) 및 상기 이음관(50)의 탄성 플랜지(51)에 충진되는 실리콘(60)에 의해 관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유동에 따른 충격 및 진동을 안정적으로 흡수 완충시키면서 수밀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상·하수관 접속구조는 한쌍의 관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홈을 형성하고, 이 결합홈에 끼워 맞춤 구조를 갖는 관형상의 패킹관을 결합시킨 다음 하나의 접속관을 이용하여 한쌍의 관을 연결하는 구조이므로, 지상으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도 이를 효율적으 로 완충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즉, 패킹관과 접속관이 완충성이 우수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됨에 따라 수밀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관 접속부분의 파손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관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커플러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종전의 관을 영구적으로 접합시키는 공법에 의한 관의 교체 및 보수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대단히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수관 또는 하수관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관 접속구조에서, 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며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측면에 고리 형상의 분리방지 홈이 형성되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패킹관 그리고 양측이 서로 다른 패킹관의 분리방지 홈에 각각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며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접속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하수관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패킹관의 분리방지 홈은 입구에서 내측으로 진행하면서 내·외주면으로 삼각편상의 이탈방지 돌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으로 코팅되고, 상기 접속관은 내·외주면으로 상기 이탈방지 돌부에 밀접하게 결합되게 대응되는 분리방지 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접속구조.
  2. 삭제
  3. 삭제
  4.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수관 또는 하수관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관 접속구조에서, 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 및 양측이 서로 다른 관의 결합홈에 각각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내·외주면으로 결합홈의 측벽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탄성 플랜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관형상의 이음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하수관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은 탄성 플랜지와 탄성 플랜지 사이에 실리콘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접속구조.
  5. 삭제
KR1020060014883A 2006-02-16 2006-02-16 상·하수관 접속구조 KR100748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883A KR100748626B1 (ko) 2006-02-16 2006-02-16 상·하수관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883A KR100748626B1 (ko) 2006-02-16 2006-02-16 상·하수관 접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717A KR20060020717A (ko) 2006-03-06
KR100748626B1 true KR100748626B1 (ko) 2007-08-17

Family

ID=3712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883A KR100748626B1 (ko) 2006-02-16 2006-02-16 상·하수관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105B1 (ko) * 2010-04-13 2010-11-18 (주) 제일산업 하수관 연결용 이음관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5848B (zh) * 2013-09-25 2016-07-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管接头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2189U (ko) * 1987-12-29 1989-10-20
JPH0510536U (ja) * 1991-07-19 1993-02-12 日本プラスチツク工業株式会社 パイプ貫通部の止水材
JPH09100975A (ja) * 1995-10-06 1997-04-15 Masahiro Miyahara 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の接ぎ手
JPH09216124A (ja) * 1996-02-13 1997-08-19 Sukeo Matsumoto 短ニップル製作用治具
KR100284931B1 (ko) 1998-12-31 2001-03-15 김선배 매설관의 접속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2189U (ko) * 1987-12-29 1989-10-20
JPH0510536U (ja) * 1991-07-19 1993-02-12 日本プラスチツク工業株式会社 パイプ貫通部の止水材
JPH09100975A (ja) * 1995-10-06 1997-04-15 Masahiro Miyahara 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の接ぎ手
JPH09216124A (ja) * 1996-02-13 1997-08-19 Sukeo Matsumoto 短ニップル製作用治具
KR100284931B1 (ko) 1998-12-31 2001-03-15 김선배 매설관의 접속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105B1 (ko) * 2010-04-13 2010-11-18 (주) 제일산업 하수관 연결용 이음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717A (ko)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626B1 (ko) 상·하수관 접속구조
ES2797740T3 (es) Empalme de tubería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20060004637A (ko) 상·하수관 접속구조
KR100731173B1 (ko) 상·하수관 접속구조
JP2988647B2 (ja) 更生桝および更生下水管路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060019628A (ko) 상·하수관 접속구조
CN109084105A (zh) 钢筋混凝土推进管环槽型接头连接结构
KR101030797B1 (ko) 패킹스토퍼
KR200433025Y1 (ko) 수밀성 수로관
KR100903088B1 (ko) 피씨 암거 연결 시공방법
JP2005131979A (ja) 管路施設ライニング工法及びつば付き管状部材
JP2005344505A (ja) さや管推進工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管継手構造
KR200361426Y1 (ko) 하수용 관의 일체화 결합구조
JP2009114771A (ja) 耐震可撓継手
KR200389373Y1 (ko) 콘크리트 수로관
KR200377859Y1 (ko)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KR101478321B1 (ko)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
KR200339494Y1 (ko)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
KR100886364B1 (ko) 콘크리트관
JP4146191B2 (ja) 耐蝕シール構造を有する既設管きょの更生管
KR100519107B1 (ko) 상하수관 이음장치
KR101011017B1 (ko) 상하수도용 관 이음용 패킹의 연결방법
KR100595812B1 (ko) 건축물 단지 내 도로의 흄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