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859Y1 -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859Y1
KR200377859Y1 KR20-2004-0035508U KR20040035508U KR200377859Y1 KR 200377859 Y1 KR200377859 Y1 KR 200377859Y1 KR 20040035508 U KR20040035508 U KR 20040035508U KR 200377859 Y1 KR200377859 Y1 KR 200377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ipe
fluid
prevent
concre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운
Original Assignee
이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운 filed Critical 이병운
Priority to KR20-2004-0035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8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8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8Rigid pipe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 cement,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27Joints for pipe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체결 부재와 완충 부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관을 서로 결합시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인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는, 원통형의 몸체가 전방 콘크리트관의 후단과 후방 콘크리트관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고,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에 소정 간격으로 체결공이 형성된 연결 부재; 전방 콘크리트관과 후방 콘크리트관 사이에 설치되고,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천공부가 형성된 완충 부재; 및 체결공과 결합공에 삽입되어 전방 콘크리트관과 후방 콘크리트관 및 완충 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Structure for connection of concrete pipe preventing leakage of fluid}
본 고안은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체결 부재와 완충 부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관을 서로 결합시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관은 지하에 매설되어 상ㆍ하수, 지중 선로, 케이블 등의 통로로써 사용된다.
상기 콘크리트 관이 상ㆍ하수 등 유체의 통로로써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음부에서 유체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관의 끝단부의 외주면에 매입 칼라를 설치하고, 다른 끝단부의 외주면에 매입 칼라와 형합하는 계단 턱을 형성한다. 즉, 전방(前方) 콘크리트 관의 매입 칼라에 후방(後方) 콘크리트 관의 계단 턱을 삽입함으로써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매입 칼라와 계단 턱 사이에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링을 삽입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매입 칼라를 이용하면 별도의 용접이나 콘크리트 타설을 하지 않고서도 콘크리트관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매입 칼라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연결은 인장력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연결된 콘크리트관이 인장력에 의하여 분리되어 유체가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지반 침하, 지반의 동결ㆍ융해 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관이 이동하게 되면 매입 칼라가 콘크리트 관으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 있다.
아울러, 매입 칼라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연결은 곡선 경로 또는 경사면 등에 적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매입 칼라가 콘크리트관의 끝단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매입 칼라에 전방 콘크리트관의 후단이 삽입되기 때문에 곡선부 또는 경사면 등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관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연결된 콘크리트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곡선부 또는 경사면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는, 원통형의 몸체가 전방 콘크리트관의 후단과 후방 콘크리트관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에 소정 간격으로 체결공이 형성된 연결 부재; 상기 전방 콘크리트관과 후방 콘크리트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천공부가 형성된 완충 부재; 및 상기 체결공과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콘크리트관과 후방 콘크리트관 및 완충 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는 상기 몸체가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 또는 상기 몸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기부를 더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와 수직을 이루고, 그 끝단이 상기 콘크리트관의 끝단과 일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콘크리트관의 두께와 상응하는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는 상기 완충 부재의 양면이 서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상세도이다. 아울러, 도 4는 상기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200)는 콘크리트관(100)의 양 끝단에 설치된 연결 부재(10)와, 전방(前方) 콘크리트관(100)과 후방(後方) 콘크리트관(100) 사이에 설치된 완충 부재(30) 및, 전ㆍ후방 콘크리트관(100)과 완충 부재(30)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50)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 부재(10)는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몸체(12) 및, 체결공(15)이 형성된 연결부(16)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방(前方) 콘크리트관(100)의 후단에 설치된 연결 부재(10)와 후방(後方) 콘크리트관(100)의 선단에 설치된 연결 부재(10)가 서로 결합되어 콘크리트관(100)이 연결된다.
상기 몸체(1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관(100)의 양 끝단에 매설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12)는 콘크리트관(100)의 양 끝단의 외주면에 매설되고, 콘크리트관(100) 내부를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13)와 콘크리트관(100)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14)를 구비한다.
상기 절곡부(13)와 돌기부(14)는 연결 부재(10)가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매입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절곡부(13) 또는 돌기부(14)는 연결 부재(10)가 인장력에 의하여 인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절곡부(13)에는 수팽창 고무링(60)이 설치될 수 있다. 수팽창 고무링(60)은 수분에 의하여 팽창되는 것으로서 관(100) 내부의 유체가 연결 부재(10)를 따라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부(16)는 몸체(12)와 일체로 형성된 부분으로서, 이웃하는 콘크리트관(100)에 설치된 연결 부재(10)의 연결부(16)와 결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16)는 몸체(12)와 수직을 이루고, 그 끝단이 콘크리트관(100)의 끝단과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연결부(16) 사이에도 완충 부재(30)가 설치되어 유체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기 연결부(16)에는 관(100)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개수의 체결공(15)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체결공(15)에는 체결 부재(50)가 삽입되어 콘크리트관(100)을 서로 결합한다.
상기 완충 부재(30)는 전방 콘크리트관(100)과 후방 콘크리트관(10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유출을 방지한다.
상기 완충 부재(3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콘크리트관(100)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완충 부재(30)의 중앙에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천공부(3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 부재(30)는 콘크리트관(100) 두께(D)와 상응하는 폭(W)을 가진다. 완충 부재(30)는 고무 등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30)에는 체결공(15)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34)이 형성된다. 즉, 체결 부재(50)가 체결공(15) 및 결합공(34)에 삽입되어 전ㆍ후방 콘크리트관(100) 및 완충 부재(30)를 결합한다.
한편,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완충 부재(30a)는 그 양면이 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양면이 서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완충 부재(30a)는 곡선 경로 또는 경사면 등에 콘크리트관(100)을 매설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50)는 체결공(15)과 결합공(34)에 삽입되어 전ㆍ후방 콘크리트관(100) 및 완충 부재(30)를 결합한다. 체결 부재(50)로는 볼트 및 너트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체결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전ㆍ후방 콘크리트관 및 완충 부재를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연결된 콘크리트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양면이 서로 경사진 완충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곡선부 또는 경사면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상세도.
도 4는 도 2의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에 사용되는 완충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에 사용되는 완충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 부재 30 : 완충 부재
50 : 체결 부재 60 : 수팽창 고무링
100 : 콘크리트관
200 :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Claims (5)

  1. 원통형의 몸체가 전방 콘크리트관의 후단과 후방 콘크리트관의 선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에 소정 간격으로 체결공이 형성된 연결 부재;
    상기 전방 콘크리트관과 후방 콘크리트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천공부가 형성된 완충 부재; 및
    상기 체결공과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콘크리트관과 후방 콘크리트관 및 완충 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 또는 상기 몸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와 수직을 이루고, 그 끝단이 상기 콘크리트관의 끝단과 일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콘크리트관의 두께와 상응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양면이 서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KR20-2004-0035508U 2004-12-14 2004-12-14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KR200377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08U KR200377859Y1 (ko) 2004-12-14 2004-12-14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08U KR200377859Y1 (ko) 2004-12-14 2004-12-14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859Y1 true KR200377859Y1 (ko) 2005-03-11

Family

ID=4367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508U KR200377859Y1 (ko) 2004-12-14 2004-12-14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8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724B1 (ko) * 2010-08-09 2012-07-09 이정숙 고압철근 콘크리트 수밀관 고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44786B1 (ko) * 2015-03-05 2017-06-09 전한병 배관 결합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724B1 (ko) * 2010-08-09 2012-07-09 이정숙 고압철근 콘크리트 수밀관 고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44786B1 (ko) * 2015-03-05 2017-06-09 전한병 배관 결합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7859Y1 (ko)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100731173B1 (ko) 상·하수관 접속구조
KR100665208B1 (ko) 연결관
KR100748626B1 (ko) 상·하수관 접속구조
KR200389373Y1 (ko) 콘크리트 수로관
KR200377858Y1 (ko)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KR100648981B1 (ko)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
KR200235785Y1 (ko) 벨크립식 내충격 수도관
KR200176617Y1 (ko) 연결부를 갖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JPH08495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と埋設管との接続構造
KR100519107B1 (ko) 상하수관 이음장치
JPH10292883A (ja) 排水パイプ設置用ジョイント、および排水パイプ設置工法
KR20000016019U (ko) 지중매설용 주철관
KR20030060559A (ko) 관 이음 플랜지
KR200261453Y1 (ko) 관로구용 나선관 밀폐구
KR200304830Y1 (ko) 매설용 합성수지관
KR20060126123A (ko) 관로의 비굴착 보수부재용 고무시트
KR200381517Y1 (ko)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
KR0117471Y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20080004143U (ko) 콘크리트 관부재 및 콘크리트 관부재의 연결구조
KR200333351Y1 (ko) 신축형 지수단관
KR200398166Y1 (ko) 밸브용 카플러
KR200252819Y1 (ko) 수질오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하수관 연결구조
KR200397200Y1 (ko) 전단저항덕트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부재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