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517Y1 -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517Y1
KR200381517Y1 KR20-2005-0000485U KR20050000485U KR200381517Y1 KR 200381517 Y1 KR200381517 Y1 KR 200381517Y1 KR 20050000485 U KR20050000485 U KR 20050000485U KR 200381517 Y1 KR200381517 Y1 KR 200381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edded
concrete pipe
concrete
sealing material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운
Original Assignee
이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운 filed Critical 이병운
Priority to KR20-2005-0000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5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5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관의 끝단에 설치되는 씰링재가 콘크리트에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인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는, 전방 콘크리트관의 후단에 매설된 매입 칼라; 및 후방 콘크리트관의 선단에 매설되고 상기 매입 칼라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씰링재;를 구비하여, 상기 후방 콘크리트관의 선단이 상기 전방 콘크리트관의 매입 칼라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방 콘크리트관과 상기 후방 콘크리트관이 서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Concrete pipe having laid sealing member and structure for connection of the same}
본 고안은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관의 끝단에 설치되는 씰링재가 콘크리트에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관은 지하에 매설되어 상ㆍ하수, 지중 선로, 케이블 등의 통로로써 사용된다.
상기 콘크리트 관이 상ㆍ하수 등 유체의 통로로써 사용되는 경우에는 연결부에서 유체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관의 끝단의 외주면에 매입 칼라를 매설하고, 다른 끝단의 외주면에 매입 칼라에 밀착될 수 있는 고무링을 설치한다.
즉, 전방(前方) 콘크리트관의 매입 칼라에 후방(後方) 콘크리트관의 고무링이 밀착되도록 삽입됨으로써 유체의 유출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고무링은 콘크리트 관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매입 칼라와 고무링을 이용하면 용접 등의 별도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콘크리트관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전방(前方) 콘크리트 관의 매입 칼라에 후방(後方) 콘크리트 관의 고무링이 밀착되면서 삽입되는 동안에 고무링이 후방으로 밀려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연결부에서의 씰링(sealing)이 불완전하게 되어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링은 시간이 경과되면 노후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관 내부의 유체가 노후화된 고무링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관의 연결부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관의 연결 과정에서 고무링이 밀려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노후화된 고무링을 통하여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은 그 끝단에 매설된 매입 칼라 및, 다른 끝단에 매설되고 상기 매입 칼라의 내주면과 밀착될 수 있는 씰링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씰링재는 고무링이고, 상기 고무링은 상기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매설부, 및 상기 매설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매입 칼라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매설부는 상기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매설될 수 있도록 그 하단이 상단보다 넓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인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는, 전방 콘크리트관의 후단에 매설된 매입 칼라; 및 후방 콘크리트관의 선단에 매설되고 상기 매입 칼라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씰링재;를 구비하여, 상기 후방 콘크리트관의 선단이 상기 전방 콘크리트관의 매입 칼라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방 콘크리트관과 상기 후방 콘크리트관이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는 상기 매입칼라와 후방 콘크리트관 사이의 공간에 타설된 충진 콘크리트를 더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씰링재는 고무링이고, 상기 고무링은 상기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매설부, 및 상기 매설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매입 칼라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매설부는 상기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매설될 수 있도록 그 하단이 상단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100)은 끝단에 매설된 매입 칼라(10) 및, 다른 끝단에 매설된 씰링재(30)를 구비한다.
상기 매입 칼라(10)는 콘크리트관(100)의 끝단에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콘크리트에 매설된다. 매입 칼라(10)는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원통형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입 칼라(10)는 그 내주면에 콘크리트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12)를 구비한다. 돌기부(12)는 매입 칼라(10)가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매설되도록 하고, 매입 칼라(10)가 인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돌기부(12)는 매입 칼라(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씰링재(30)는 매입 칼라(1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관(100)의 다른 끝단에 매설된다. 즉,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씰링재(30)는 전방(前方) 콘크리트관(100)의 후단에 매설된 매입 칼라(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후방(後方) 콘크리트관(100)의 선단에 매설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씰링재(30)는 고무링이다. 고무링(30)은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매설부(32), 및 매설부(32)와 일체로 형성되고 매입 칼라(10)에 밀착되는 밀착부(34)를 구비한다. 매설부(32)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무링(30)이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매설될 수 있도록 그 하단이 상단에 비하여 넓게 형성된다.
상기 씰링재(30) 또는 고무링(30)은 관(100) 내부의 유체 압력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개수가 설치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씰링(sealing)을 위하여 고무링(30)이 사용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고무링 뿐만 아니라 다양한 씰링재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콘크리트관(100)의 다른 끝단에는 소정의 계단턱(60)이 형성되고, 씰링재(30)는 계단턱(60)의 계단면에 매설된다. 계단턱(60)은 씰링재(30)가 매입 칼라(1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정도의 단차를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200)는 전방(前方) 콘크리트관(100)의 매입 칼라(10)에 후방(後方) 콘크리트관(100)의 선단이 삽입된다. 이 때, 씰링재(30)가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後方) 콘크리트관(100)의 삽입시에 씰링재(30)가 매입 칼라(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200)는 매입 칼라(10)와 후방 콘크리트관(100) 사이의 공간에 타설된 충진 콘크리트(50)를 구비한다. 전방(前方) 콘크리트관(100)의 매입 칼라(10)에 후방(後方) 콘크리트관(100)의 씰링재(30)가 삽입된 후, 매입 칼라(10)와 후방 콘크리트관(100) 사이의 공간에 충진 콘크리트(50)가 타설된다.
상기 충진 콘크리트(50)는 씰링재(30)가 매입 칼라(10)에 더욱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씰링재(30)가 노후화되는 경우에도 관(100)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충진 콘크리트(50)는 전방 콘크리트관(100)의 매입 칼라(10)가 후방 콘크리트관(100)의 선단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연결된 콘크리트관(1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콘크리트관을 견고하게 연결함으로써 콘크리트관의 연결부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콘크리트관의 연결 과정에서 실링재가 밀려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노후화된 실링재를 통하여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콘크리트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인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매입 칼라 30 : 씰링재
50 : 충진 콘크리트
100 :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200 :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Claims (5)

  1. 끝단에는 매입 칼라가 콘크리트에 매설되고, 다른 끝단에는 상기 매입 칼라의 내주면과 밀착될 수 있는 씰링재가 상기 콘크리트에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재는 고무링이고,
    상기 고무링은,
    상기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매설부, 및 상기 매설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매입 칼라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매설부는 상기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매설될 수 있도록 그 하단이 상단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3. 전방 콘크리트관의 후단에 매설된 매입 칼라; 및
    후방 콘크리트관의 선단에 매설되고 상기 매입 칼라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씰링재;를 구비하여,
    상기 후방 콘크리트관의 선단이 상기 전방 콘크리트관의 매입 칼라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방 콘크리트관과 상기 후방 콘크리트관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칼라와 후방 콘크리트관 사이의 공간에 타설된 충진 콘크리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재는 고무링이고,
    상기 고무링은,
    상기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매설부, 및 상기 매설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매입 칼라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매설부는 상기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매설될 수 있도록 그 하단이 상단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KR20-2005-0000485U 2005-01-07 2005-01-07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 KR200381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485U KR200381517Y1 (ko) 2005-01-07 2005-01-07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485U KR200381517Y1 (ko) 2005-01-07 2005-01-07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517Y1 true KR200381517Y1 (ko) 2005-04-14

Family

ID=4368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485U KR200381517Y1 (ko) 2005-01-07 2005-01-07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5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85522A (ja) 配管配線用挿通ダクト
CN103628546A (zh) 用于连接导管的挠性法兰装置以及连接所述导管的方法
EP2762650B1 (en) Device for connecting a drain to an outlet pipe
KR200381517Y1 (ko) 씰링재가 매설된 콘크리트관 및 그 연결 구조
JPS62502628A (ja) 可撓性ホ−スの分岐接続具
JP2015175487A (ja) 閉塞部材および支保孔の閉塞方法
KR101407685B1 (ko) 분기관 연결용 조인트
KR101244701B1 (ko)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진 주입 노즐
KR200325547Y1 (ko) 오폐수 도관의 연결부재
KR102041474B1 (ko) 흄관과 맨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KR200424711Y1 (ko) 윤활제 저장부를 구비하는 실링재
JP4240382B2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の二次覆工用管材、シールドトンネル、シールドトンネルの二次覆工方法
CN104235527B (zh) 一种隔音密封陶瓷套接管
KR200242733Y1 (ko) 배수관 연결소켓
KR200377859Y1 (ko)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JP6120681B2 (ja) 既設管路の補修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地下排水施設
KR200358337Y1 (ko) 하수관용 분기관 연결링
JP2537383B2 (ja) 枝管付き既設管の内面ライニング方法
JP2009074650A (ja) 閉塞具およびその取付方法
JP4503760B2 (ja) 二重管路端の閉塞蓋
KR200377858Y1 (ko)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KR200268361Y1 (ko) 상하수 배관용 밀봉링
JP3842398B2 (ja) マンホールと接続管との継手構造
KR20100111219A (ko) 누수 방지를 위한 맨홀과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KR200319627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