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858Y1 -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 Google Patents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858Y1
KR200377858Y1 KR20-2004-0035507U KR20040035507U KR200377858Y1 KR 200377858 Y1 KR200377858 Y1 KR 200377858Y1 KR 20040035507 U KR20040035507 U KR 20040035507U KR 200377858 Y1 KR200377858 Y1 KR 200377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concrete
buried
embedding
concret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운
Original Assignee
이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운 filed Critical 이병운
Priority to KR20-2004-0035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8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8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8Rigid pipe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 cement,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085Reinforc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매입 칼라가 콘크리트 내부에 견고하게 매설될 수 있고 이음부에서의 누수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콘크리트 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인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은, 매입 칼라의 후단부가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고, 콘크리트 관의 다른 끝단에는 매입 칼라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Concrete pipe having reclaimed collar}
본 고안은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매입 칼라가 콘크리트 내부에 견고하게 매설될 수 있고 이음부에서의 누수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콘크리트 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관은 지하에 매설되어 상ㆍ하수, 지중 선로, 케이블 등의 통로로써 사용된다.
상기 콘크리트 관이 상ㆍ하수 등 유체의 통로로써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음부에서 유체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관의 끝단의 외주면에 매입 칼라를 설치하고, 다른 끝단의 외주면에 매입 칼라와 형합하는 계단 턱을 형성한다. 즉, 전방(前方) 콘크리트 관의 매입 칼라에 후방(後方) 콘크리트 관의 계단 턱을 삽입함으로써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매입 칼라와 계단 턱 사이에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을 삽입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매입 칼라가 콘크리트 관의 외주면에 설치되면 콘크리트 관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반 침하, 지반의 동결ㆍ융해 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관이 침하 또는 상승하는 경우에 매입 칼라가 콘크리트 관으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 있다. 또한, 매입 칼라와 콘크리트 관과의 결합력이 약해지면 유체가 매입 칼라를 따라 외부로 쉽게 유출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매입 칼라가 콘크리트 내부에 견고하게 매설될 수 있는,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음부에서의 누수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은, 상기 매입 칼라의 후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고, 상기 콘크리트 관의 다른 끝단에는 상기 매입 칼라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은 상기 매입 칼라의 후단부에 형성된 돌기 또는 요철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은 상기 매입 칼라의 후단부가 절곡된다.
여기에서, 상기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은 상기 콘크리트 관 내부의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 설치된 씰링 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입 칼라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매입 칼라의 선단부에는 상기 매입 칼라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절곡홈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씰링 부재는 상기 콘크리트에 부착되는 면 및 상기 매입 칼라와 접촉되는 면에 각각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다. 아울러,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100)은 그 끝단에 설치된 매입 칼라(10) 및, 상기 매입 칼라(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끝단에 형성된 삽입홈(30)을 구비한다.
상기 매입 칼라(10)는 후단부가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도록 설치된다. 즉, 매입 칼라(10)의 후단부는 콘크리트 관(100)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 매설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입 칼라(10)의 후단부에는 돌기(12)가 형성된다. 돌기(12)는 매입 칼라(10)가 콘크리트 내부에 견고하게 매설되도록 하고, 매입 칼라(10)를 따라 관(100)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매입 칼라(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돌기(12)는 매입 칼라(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기(12)는 매입 칼라(10)가 외력(外力)에 의하여 인발(引拔)되는 것을 억제하고, 유체의 유출 방지에 효과적이다.
상기 매입 칼라(10)의 선단부에는 절곡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절곡홈(14)은 후술하는 씰링 부재(32)와 함께 유체의 유출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곡홈(14)은 매입 칼라(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곡홈(14)은 씰링 부재(32)와 함께 유체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상기 매입 칼라(10)는 강재(鋼材) 또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0)은 콘크리트 관(100)의 다른 끝단에 형성된다. 삽입홈(30)은 매입 칼라(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매입 칼라(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삽입홈(30)은 콘크리트 관(100)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0)에는 씰링(sealing) 부재(32)가 설치될 수 있다. 씰링 부재(32)는 삽입홈(30)을 따라 설치되어 매입 칼라(10)의 선단부와 함께 유체의 유출을 방지한다. 씰링 부재(32)는 고무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씰링 부재(32)는 매입 칼라와 접촉되는 면 및 콘크리트에 부착되는 면에 각각 형성된 요철부(34)(36)를 구비한다. 콘크리트에 부착되는 면에 형성된 요철부(36)는 씰링 부재(32)가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하고, 매입 칼라(10)와 접촉되는 면에 형성된 요철부(34)는 유체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기 콘크리트 관(100)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끝단의 매입 칼라(10)가 다른 끝단의 삽입홈(30)에 삽입됨으로써 연결된다. 콘크리트 관(100)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40)에는 쿠션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쿠션 부재는 콘크리트 관(100)을 연결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부재이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관(100a)(100b)(100c)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상기 콘크리트 관(100a)(100b)(100c)의 매입 칼라(10a)(10b)(10c)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단부가 절곡되거나,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단부에 요철이 형성된다. 후단부가 절곡되거나 후단부에 요철이 형성된 매입 칼라(10a)(10b)(10c)는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매설될 수 있다. 또한, 매입 칼라(10a)(10b)(10c)를 따라 관(100a)(100b)(100c) 내부의 유체가 유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입 칼라(10a)(10b)(10c)의 선단부에는 절곡홈(14a)(14b)(14c)이 형성된다. 절곡홈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 있다.
그러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100)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몰드 본체(도 9 내지 도 11의 72) 내부에 탈형유(미도시)를 도포하고 철근(미도시)을 배근한다. 이어서, 체결 부재(75)를 이용하여 제1,2 측면 부재(74)(76)를 몰드 본체(72)에 결합한다. 제1 측면 부재(74)에는 매입 칼라(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매입 칼라(10)와 형합하는 형합홈(74a)이 형성된다. 즉, 형합홈(74a)에 매입 칼라(10)를 삽입한 후, 볼트(74b)를 이용하여 매입 칼라(10)를 형합홈(74a)에 고정한다. 이 때, 형합홈(74a)을 따라 완충 부재(74c)를 설치하고 완충 부재(74c) 사이에 매입 칼라(10)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완충 부재(74c)가 볼트(74b)에 의하여 가압되어 매입 칼라(10)에 밀착된다.
상기 제2 측면 부재(76)는 삽입홈(30)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돌출된 돌출부(76a)를 구비한다. 돌출부(76a)에는 씰링 부재(32)가 설치된다. 즉, 씰링 부재(32)가 돌출부(76a)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설치된다.
다음으로, 몰드(70)를 원심 성형대(미도시)에 설치한다. 몰드(70)를 원심 성형대에 설치하기 위해서 크레인(미도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원심 성형대에 몰드(70)의 설치가 완료되면, 몰드(70)를 회전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타설된 콘크리트는 원심력에 의하여 몰드(70) 내면에 밀착되면서 콘크리트 관(100)으로 형성된다. 콘크리트 타설 및 콘크리트 관(100) 형성 작업이 완료되면 몰드(70)의 회전을 중지하고 몰드(70)를 탈형대(미도시)로 이동시킨다. 상기 탈형대에서는 몰드(70)를 콘크리트 관(100)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매입 칼라가 콘크리트 내부에 견고하게 매설될 수 있다.
둘째, 콘크리트 관의 이음부에서의 누수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상세도.
도 4는 도 2의 B 부분의 상세도.
도 5는 도 1의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이 서로 연결된 이음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을 제조하기 위한 몰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C 부분의 상세도.
도 11은 도 9의 D 부분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10b, 10c : 매입 칼라 12 : 돌기
14, 14a, 14b, 14c : 절곡홈 30 : 삽입홈
32 : 씰링 부재 70 : 몰드
100, 100a, 100b, 100c :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Claims (6)

  1. 끝단에 매입 칼라가 설치된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에 있어서,
    상기 매입 칼라의 후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고, 상기 콘크리트 관의 다른 끝단에는 상기 매입 칼라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 칼라의 후단부에 돌기 또는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 칼라의 후단부가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관 내부의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을 따라 설치된 씰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 칼라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매입 칼라의 선단부에는 상기 매입 칼라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절곡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 부재는 상기 콘크리트에 부착되는 면 및 상기 매입 칼라와 접촉되는 면에 각각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KR20-2004-0035507U 2004-12-14 2004-12-14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KR200377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07U KR200377858Y1 (ko) 2004-12-14 2004-12-14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07U KR200377858Y1 (ko) 2004-12-14 2004-12-14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858Y1 true KR200377858Y1 (ko) 2005-03-11

Family

ID=4367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507U KR200377858Y1 (ko) 2004-12-14 2004-12-14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8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200377858Y1 (ko)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KR101639322B1 (ko) 원형맨홀에 부합하는 타원형 커넥터
US6460896B1 (en) Sewer pipe coupling
RU2256115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деталь
KR20150029421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JP2005131979A (ja) 管路施設ライニング工法及びつば付き管状部材
KR20050082143A (ko) 수밀형 맨홀
KR100909111B1 (ko) 합성수지제 맨홀용 접속관 및 합성수지제 접속관을 일체로갖는 콘크리트 맨홀의 제작방법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KR200377859Y1 (ko)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JPH11191918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接続方法、接続構造およびシール用可とう性継手
AU2008202935A1 (en) An expansion joint
JP2008164060A (ja) 管路形成用既製管材
KR200364270Y1 (ko) 맨홀의 관연결부재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KR100284931B1 (ko) 매설관의 접속공법
KR200235069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KR200304830Y1 (ko) 매설용 합성수지관
KR200299983Y1 (ko) 콘크리트관의 연결장치
KR20050082101A (ko)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0464364Y1 (ko) 하수관과 맨홀의 연결부
JP5801677B2 (ja) マンホール用可撓継手及びその設置方法
KR100683911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KR200325547Y1 (ko) 오폐수 도관의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