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069Y1 -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069Y1
KR200235069Y1 KR2020010006454U KR20010006454U KR200235069Y1 KR 200235069 Y1 KR200235069 Y1 KR 200235069Y1 KR 2020010006454 U KR2020010006454 U KR 2020010006454U KR 20010006454 U KR20010006454 U KR 20010006454U KR 200235069 Y1 KR200235069 Y1 KR 200235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hot wire
wire ring
ring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종
Original Assignee
박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종 filed Critical 박기종
Priority to KR2020010006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069Y1/ko

Links

Landscapes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을 융착 연결하는 열선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선링의 내·외측단에 연결되는 합성수지의 내·외주면에 밀착하여 지지되는 내·외부 지지링을 일체화하여 접속부를 보강함과 아울러 양호한 접속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때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사이에 열선링을 개재한 후 유압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밀착시키면서 전기를 가하여 열선링을 발열시켜 융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결방법에 의하여 합성수지관은 일체화되어 견고하면서 양호한 수밀성을 갖도록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열선링의 구조에 따라 좀더 수밀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되어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결될 두 합성수지관(P1)(P2)의 사이에 개재시켜 전기 발열로 융착시키는 열선링(10)에 있어서, 열선만으로 이루어진 얇은 열선판(11)의 내·외측단에 연결될 두 합성수지관(P1)(P2)의 연결부 내·외측면을 지지하는 내·외부 지지링(12a)(12b)이 결합되어 열선링(10)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A heat-wire ring for linking plastic pipe}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을 융착 연결하는 열선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선링의 내·외측단에 연결되는 합성수지의 내·외주면에 밀착하여 지지되는 내·외부 지지링을 일체화하여 접속부를 보강함과 아울러 양호한 접속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로관으로 이용하는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때에는 수밀성을유지하도록 연결해야 한다. 만약 연결상태가 불량하게되면 온도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신축작용에 의해 불량한 연결상태가 더욱 악화되어 누수를 촉진하게되고 이는 유출된 오폐수로 인하여 지하수 오염 및 토양의 오염과 같은 심각한 문제점 등을 초래하게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사이에 열선링을 개재한 후 유압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밀착시키면서 전기를 가하여 열선링을 발열시켜 융착하도록한 방법을 특허 제2001-5467호로 출원한 바 있다.
이러한 연결방법에 의해 합성수지관은 일체화되어 견고하면서 양호한 수밀성을 갖도록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열선링의 구조에 따라 좀더 수밀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음을 인식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열선으로만 이루어진 열선판의 내·외측단에 연결되는 합성수지의 내·외주면에 밀착하여 지지되는 내·외부 지지링을 일체화하여 접속부를 보강함과 아울러 양호한 접속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져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 호의 열선링의 기능을 좀더 향상시킨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열선링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열선링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열선링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한 결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열선링 11 - 열선판
12a,12b - 내·외부 지지링 13 - 단자선
14a,14b - 결합홈 P1,P2 - 합성수지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연결될 두 합성수지관의 사이에 개재시켜 전기 발열로 융착시키는 열선링에 있어서,
열선만으로 이루어진 얇은 열선판의 내·외측단에 연결될 두 합성수지관의 연결부 내·외측면을 지지하는 내·외부 지지링이 결합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열선링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열선링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열선링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한 결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열선링(10)은 크기가 다른 내·외부 지지링(12a)(12b)의 사이에 열선판(11)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외부 지지링(12b)의 외측방에는 열선판(11)과 연결된 복수개의 단자선(13)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열선판(11)은 얇은 도넛형태의 원판 형상으로서 단순히 열선으로만 이루어져 있고, 그 내측단은 내부 지지링(12a)의 외측면 중앙에 결합되어 있으며 외측단은 외부 지지링(12b)의 내측면 중앙에 결합되어 있다.
그 결합상태는 제조시 열선판(11)을 금형에 위치시키고 그 둘레와 내부로 수지를 주입하여 열선판(11)의 내·외측단이 내·외부 지지링(12a)(12b)에 매립되어 결합되도록 하거나 또는 내부 지지링(12a)의 외주면 중앙부와, 외부 지지링(12b) 내측면 중앙에 결합홈(14a)(14b)을 가공하여 이에 열선판(11)의 내·외측단을 끼워 조립할 수 있다. 이때에는 열선판(11)의 내·외측단이 내·외부 지지링(12a)(12b)의 결합홈(14a)(14b)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시킨다. 이와 함께 열선판(11)의 내·외측단에 걸림턱기능을 하는 고정링을 연결할수도 있다.
또한 내·외부 지지링(12a)(12b)의 외측면 및 내측면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내·외부 지지링(12a) 내측면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한 것은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한 것이고, 외부 지지링(12b)은 외관의 미려함과 아울러 매립시 충격을 줄이기 위함과 설치후 온도에 따른 합성수지관(P1)(P2)의 신축작용이나 지반의 움직임이 있을 때 토압이 한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열선판(11)은 개방된 구조를 갖도록 일측이 절단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선(13)은 절단된 양단에 연결된다. 이는 공급되는 전기가 고른 분포로 전달되도록 하여 열선의 각부분에 균일한 온도분포를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된 본 고안의 열선링(10)은 사용시 연결될 양측 합성수지관(P1)(P2)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유압 연결장치나 수동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P1)(P2)을 밀착시킨다.
밀착되는 양측 합성수지관(P1)(P2)의 단부는 내·외부 지지링(12a)(12b)의 사이로 삽입되어 열선판(11)을 사이에 두고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열선판(11)의 단자선(13)에 전기를 가하게 되면 열선은 발열하면서 양측 합성수지관(P1)(P2)의 단부를 용융시킨다. 양측 합성수지관(P1)(P2)의 단부에서 용융된 용융물은 열선판(11)의 공극을 통해 서로 혼합되고 또 합성수지관(P1)(P2)의 벽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메우게 된다. 특히 열선판(11)이 단순히 얇은 열선으로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측 용융물은 더욱더 용이하게 혼합된다.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전열선의전기를 단절시키게 되면 용융물은 경화되며 양측 합성수지관(P1)(P2)은 하나의 몸체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또 용융물이 혼합되면서 내·외부 지지링(12a)(12b)의 틈새로도 유입되어 경화후 그 틈사이가 완전히 차단되게 되므로 결국 완벽한 수밀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내·외부 지지링(12a)(12b)이 합성수지관(P1)(P2) 연결부의 내·외측면을 항상 지지하기 때문에 더욱더 견고하고 기밀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열선으로만 이루어진 열선판(11)으로 되어 있어 양측 합성수지관(P1)(P2)의 단부에서 용융된 용융물은 열선판(11)의 공극을 통해 서로 용이하게 혼합되게 되고 또 합성수지관(P1)(P2)의 벽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메우게 되므로 경화후 하나의 몸체를 이루어 양호한 수밀성과 견고성을 확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외측단에 연결되는 합성수지의 내·외주면에 밀착되어 접속부를 보강하므로 더욱더 양호한 접속상태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연결될 두 합성수지관(P1)(P2)의 사이에 개재시켜 전기 발열로 융착시키는 열선링(10)에 있어서,
    열선만으로 이루어진 얇은 열선판(11)의 내·외측단에 연결될 두 합성수지관(P1)(P2)의 연결부 내·외측면을 지지하는 내·외부 지지링(12a)(12b)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지지링(12b)의 내측면과 내·외부 지지링(12a)의 외측면 중앙부에 결합홈(14a)(14b)을 형성하여 이에 상기 열선판(11)의 내·외측단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지지링(12a)(12b)의 외측면 및 내측면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판(11)은 개방된 구조를 갖도록 일측을 절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KR2020010006454U 2001-03-10 2001-03-10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KR200235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54U KR200235069Y1 (ko) 2001-03-10 2001-03-10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54U KR200235069Y1 (ko) 2001-03-10 2001-03-10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069Y1 true KR200235069Y1 (ko) 2001-10-06

Family

ID=7305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454U KR200235069Y1 (ko) 2001-03-10 2001-03-10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0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420A (ko) * 2001-12-28 2003-07-04 박기종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420A (ko) * 2001-12-28 2003-07-04 박기종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5069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KR200372679Y1 (ko) 전기융착용 분기관 조인트
KR100443178B1 (ko) 금형을 이용한 배관연결공법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89528Y1 (ko) 발포재와 열수축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253000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251564Y1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45150Y1 (ko)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KR200184213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JP2002357292A (ja) 波付管の端部構造及び波付管端部の製造方法
KR200268413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KR200395771Y1 (ko) 하수도용폴리에칠렌파이프의 이음관 접합방법
KR200344493Y1 (ko) 분지관 밀봉결합용 소켓 및 상기 소켓을 이용한 주관과분지관의 밀봉결합 구조물
KR200268378Y1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275928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KR200253937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313866Y1 (ko) 합성수지관의 분기관 연결구조
KR100468465B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KR200251117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KR200377858Y1 (ko) 매입 칼라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관
KR200241315Y1 (ko) 합성수지관용 분기관 접속장치
KR200253939Y1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250922Y1 (ko) 합성수지관용 보수판
KR200275912Y1 (ko) 유연성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KR100387214B1 (ko) 분기관 접속방법 및 접속 소켓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