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928Y1 -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5928Y1 KR200275928Y1 KR2020010040528U KR20010040528U KR200275928Y1 KR 200275928 Y1 KR200275928 Y1 KR 200275928Y1 KR 2020010040528 U KR2020010040528 U KR 2020010040528U KR 20010040528 U KR20010040528 U KR 20010040528U KR 200275928 Y1 KR200275928 Y1 KR 20027592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wire
- support ring
- synthetic resin
- plate
- ho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에 관한 것으로,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과; 상기 열선판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열선판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됨으로써, 양측 합성수지관의 단부에서 용융된 용융물은 열선판의 사이를 통해 서로 용이하게 혼합되고, 합성수지관의 벽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확실하게 메우게 되므로 경화 후 하나의 몸체를 이루어 양호한 수밀성과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선판의 형상을 사행선으로 형성하여 융착이 양호한 접속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로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때는 긴밀히 접합하여 수밀성을 유지시키도록 연결해야 하며, 만약 합성수지관의 연결상태가 불량하면 온도변화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신축작용에 의해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위가 더욱 악화되어 이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되고, 궁극적으로 합성수지관으로부터 유출된 오폐수로 인하여 지하수 오염 및 토양의 오염과 같은 환경오염을 야기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결될 합성수지관간에 열선링을개재시킨 후 유압장치 및 기타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밀착시킴과 동시에 전기를 통전시켜 열선링을 발열시켜 융착시키도록 한 방법이 특허 제2001-5467호로 출원된 바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연결방법에 의한 합성수지관 연결은 일체화되어 견고하면서 양호한 수밀성을 가지며, 연결되는 장점이 있으나, 보다 더 양호한 열선링의 구조를 개발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6454호(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를 출원하였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은 연결될 두 합성수지관의 사이에 개재시켜 전기 발열로 융착시키는 열선링에 있어서, 열선만으로 이루어진 얇은 열선판의 내외측단에 연결될 두 합성수지관의 연결부 내외측면을 지지하는 내외부 지지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은 단자선에 전기를 공급하면 열선판의 열선으로 전류가 균일하게 공급되어야 융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동일전류를 공급하더라도 저항의 특성상 저항이 작은쪽으로 전류가 흘러, 열선판의 열선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분포를 이루지 못하고 어느 특정 부분에만 집중하여 불균일한 온도분포를 이루는 문제와 회로구성상 병렬회로 구성으로 인하여 전류 통전시 과도한 전력소모를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선은 발열되면서 양측 합성수지관의 단부를 용융시 불균일하게 용융시켜 궁극적으로 불완전상태에서 합성수지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열선판을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하여 양호한 합성수지관의 연결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관 연결용 연결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은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과; 상기 열선판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열선판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의 I형 지지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의 I형 지지링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의 T형 지지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의 T형 지지링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의 ㅗ형 지지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의 ㅗ형 지지링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의 T형 지지링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의 T형 지지링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의 일자형 지지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의 일자형 지지링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열선링 11 : 열선판
11a : 열선 12 : 지지링
13 : 단자선 20 : 합성수지관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은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11)과; 상기 열선판(11)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12)과; 상기 열선판(11)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11a)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링(12)은 그 단면형상이 I형, T형, ㅗ형, 유사T형, 일자형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링(12)의 내측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걸쳐 열선(11a)이 배치되고, 상기 열선판(11)에는 그 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걸쳐 열선(11a)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열선판(11)은 그 열선판(11)의 내외주면에 결합되는 지지링(12) 부분에 결합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링(12)은 그 내외측면이 소정의 각도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면이 형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은 크기가 다른 내외부 지지링(12)간에 열선판(11)이 결합되며, 외부 지지링(12)의 외측에는 열선판(11)과 연결된 복수개의 단자선(13)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열선판(11)은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넛 형태의 원판 형상으로서,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11a)이 구비되고, 이 내측단은 내부 지지링(12)의 외측면 중앙에 결합되며, 외측단은 외부 지지링(12)의 내측면 중앙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열선(11a)은 직렬회로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고융점 금속이나 그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바, 특히 상기 고융점 금속이나 그 합금은 니켈, 크롬, 철, 망간, 인, 콘스탄틴, 구리, 아연, 텅스텐, 또는 베릴륨 중 어느 하나의 단일 금속이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열선(11a)을 직렬로 구성한 이유는 병렬구성에 비하여 열효율이 상승되며, 열선(11a)의 각 부분에 균일한 온도분포를 가져 고른 발열이 이루어지는 한편, 융착시 전력 소모량의 감소로 인하여 주변장비인 융착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열선(11a)을 고융점 금속이나 그 합금으로 구성한 이유는 고온에 견디고 저항률이 크며 가는 선재로 만들기 쉬운 도체재료를 사용한 열선(11a)이며, 전류에 의한 발열작용을 이용해서 고온가열하기 위한 저항선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때문이다.
상기 열선판(11)의 결합상태는 제조시 열선판(11)을 금형에 위치시키고 그 외주와 내부로 수지를 주입하여 열선판(11)의 내외측단이 내외부 지지링(12)에 매립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내부 지지링(12)의 외주면 중앙부와 외부 지지링(12)의 내측면 중앙에 결합홈을 가공하여 이 결합홈에 열선판(11)의 내외측단을 끼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선판(11)의 내외측단이 내외부 지지링(12)의 결합홈으로부터 잘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열선판(11)의 내외측단에 걸림턱 기능을 하는 고정링을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외부 지지링(12)은 그 내외측면이 소정의 각도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면이 형성되며, 이 내부 지지링(12)의 만곡면은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이 외부 지지링(12)의 만곡면은 외관의 미려함과 동시에 합성수지관(20) 매립시 매립에 따른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함과 아울러 설치후 온도변화에 따른 합성수지관(20)의 신축이나 지반의 요동으로 인하여 토압이 한곳에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토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열선판(11)은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일측이 절단되어 있고, 단자선(13)은 절단된 열선판(11)의 양단에 연결된다.
이는 단자선(13)에 공급하는 전기가 고른 분포로 전달되도록 하여 열선(11a)의 각 부분에 균일한 온도분포를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은 연결될 합성수지관(20)의 사이에 열선링(10)을 개재시킨 후 유압 연결장치나 수동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20)을 밀착시키는 한편, 밀착되는 양측 합성수지관(20)의 단부는 내외부 지지링(12)의 사이로 삽입되어 열선판(11)을 사이에 두고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열선판(11)의 단자선(13)에 전기를 통전시키면, 열선(11a)은 발열되면서 양측 합성수지관(20)의 단부를 용융시키고, 양측 합성수지관(20)의 단부에서 용융된 용융물은 열선판(11)의 사이를 통해 서로 혼합됨과 동시에 합성수지관(20)의 벽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메우게 된다.
특히, 상기 열선판(11)이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11a)으로만 형성되기 때문에 양측 용융물은 더욱 용이하게 혼합되며,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단자선(13)의 전기를 차단시키면 용융물은 경화되며 양측 합성수지관(20)은 하나의 몸체로 견고하게 연결될 뿐만 아니라 용융물이 혼합되면서 내외부 지지링(12)의 틈새로도 유입되어 용융물 경화후 그 틈새가 완전히 밀봉되므로 궁극적으로 완벽한 합성수지관(20)의 수밀성을 가지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외부 지지링(12)이 합성수지관(20)의 연결부의 내외측면을 항상 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작용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은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만 이루어진 열선판으로 구성되어 양측 합성수지관의 단부에서 용융된 용융물은 열선판의 사이를 통해 서로 용이하게 혼합되고, 합성수지관의 벽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확실하게 메우게 되므로 경화후 하나의 몸체를 이루어 양호한 수밀성과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은 열선판을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으로 구성되어, 이 열선판에 단자선을 사용하여 공급하는 전기가 고른 분포로 전달되도록 하여 열선의 각 부분에 균일한 온도분포를 가져, 이 열선에서 발생되는 발열에 의하여 합성수지관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은 열선을 회로구성상 직렬회로구성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기존의 열선 재질인 스테인레스 스틸 열선에 비해 열선의 재질이 우수한 전용열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열효율이 더 상승되는 이점도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관 융착시 전력 소모량 감소로 인하여 주변장비인 융착기의 소형화가 가능한 부수적인 이점도 있다.
넷째,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은 합성수지관을 열선링과 결합시킨 상태에서 전기 통전에 의하여 융착 접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착면적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관이 맞대어 융착되는 방식으로 인하여 합성수지관 연결부위의 접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과; 상기 열선판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열선판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과; 상기 열선판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열선판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링은 그 단면형상이 T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링의 내측면 전체에 걸쳐 열선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과; 상기 열선판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열선판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링은 그 단면형상이 T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링의 내측면 일부에 열선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과; 상기 열선판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열선판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링은 그 단면형상이 I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링의 내측면 전체에 열선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과; 상기 열선판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열선판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링은 그 단면형상이 I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링의 내측면 일부에 열선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과; 상기 열선판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열선판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링은 그 단면형상이 역T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링의 내측면 전체에 걸쳐 열선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과; 상기 열선판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열선판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링은 그 단면형상이 역T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링의 내측면 일부에 열선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과; 상기 열선판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열선판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링은 그 단면형상이 ㅗ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링의 내측면 전체에 걸쳐 열선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과; 상기 열선판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열선판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링은 그 단면형상이 ㅗ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링의 내측면 일부에 열선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과; 상기 열선판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열선판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하되, 상기 열선판은 그 면 전체에 걸쳐 열선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과; 상기 열선판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열선판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하되, 상기 열선판은 그 면 일부분에 걸쳐 열선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과; 상기 열선판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열선판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하되, 상기 열선은 직렬회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속이 빈 중공부를 가지며,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열선판과; 상기 열선판의 내외주면에 걸쳐 형성되는 지지링과; 상기 열선판에는 하나의 사행선으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열선으로; 구성하되, 상기 열선은 고융점 금속이나 그 합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은 니켈, 크롬, 철, 망간, 인, 구리, 아연, 텅스텐, 또는 베릴륨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합금은 니켈, 크롬, 철, 망간, 인, 구리, 아연, 텅스텐, 또는 베릴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40528U KR200275928Y1 (ko) | 2001-12-28 | 2001-12-28 |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40528U KR200275928Y1 (ko) | 2001-12-28 | 2001-12-28 |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86628A Division KR20030056420A (ko) | 2001-12-28 | 2001-12-28 |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5928Y1 true KR200275928Y1 (ko) | 2002-05-18 |
Family
ID=7307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40528U KR200275928Y1 (ko) | 2001-12-28 | 2001-12-28 |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592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6420A (ko) * | 2001-12-28 | 2003-07-04 | 박기종 |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
2001
- 2001-12-28 KR KR2020010040528U patent/KR20027592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6420A (ko) * | 2001-12-28 | 2003-07-04 | 박기종 |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31954A (en) | Weldable couple for electrofusion coupling of profile wall thermoplastic pipes without a separate coupler | |
CN202140730U (zh) | 一种电热熔管件 | |
KR200275928Y1 (ko) |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
KR100912672B1 (ko) |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 |
KR20030056420A (ko) |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
GB2273260A (en) | Forming a joint using an inductively heated element. | |
KR100990651B1 (ko) |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 |
KR200235069Y1 (ko) |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 |
KR100496431B1 (ko) |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 |
KR200251564Y1 (ko) |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 |
KR200275923Y1 (ko) |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 |
KR200253000Y1 (ko) |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 |
KR200328146Y1 (ko) | 지열교환장치 | |
KR200268378Y1 (ko) |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 |
CN210566923U (zh) | 温控可调钢丝网骨塑料复合管电熔正三通 | |
CN214064161U (zh) | 一种内加强型三通电热熔管件 | |
KR200268377Y1 (ko) | 합성수지관용 분기 이음관 | |
KR200292305Y1 (ko) |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 |
KR200191981Y1 (ko) | 새들분수전용 융착구조 | |
KR200250922Y1 (ko) | 합성수지관용 보수판 | |
KR102252202B1 (ko) | 지역 난방 배관 시공 방법 | |
KR200253938Y1 (ko) | 합성수지관용 분기이음관 | |
KR20030046155A (ko) |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 |
KR101039258B1 (ko) | 하수관용 전기융착 새들 | |
KR20020096173A (ko) |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