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305Y1 -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 Google Patents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305Y1
KR200292305Y1 KR2020020022727U KR20020022727U KR200292305Y1 KR 200292305 Y1 KR200292305 Y1 KR 200292305Y1 KR 2020020022727 U KR2020020022727 U KR 2020020022727U KR 20020022727 U KR20020022727 U KR 20020022727U KR 200292305 Y1 KR200292305 Y1 KR 200292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pipe
corrugated
joint structure
fla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규
Original Assignee
김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규 filed Critical 김태규
Priority to KR2020020022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3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305Y1/ko

Links

Landscapes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복형 파형강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연결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 부분의 구조적 강도, 내식성, 수밀성을 보다 향상시킴으로써,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부분의 파손, 누수, 및 누출을 방지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피복형 파형강관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구조에 있어서, 피복형 파형강관의 내, 외주면 상에 피복된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피복형 파형강관의 양 단부 상에 결합되는 부분 상에 전열선을 구비한 암, 수 한 쌍의 플랜지와; 암, 수 한 쌍의 플랜지 중에서 어느 일측의 플랜지의 접착면 상에 안착되고, 플랜지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전열선이 삽입된 접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a corrugated steel pipe with coating}
본 고안은 피복형 파형강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연결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 부분의 구조적 강도, 내식성, 수밀성을 보다 향상시킴으로써,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부분의 파손, 누수, 및 누출을 방지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강관의 관면 상에 나선형 또는 비나선형의 주름을 부여한 파형강관이 널리 이용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파형강관은 구조적인 측면에서 매우 강한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파형강관은 내식성이 약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파형강관의 내, 외주면 상에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을 열융착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피복처리함으로써, 내식성을 보강한 피복형 파형강관이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피복형 파형강관은 내식성 및 구조적 강도가 우수하여 주로 배수관, 오염도가 심한 생활 하수관, 공장 배수관 등에 이용되며, 이러한 피복형 파형강관이 현장에 시공될 때는, 다수의 파형강관이 서로 연결되어 시공된다.
이러한 피복형 파형강관의 종래의 이음구조는 서로 연결되는 각 파형강관(101)의 단부가 일치된 상태에서 각 연결부 외측에 일정 넓이를 갖는 고무 패킹(102)이 감겨져 고정되고, 이러한 고무패킹(102)의 외측면에 금속재질의 커플링 밴드(103)가 체결되며, 이러한 커플링 밴드(103)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103a)가 볼트(104) 및 너트(105)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파형강관(101)이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음구조는 시간이 지남이 따라 고무 패킹(102)이 변형되거나, 오폐수에 의해 쉽게 부식되고, 이로 인해 누수의 가능성이 현저하게 높아 토양 오염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반의 상승 또는 침하에 의해 파형강관의 이음부에 전단력이 발생할 경우에는, 구조적 강도측면에서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커플링 밴드는 오, 폐수 등에 의해 쉽게 부식될 수 있고, 볼트 및 너트의 조임이 느슨해져 파형강관의 이음부의 결합이 끊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파형강관의 이음부 상의 밀봉성, 내식성, 및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켜 파형강관의 이음부 상에서 발생하는 파손 및 누수 등을 방지하기 위한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접착부재를 펼쳐서 도시한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 따른 접착부재를 실시예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 피복형 파형강관 3, 4 : 플랜지
5, 6 : 접착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피복형 파형강관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구조에 있어서, 피복형 파형강관의 내, 외주면 상에 피복된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피복형 파형강관의 양 단부 상에 결합되는 부분 상에 전열선을 구비한 암, 수 한 쌍의 플랜지와; 암, 수 한 쌍의 플랜지 중에서 어느 일측의 플랜지의 접착면 상에 안착되고, 플랜지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전열선이 삽입된 접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부재는 동심선상에 전열선이 삽입된 와이어 형태이고, 암, 수 한 쌍의 플랜지 중에서 어느 일측의 플랜지의 접착면 상에 형성된 홈 상에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부재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열선이 굴곡져 매설되어진 시트 형태이고, 암, 수 한 쌍의 플랜지 중에서 어느 일측의 플랜지의 평탄한 접착면 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부재는 평탄한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접착부재는 전열선이 매설되는 부분이 상, 하 대칭적으로 불록하게 형성된 시트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접착부재는 전열선이 매설되는 부분이 지그재그 형태로 불록하게 형성된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는 서로 연결되어지는 피복형 파형강관(1, 2)의 각 단부 상에 결합되는 암, 수 한 쌍의 플랜지(3, 4)와, 이러한 플랜지(3, 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호 접착되는면 상에 끼워지는 접착부재(5, 6)로 이루어진다.
플랜지(3, 4)는 파형강관(1, 2)의 내, 외주면 상에 피복된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암, 수 한 쌍이고, 이러한 파형강관의 내, 외주면 상에 피복된 재질및 플랜지(3, 4)의 재질은 가열에 의해 연화 유동되고, 냉각하면 고화되는 성질의 열가소성 수지 계열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플랜지(3, 4)의 파형강관(1, 2)의 각 단부 상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전열선(3a, 4a)이 매설되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열선(3a, 4a) 상에 전원이 통전되면, 플랜지(3, 4)는 파형강관(1, 2)의 각 단부 상에 열융착되어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접착부재(5)는 상술한 플랜지(3, 4)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동심선상에 구리 또는 니크롬 재질의 전열선(5a)이 삽입된 와이어 형태이며, 상술한 암, 수 한 쌍의 플랜지(3, 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접착면 상에 형성된 소정의 홈(7) 상에 끼워져 열융착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홈(7)은 접착면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형 또는 비나선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접착부재(6)는 상술한 플랜지(3, 4)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열선(6a)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굴곡되어져 매설된 시트 형태이며, 상술한 암, 수 한 쌍의 플랜지(3, 4) 중에서 어느 하나의 평탄한 접착면 상에 끼워져 열융착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술한 전열선(6a)의 접착부재(6) 내에 매설되는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면, 보다 높은 전열면적을 달성하기 위한 어떠한 형태로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접착부재(6)의 시트 형상은 도 3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탄한 시트 형상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보다 넓은 접착면적을 얻기 위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선(6a)이 매설된 부분이 상, 하 대칭적으로 불록하게 형성된 시트 형상이거나,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선(6a)이 매설되는 부분이 지그재그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된 시트 형상일 수도 있다.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의 결합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1, 2)의 각 단부 상에 열융착에 의해 결합된 암, 수 한 쌍의 플랜지(3, 4)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플랜지 상에 형성된 홈(7, 도 2참조) 또는 평탄한 접착면(8, 도 3참조) 상에 와이어형태의 접착부재(5, 도 2참조) 또는 시트형태의 접착부재(6, 도 3 및 도 4 참조)를 끼운 후에, 암, 수 한 쌍의 플랜지(3, 4)를 결합시킨다.
다음, 접착부재(5, 6)의 전열선(5a, 6a) 상에 전류가 통전되면, 접착부재(5, 6)의 열가소성 수지 및 플랜지(3, 4)의 열가소성 수지가 녹으면서 열융착되어, 파형강관(1, 2)이 상호 결합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플랜지 및 접착부재가 열융착 방식에 의해 파형강관을 연결시킴에 따라, 보다 향상된 파형강관의 이음구조의 보다 향상된 구조적 강도, 밀봉성, 및 내식성을 달성하여 파형강관의 이음부에서의 부식 발생 및 파손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파형강관의 이음부 상의 밀봉성, 내식성, 및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켜 파형강관의 이음부 상에서 발생하는 파손 및 누수 등을 방지하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잇을 것이다.

Claims (6)

  1. 피복형 파형강관이 서로 연결되는 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피복형 파형강관의 내, 외주면 상에 피복된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복형 파형강관의 양 단부 상에 결합되는 부분 상에 전열선을 구비한 암, 수 한 쌍의 플랜지와;
    상기 암, 수 한 쌍의 플랜지 중에서 어느 일측의 플랜지의 접착면 상에 안착되고, 플랜지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전열선이 삽입된 접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동심선상에 전열선이 삽입된 와이어 형태이고, 암, 수 한 쌍의 플랜지 중에서 어느 일측의 플랜지의 접착면 상에 형성된 홈 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열선이 굴곡져 매설되어진 시트 형태이고, 암, 수 한 쌍의 플랜지 중에서 어느 일측의 플랜지의 평탄한 접착면 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평탄한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이음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전열선이 매설되는 부분이 상, 하 대칭적으로 불록하게 형성된 시트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전열선이 매설되는 부분이 지그재그 형태로 불록하게 형성된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KR2020020022727U 2002-07-30 2002-07-30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KR200292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727U KR200292305Y1 (ko) 2002-07-30 2002-07-30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727U KR200292305Y1 (ko) 2002-07-30 2002-07-30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825A Division KR100496431B1 (ko) 2002-07-30 2002-07-30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305Y1 true KR200292305Y1 (ko) 2002-10-18

Family

ID=7307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727U KR200292305Y1 (ko) 2002-07-30 2002-07-30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3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938B1 (ko) * 2013-05-14 2014-12-23 (주)복바우 파형관의 연결구조
US10676888B1 (en) 2019-10-16 2020-06-09 William Jordan LLC Corrugated shell bearing piles and installation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938B1 (ko) * 2013-05-14 2014-12-23 (주)복바우 파형관의 연결구조
US10676888B1 (en) 2019-10-16 2020-06-09 William Jordan LLC Corrugated shell bearing piles and installation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6431B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KR200292305Y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KR100536138B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시공방법
KR200346600Y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KR100545481B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KR200187809Y1 (ko) 이음새를 포함한 구조형 합성수지관
KR200198028Y1 (ko) 이중 피이시이트 피복 파형강관 연결용 플랜지 접합구조
CN212251534U (zh) 一种内肋增强聚乙烯pe螺旋波纹管
KR200292306Y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장치
CN219413827U (zh) 一种焊接式密封管接头
KR100531977B1 (ko)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KR101085404B1 (ko) 관 연결장치 및 그 체결방법
KR200245603Y1 (ko) 배관재의 연결장치
KR100529463B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장치 및 그 이음방법
KR100445528B1 (ko) 배관재의 연결장치
KR200253939Y1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357476Y1 (ko) 수지관의 연결구조
KR200318982Y1 (ko) 수지관 원터치식 연결장치
JP3064033U (ja) 樹脂管接続用可撓管
KR200206336Y1 (ko) 관체 연결구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100433812B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
RU218891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дроизоляции стыковых соединений
KR200416911Y1 (ko) 배관재 연결구
KR200423520Y1 (ko) 배관재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