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812B1 -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812B1
KR100433812B1 KR1020030075013A KR20030075013A KR100433812B1 KR 100433812 B1 KR100433812 B1 KR 100433812B1 KR 1020030075013 A KR1020030075013 A KR 1020030075013A KR 20030075013 A KR20030075013 A KR 20030075013A KR 100433812 B1 KR100433812 B1 KR 100433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t
pipe
synthetic resin
heater
typ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성
구경완
Original Assignee
이화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성 filed Critical 이화성
Priority to KR1020030075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관으로 이루어진 상,하수도관이나 가스관 등의 배관시 합성수지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융착용 연결관을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일체형이 아닌 1쌍의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분할형으로 제작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이 타원형으로 변형(찌그러짐)된 상태일 경우에도 이의 삽입이 용이하며, 이 1쌍의 분할형 연결관은 상호 그 내경이 신축가능하도록 결합부의 삽입깊이를 조절할 수 있어 합성수지관의 외경에 공차가 있더라도 이를 상호 완벽하게 연결관의 내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융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2개의 합성수지관이 만나는 부분에 망형히터가 내장된 연결관을 끼워 망형히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호 융착시키도록 된 합성수지관 융착용 연결관에 있어서, 이 연결관(10)은 적어도 1쌍의 원호형태의 분할형(10a,10b)으로 이루어지되, 이 분할형 연결관(10a,10b)의 양단 내측에는 각각 내측으로 경사진 삽입돌기(11)와 이 삽입돌기(11)가 수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수용홈(12)이 형성되며, 연결관(10a, 10b)의 양단 외측에는 각각 볼트(20)와 너트(22)에 의해 연결관(10a,10b)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구멍(13)을 갖는 결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 {a spilt type connector for fusion jointing plastic pipe}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상,하수도관이나 가스관 등의 배관시 합성수지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융착용 연결관을 원통형태의 일체형이 아닌 1쌍의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분할형태로 제작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이 타원형으로 변형된 상태일 경우에도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의 삽입이 용이하며, 이 1쌍의 분할형 연결관은 상호 그 내경이 신축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합성수지관의 외경에 오차가 있더라도 이를 연결관의 내면에 완벽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융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융착부의 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제조된 단관 또는 이중관 등 상,하수도용 배관이나 도시가스관은 무한길이로 압출시킬 수는 있으나, 이의 운반 및 취급상의 문제로 인해 적정한 길이인 6미터 정도의 길이로 절단하여 출하되는데, 배관시 이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위는 나사이음방식이나 전기적인 융착방법에 의해 접합하게 된다.
이 중, 본 발명과 관련된 융착방법이면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124493호, 일본국 실개평3-75394호, 일본국 실개평2-117493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실용신안등록 제124493호는 두개의 수지관이 만나는 부분에 금속메쉬가 형성된 일자형의 시트를 한바퀴 감아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통하여 금속메쉬가 발열되면서 용융되는 방식이고, 일본국 실개평3-75394호와 일본국 실개평2-117493호는 연결소켓의 내부에 열선을 스크류(나선)형태로 감아서 2개의 수지관을 연결소켓의 양측에 각각 끼운 후 열선에 전원을 인가하면 열선이 발열되면서 소켓의 열선 주위가 용융되어 융착됨으로써 수지관을 접합시키도록 된 것이다.
한편, 합성수지관의 직경이 대형인 경우에는 현장에서 합성수지관을 대량으로 적치하여 놓을 경우 상부에 올려진 합성수지관의 하중에 의해 하부의 합성수지관에 변형 즉, 수지관의 관 형태가 정원을 이루지 못하고 타원형으로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변형된 타원형의 수지관을 원형의 연결소켓에 삽입시키기 위해서 또는 연결관과 합성수지관의 결합칫수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현장에서 수지관의 끝 부분 표면을 정원상태가 되도록 깍아 연결소켓에 삽입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가공해주어야 하는 추가작업이 수반되어야 했거나, 또는 이를 강제로 삽입시키기 위한 번거로운 작업을 해주어야만 했었으므로 배관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통상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이중관의 표면에 일자형의 시트를 감아서 용융시키는 방식에 있어서는, 이중관의 내부가 비어 있어 히터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이중관의 얇은 표면이 용융되어 내부의 빈 공간으로 함몰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이와 같은 시트를 사용한 융착이 적합하지 않았으며, 연결소켓을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도 이중관의 표면 두께가 너무 얇아 용융부위의 함몰이 발생하여 융착부위의 결함이 수시로 지적되고 있으며, 융착불량상태로 배관이 이루어진 경우 하수관으로 배출되는 오염된 물이 지중으로 유출되어 토질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었다.
또한, 합성수지관은 성형조건 및 성형후의 환경에 따른 팽창과 수축문제로 인해 그 외경이 오차를 갖고 있어 연결소켓에 삽입이 어렵거나 또는 너무 헐거운 삽입상태에서 융착될 경우 융착부위의 하자발생을 가져올 수 있었으므로 위에서 언급된 기존의 원통형 연결소켓은 이러한 합성수지관의 외경공차를 흡수할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원형으로 변형된 상태의 수지관을 별도의 추가공정없이도 상호 간편하게 융착시킬 수 있고, 이중관의 경우에 있어서도 융착부위의 함몰로 인한 융착불량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수지관의 외경공차를 흡수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한 융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합성수지관 융착용 연결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개의 합성수지관이 만나는 부분에 망형히터가 내장된 연결관을 끼워 망형히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호 융착시키도록 된 합성수지관 융착용 연결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적어도 1쌍의 원호형태의 분할형으로 이루어지되, 이 분할형 연결관의 양단 내측에는 각각 내측으로 경사진 삽입돌기와 이 삽입돌기가 수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수용홈이 형성되며, 연결관의 양단 외측에는 각각 볼트와 너트에 의해 연결관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구멍이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된 분할형 연결관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연결관의 내면에 망형히터가 수용되는 히터설치홈이 형성되고, 이 히터설치홈에는 연결관 및 합성수지관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박막시트가 더 끼워지며, 상기 삽입돌기와 수용홈은 결합부의 볼트체결상태에 따라 삽입깊이가 조절되어 외경공차를 갖는 합성수지관을 틈이 발생되지 않게 연결관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할형 연결관을 사용하여 배관을 융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할형 연결관만의 사시도,
도 6은 분할형 연결관의 신축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1,P2 : 합성수지관 10 : 연결관
10a,10b : 분할형 연결관 11 : 삽입돌기
12 : 수용홈 13 : 볼트구멍
14 : 결합부 15 : 히터설치홈
20 : 볼트 22 : 너트
30 : 망형히터 32 : 도선
40 : 박막시트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할형 연결관을 사용하여 배관을 융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A - A선 및 도 3의 B - B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합성수지관(P1,P2)이 만나는 부분에 망형히터(30)가 내장된 연결관(10)을 끼워 망형히터(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호 융착시키도록 된 합성수지관 융착용 연결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0)은 적어도 1쌍의 원호형태의 분할형(10a,10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할형 연결관은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1쌍의 연결관(10a,10b)으로 이루어진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합성수지관의 대직경화에 따라 연결관을 3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분할하여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이하에서는 2개가 한 조로 이루어진 분할형 연결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할형 연결관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분할형 연결관(10a,10b)은 반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양단 내측에는 각각 내측으로 경사진 삽입돌기(11)와 이 삽입돌기(11)가 수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수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연결관(10a,10b)의 양단 외측에는 각각 볼트(20)와 너트(22)에 의해 연결관(10a,10b)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구멍(13)이 형성된 결합부(14)가 형성되어 있어 상호 원통형으로 조립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10a,10b)의 내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형히터 (30)가 수용되는 히터설치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히터설치홈(15)에는 박막시트(40)가 더 끼워질 수 있는 깊이가 되도록 형성하여 박막시트(40)가 합성수지관(P1,P2)의 표면에 접하도록 한다.상기 망형히터(30)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및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형 연결관(10a,10b)내면의 히터설치홈(15)과 이 히터설치홈(15)이 양측으로 연속형성된 삽입돌기(11)의 내면 및 수용홈(12)이 내면까지 연속되게 설치된다.
도면중 부호 32는 망형히터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도선으로 연결관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삽입돌기(11)와 수용홈(12)은 도 6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14)의 볼트(20)체결상태에 따라 삽입깊이를 조절할 수 있어 외경공차를 갖는 합성수지관(P1,P2)의 외경에 맞게 1쌍의 분할형 연결관(10a,10b)을 긴밀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분할형 연결관을 사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과정은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P1,P2)을 서로 밀착시켜 맞대고, 그 둘레에 본 발명의 분할형 연결관(10a,10b)을 씌워 상호 볼트(20)와 너트(22)로 조립하면 되는데, 본 발명의 분할형 연결관(10a,10b)은 각각 그 내부에 망형히터(3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망형히터(30)의 내측으로는 박막(약 1~2mm정도의 두께)시트(40)를 끼우면 합성수지관(P1,P2)의 표면에 박막시트(4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분할형 연결관(10a,10b)은 볼트(20)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합성수지관(P1, P2)의 표면에 밀착되게 되며, 이때 합성수지관(P1,P2)이 타원형으로 변형되어 있더라도 볼트(20)의 조임에 의해 올바른 형태 즉, 정원상태로 바로잡히게 되므로 연결관과 합성수지관의 손쉬운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즉, 본 발명은 분할형 연결관(10a,10b)자체에 결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버클이나 클램프 등의 밀착 또는 물림기구가 필요하지 않아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고, 파이프를 매설하기 위하여 땅속에 파놓은 좁은 도랑에서의 시공이 간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분할형 연결관(10a,10b)은 상기 볼트(20)의 체결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연결관(10a,10b)일단의 삽입돌기(11)가 수용홈(12)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므로 합성수지관(P1,P2)의 외경에 맞게 조여줄 수 있어 합성수지관(P1, P2)의 외면과 연결관(10a,10b)의 내면 및 시트(40)와의 밀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며, 이에 의해 도선(32)에 전원을 인가하여 망형히터(30)가 발열되면 이 열에 의해 시트(40)와 연결관(10a,10b)의 내면 및 합성수지관(P1,P2)외면이 용융되어 상호 일체로 융착됨으로써 기밀(수밀)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또한, 본 발명은 도 4의 확대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할형 연결관(10a,10b)의 겹치는 부위인 삽입돌기(1)의 내면과 수용홈(12)의 내측에 망형히터(30)가 이중으로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망형히터(30)가 이중 융착이 이루어져 수밀성이 떨어지는 겹치는 부위에서의 수밀성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관이 분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타원형으로 변형된 상태의 수지관이더라도 연결관에 삽입시키기 위해 표면을 깍는 등 별도의 추가공정없이도 합성수지관을 맞댄 상태에서 외측에서 연결관을 조립하여 볼트와 너트를 조여주면 타원형으로 변형된 합성수지관을 올바른 정원상태가 되도록 잡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볼트의 체결상태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수지관의 외경공차를 흡수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한 결합 및 융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표면두께가 얇은 이중관의 경우에 있어서는 망형히터의 내측에 박막의 시트가 추가되어 있어 이 박막 시트가 용융되면서 이중관의 표면과 연결관을 상호 융착시키게 되므로 융착부위의 함몰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누수발생 등의 하자발생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별도의 클램프나 버클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좁은 공간에서의 시공이 용이하고, 겹치는 부위는 이중으로 융착이 이루어져 우수한 수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2개의 합성수지관이 만나는 부분에 망형히터가 내장된 적어도 1쌍으로 이루어진 원호형태의 분할형 연결관을 끼워 망형히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호 융착시키도록 된 합성수지관 융착용 연결관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연결관(10a,10b)의 양단 내측에는 각각 내측으로 경사진 삽입돌기(11)와 이 삽입돌기(11)가 수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수용홈(12)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분할형 연결관(10a,10b)의 양단 외측에는 각각 볼트(20)와 너트(22)에 의해 연결관(10a,10b)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구멍(13)이 형성된 결합부(14)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분할형 연결관(10a,10b)의 내면에는 히터설치홈(15)이 형성되고, 이 히터설치홈(15)과 상기 삽입돌기(11)의 내면 및 수용홈(12)의 내면에는 망형히터(30)가 연속되게 설치되며, 이 망형히터(30)의 내면에는 박막시트(4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
  2. 삭제
  3. 삭제
KR1020030075013A 2003-10-27 2003-10-27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 KR100433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013A KR100433812B1 (ko) 2003-10-27 2003-10-27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013A KR100433812B1 (ko) 2003-10-27 2003-10-27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345U Division KR200330149Y1 (ko) 2003-06-03 2003-06-03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3812B1 true KR100433812B1 (ko) 2004-06-07

Family

ID=3734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013A KR100433812B1 (ko) 2003-10-27 2003-10-27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8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522B1 (ko) 2012-02-06 2013-12-20 주식회사 대연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를 갖는 복합 배관 및 복합 배관의 조립방법
KR102202155B1 (ko) * 2020-05-29 2021-01-14 일우산업 주식회사 내진형 합성수지관 연결방법과 그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522B1 (ko) 2012-02-06 2013-12-20 주식회사 대연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를 갖는 복합 배관 및 복합 배관의 조립방법
KR102202155B1 (ko) * 2020-05-29 2021-01-14 일우산업 주식회사 내진형 합성수지관 연결방법과 그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53578A1 (en) Heat-fusible gasket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966786B1 (ko) 소켓 관과 클램프를 이용한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200441980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KR100433812B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
KR200399453Y1 (ko) 신축편수관 연결장치
US20100320745A1 (en) Method for coupling corrugated pipe segments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US7083204B1 (en) Composite metal pipe coupling and assembly
KR200330149Y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
KR100880384B1 (ko)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US8967676B1 (en) Two-piece split coupler for coupling large-diameter plastic corrugated pipe
CN212564823U (zh) 一种双壁波纹管快速连接结构
KR20070009508A (ko)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KR20090092590A (ko) 이음관의 이탈방지용 전기융착식 연결장치
KR101085404B1 (ko) 관 연결장치 및 그 체결방법
KR101044931B1 (ko) 수밀용 열수추관 연결방법
KR20150005067A (ko) 나선파형관의 연결구조
KR20200017023A (ko) 딤플플랜지 파형강관 이음 구조 및 그 방법
KR200353919Y1 (ko) 폴리에틸렌관 전기융착 이음용 소켓부재
KR100637049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지중 매설되는 상하수관용 연결 소켓
KR200398508Y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 연결구
KR20080037200A (ko) 수지파형강관의 연결구조
KR200436332Y1 (ko) 고압 상수관 및 하수관용 파이프
KR0117471Y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831

Effective date: 200504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