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939Y1 -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939Y1
KR200253939Y1 KR2020010023384U KR20010023384U KR200253939Y1 KR 200253939 Y1 KR200253939 Y1 KR 200253939Y1 KR 2020010023384 U KR2020010023384 U KR 2020010023384U KR 20010023384 U KR20010023384 U KR 20010023384U KR 200253939 Y1 KR200253939 Y1 KR 200253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connecting plate
heating element
planar heating
watert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종
Original Assignee
박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종 filed Critical 박기종
Priority to KR2020010023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9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939Y1/ko

Links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슷한 직경의 두 합성수지관을 접합하면서 연결하도록 한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에 관한 것으로, 접합면의 일부나 전체에 탄소재질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를 부착하고, 상기 면상발열체에서 외부로 단자선을 인출하도록 함으로써 비슷하거나 동일한 직경의 합성수지관을 간단하게 접합하면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때 용이하고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coupling plate for watertight belt of synthetic resins pipe}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위에 접합면의 일부나 전체에 면상발열체를 부착한 연결판을 용융에 의해 접합하도록 함으로써 두 합성수지관을 간단하게 접합하면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 등에 많이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제작과 운반에 따른 제약으로 인해 단위 길이로 생산할 수밖에 없고, 실제로 지하에 매몰되는 하수관은 그 길이가 매우 긴 경우도 있으므로 다수의 합성수지관을 현장에서 연결하면서 설치하여야 하였음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그리고 두 합성수지관을 서로 연결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게 된다.
종래에는 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두 합성수지관의 사이에 열압축 시트를 위치시키고, 두 합성수지관의 일부와 열압축 시트의 외부에 수밀 히트 싱크(Heat Shink) 슬리브를 융착에 의한 방법으로 접착하여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연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밀 히트 싱크 슬리브를 이용한 전기융착에 의한 합성수지관의 연결방법에 의하여서는 수밀 히트 싱크 슬리브에 열선을 내장하여야 하므로 제조가 복잡하며 자체적인 무게가 많아져서 운반과 시공이 어렵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두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위에 접합면의 일부나 전체에 면상발열체를 부착한 연결판을 용융에 의해 접합하도록 함으로써 두 합성수지관을 간단하게 접합하면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은 유사한 작경을 갖는 두 합성수지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접합면의 일부나 전체에 탄소재질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를 부착하고,
상기 면상발열체에서 외부로 단자선을 인출하도록 함으로써 비슷하거나 동일한 직경의 합성수지관을 간단하게 접합하면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때 용이하고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판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판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판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 합성수지관 3, 13, 23 : 연결판
4, 14, 24 : 면상발열체 5, 15, 25 : 단자선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은 연결하고자 하는 두 합성수지관(1)(2)의 외면에 연결부위를 포함하는 폭을 갖는 연결판(3)을 융착하도록 하되,
상기 연결판(3)의 접합면에는 탄소재질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4)를 전체적으로 부착하면서 단자선(5)을 외부로 노출시켜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의 연결시공은 연결할 두 합성수지관(1)(2)의 연결하고자 하는 부위에 연결판(3)의 접합면에 부착한 면상발열체(4)가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긴밀하게 접하도록 강제적인 힘을 가한다.
그리고 면상발열체(4)의 단자선(5)을 통하여 전기를 공급하게 되면 면상발열체(4)의 탄소재질에서 저항에 의한 열이 발생하면서 두 합성수지관(1)(2)의 연결부위의 표면 및 연결판(3)의 일부가 용융하게 되고, 융용된 합성수지관(1)(2) 및 연결판(3)의 용융물이 서로 혼합된다.
그리고, 전기를 차단시키면 용융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경화되면서 합성수지관(1)(2)과 연결판(3)이 하나의 몸체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1)(2)을 바로 접합하면서 연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작업이 간단하고 빨리 수행되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판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연결판(3)의 면상발열체(14)를 연결판(13)의 접합면 전체가 아니라 내부의 일정한 영역 내부에만 부착하여 두 합성수지관(11)(12)의 연결부위가 긴밀하게 접합되도록 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3은 연결판(23)의 면상발열체(24)를 두 합성수지관(21)(22)의 연결부위를 제외한 테두리 부분에만 형성하여 두 합성수지관(21)(22)과 연결판(23)이 접하는 부위에만 접합하면서 연결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은 접합면의 일부나 전체에 탄소재질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를 부착하고,
상기 면상발열체에서 외부로 단자선을 인출하도록 함으로써 비슷하거나 동일한 직경의 합성수지관을 간단하게 접합하면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때 용이하고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두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에 있어서,
    연결하고자 하는 두 합성수지관의 외면에 연결부위를 충분한 폭을 갖는 연결판을 융착하도록 하되,
    상기 연결판의 접합면에는 탄소재질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를 전체적으로 부착하면서 단자선을 외부로 노출시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면상발열체를 접합면 내부의 일정한 영역 에만 부착하여 두 합성수지관을 접합하면서 연결하도록 한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면상발열체를 두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위를 제외한 테두리 부분에만 형성하여 두 합성수지관과 연결판이 접하는 부위에만 접합하면서 연결하도록 한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20010023384U 2001-08-01 2001-08-01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253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384U KR200253939Y1 (ko) 2001-08-01 2001-08-01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384U KR200253939Y1 (ko) 2001-08-01 2001-08-01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452A Division KR20030012436A (ko) 2001-08-01 2001-08-01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939Y1 true KR200253939Y1 (ko) 2001-11-22

Family

ID=7310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384U KR200253939Y1 (ko) 2001-08-01 2001-08-01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9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199801421T2 (xx) Bir boru ile ba�lant� donan�m�n� f�zyonla birle�tirme cihaz� ve y�ntemi.
KR200253939Y1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JPH09144977A (ja) 電気融着管継手
KR20030012436A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268378Y1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253938Y1 (ko) 합성수지관용 분기이음관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68377Y1 (ko) 합성수지관용 분기 이음관
KR200347935Y1 (ko) 배관 파이프용 열 융착 연결구
KR100496431B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KR200372679Y1 (ko) 전기융착용 분기관 조인트
KR200251564Y1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53000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30046155A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250922Y1 (ko) 합성수지관용 보수판
KR20030012434A (ko) 합성수지관용 분기이음관
KR20050076881A (ko) 배관 파이프용 열 융착 연결구
KR100523175B1 (ko) 플랜지가 부착된 고밀도 폴리에틸렌관 및 그 제조방법
JPH10169847A (ja) 電気融着継手の固定方法
JP3749062B2 (ja) 熱可塑性樹脂製管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KR200245150Y1 (ko)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KR200292305Y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구조
JPH10185068A (ja) 電気融着継手の固定方法
KR20020065218A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275920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