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173A -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173A
KR20020096173A KR1020010034453A KR20010034453A KR20020096173A KR 20020096173 A KR20020096173 A KR 20020096173A KR 1020010034453 A KR1020010034453 A KR 1020010034453A KR 20010034453 A KR20010034453 A KR 20010034453A KR 20020096173 A KR20020096173 A KR 2002009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joint
resin pipe
heating element
resi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종
Original Assignee
박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종 filed Critical 박기종
Priority to KR102001003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6173A/ko
Publication of KR2002009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17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합성수지관 연결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설치되며, 탄소재질로 이루어지는 발열수단과; 상기 발열수단에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설치되는 단자선으로; 이루어지는 이음부를; 형성하여 현장에서 합성수지관 연결시 합성수지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관 연결에 따른 작업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A synthetic resin pipe}
본 발명은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관 제조시 일측단부에 탄소발열체가 내장된 이음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현장에서 단시간 내에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의 연결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코자 하는 양 합성수지관(10a, 10b)과 상기 합성수지관(10a, 10b)의 내경과 외경에 해당되는 내부 지지링(2) 및 외부 지지링(3)과 상기 내부 지지링(2)과 외부 지지링(3)의 사이에 배치되는 얇은 열선판(4)으로 구성된 융착링(1)을 이용하여 두 개의 합성수지관(10a)(10b)을 연결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 시공은 융착링(1)을 연결코자 하는 양 합성수지관(10a,10b)간에 위치시키고, 유압 연결장치나 수동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10a, 10b)을 밀착시킨 후, 열선판(4)의 단자선(5)에 전기를 가하면 열선판(4)은 발열됨과 동시에 양측 합성수지관(10a, 10b)의 단부를 용융시켜, 융용된 용융물은 열선판(4)의 공극을 스며들어가 서로 혼합된 후, 전기를 차단시키면 용융된 용융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경화되면서 양 합성수지관(10a, 10b)은 하나의 몸체로 견고히 연결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융착링을 이용한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시공은 융착링(1)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10a, 10b)을 연결할 때는 현장에서 융착링(1)의 양단에 합성수지관(10a)(10b)을 끼워서 연결시공을 하기 때문에 융착링(1)의 구조상 작업시간이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연결시공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합성수지관과의 연결시 연결부위의 접합을 탄소섬유를 이용한 면상발열체로 이루어진 이음부를 성형하여 제발열에 의해 정확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은 통상의 합성수지관 연결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설치되며, 탄소재질로 이루어지는 발열수단과; 상기 발열수단에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설치되는 단자선으로; 이루어지는 이음부를; 형성하여 합성수지관의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을 도시한 설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 합성수지관10b : 합성수지관
11 : 이음부12 : 결합홈
20 : 탄소발열체21 : 단자선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을 도시한 설치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의 이음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은 통상의 합성수지관(10a, 10b) 연결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10a, 10b)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홈(12)과; 상기 결합홈(12)에 설치되며, 탄소재질로 이루어지는 발열수단과; 상기 발열수단에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설치되는 단자선(21)으로; 이루어지는 이음부(11)를; 형성하여 합성수지관(10a, 10b)의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은 먼저 합성수지관(10a, 10b)의 일측에 연결될 합성수지관(10a, 10b)의 직경에 해당되는 곳애 결합홈(12)이 형성되고, 연결될 합성수지관(10a, 10b)이 밀착되어 맞닿는 부위에는 탄소재질로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20)가 부착된 이음부(11)가 형성되며, 상기 탄소발열체(20)에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된 복수개의 단자선(2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수단은 탄소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면상발열체(2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발열수단은 결합홈(12)의 내측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뿐만 아니라 결합홈(12)의 내측면 소정의 위치에 걸쳐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이음부(11)는 그 단면형상이 I형, T형, 역T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어느 특정한 형상에 국한되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이음부(11)에 적용된 발열수단은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20)로 이루어지며, 이 탄소섬유에 의한 직물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의 연결시공은 연결할 합성수지관(10a, 10b)의 단부를 이음부(11)의 결합홈(12)에 위치시킨 후 각종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양 합성수지관(10a, 10b)을 밀착시킨 후, 상기 결합홈(12)에 설치된 탄소발열체(20)의 단자선(21)에 전기를 가하면 탄소발열체(20)는 발열하면서 양측 합성수지관(10a, 10b)의 단부를 용융시키며, 융용된 용융물은 탄소발열체(20)의 공극을 통해 서로 혼합된다.
그리고, 전기를 차단시키면 용융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경화되면서 양 합성수지관(10a, 10b)은 하나의 몸체로 견고하게 연결되므로, 현장에서 합성수지관(10a, 10b)을 바로 끼워 발열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합성수지관(10a, 10b)의 연결 작업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합성수지관의 일측 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내부에는 탄소발열체가 부착된 이음부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현장에서 합성수지관 연결시 합성수지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관 연결에 따른 작업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합성수지관 연결시 관 일측에 이음부에 탄소복합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합성수지관 연결시 연결부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음부와 합성수지관의 사이가 긴밀히 결합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통상의 합성수지관 연결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설치되며, 탄소재질로 이루어지는 발열수단과;
    상기 발열수단에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설치되는 단자선으로; 이루어지는 이음부를; 형성하여 합성수지관의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탄소복합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면상발열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결합홈의 내측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결합홈의 내측면 소정의 위치에 걸쳐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그 단면형상이 I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그 단면형상이 T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그 단면형상이 역T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그 단면형상이 역T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1020010034453A 2001-06-18 2001-06-18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0096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453A KR20020096173A (ko) 2001-06-18 2001-06-18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453A KR20020096173A (ko) 2001-06-18 2001-06-18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197U Division KR200251564Y1 (ko) 2001-06-18 2001-06-18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173A true KR20020096173A (ko) 2002-12-31

Family

ID=2770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453A KR20020096173A (ko) 2001-06-18 2001-06-18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61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30A (ko) * 2001-11-07 2003-05-16 박기종 관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30A (ko) * 2001-11-07 2003-05-16 박기종 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6253A (en) Electrofusion joint and hot water supply header using the same
KR10091267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KR200251564Y1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53000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20096173A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45150Y1 (ko)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KR20030012432A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275920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313859Y1 (ko) 융착 칼라 피이 관
KR200268377Y1 (ko) 합성수지관용 분기 이음관
KR200268378Y1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JPH10246382A (ja) 合成樹脂管用電気融着継手
KR20030046155A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30049281A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0090027A (ko)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KR200319044Y1 (ko) 합성수지제 전기융착 접합시트
KR200265642Y1 (ko) 관 연결구
KR20030037930A (ko) 관 연결구
KR200253938Y1 (ko) 합성수지관용 분기이음관
KR200250922Y1 (ko) 합성수지관용 보수판
KR200261585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발열부싱
KR20030046909A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253939Y1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250794Y1 (ko) 수지관연결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