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027A -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027A
KR20020090027A KR1020010029149A KR20010029149A KR20020090027A KR 20020090027 A KR20020090027 A KR 20020090027A KR 1020010029149 A KR1020010029149 A KR 1020010029149A KR 20010029149 A KR20010029149 A KR 20010029149A KR 20020090027 A KR20020090027 A KR 20020090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coupling groove
heat
resin pipe
resi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종
Original Assignee
박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종 filed Critical 박기종
Priority to KR1020010029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0027A/ko
Publication of KR20020090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02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관의 제작 시 일측단부에 열선링이 내장된 열 융착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현장에서 빠른 시간 내에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내경과 외경에 해당하는 직경을 갖는 내부 지지링과 외부 지지링 사이에 얇은 열선판이 설치되며, 열선판과 연결된 복수개의 단자선이 외부로 노출된 구조로 이루어진 융착링을 이용하여 연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열선링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때에는 열선링의 구조상 현장에서 열선링의 양단에 합성수지관을 끼워야 하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발열 하는 열선에 의하여 융착 결합되는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합성수지관(10b)의 일측 단부에 결합홈(12)을 형성하고, 그 결합홈(12)의 내측 단부에 판 형상의 열선링(20)이 구비되어 성형된 구조에 의하여 현장에서 바로 합성수지관을 삽입하여 발열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A synthetic resin pipe}
본 발명은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관의 제작 시 일측단부에 열선링이 내장된 열 융착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현장에서 빠른 시간 내에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열 융착부를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양 합성수지관 (10a)(10b)의 내경과 외경에 해당하는 내부 지지링(2)과 외부 지지링(3) 사이에 얇은 열선판(4)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융착링(1)을 별도로 구비하여 양 합성수지관(10a)(10b)을 연결하였다.
즉, 융착링(1)을 연결하고자 하는 양 합성수지관(10a)(10b)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유압 연결장치나 수동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10a)(10b)을 밀착시키게 된다. 그 후 열선판(4)의 단자선(5)에 전기를 가하게 되면 열선판(4)은 발열하면서 양측 합성수지관(10a)(10b)의 단부를 용융 시키게 되며, 융용된 용융물은 열선판(4)의 공극을 통해 서로 혼합된다. 그리고, 전기를 단절시키게 되면 용융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경화되면서 양 합성수지관(10)은 하나의 몸체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융착링(1)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10a)(10b)을 연결할 때에는 융착링(1)의 구조상 현장에서 융착링(1)의 양단에 합성수지관(10a)(10b)을 끼워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합성수지관의 일측 단부에 타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결합홈 내에 열선이 구비된 열 융착부를 형성함으로써, 현장에서 바로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단부를 삽입시켜 발열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융착링을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열 융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열 융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열 융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패킹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 합성수지관 12 - 열 융착부
12 - 결합홈 13 - 요홈
20, 30, 40, 50 - 열선링 21, 31 - 단자선
60 - 고무패킹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은 전기발열 하는 열선에 의하여 융착 결합되는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합성수지관의 일측 단부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그 결합홈의 내측 단부에 판 형상의 열선링이 구비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10a)(10b)의 일측에는 연결될 합성수지관의 직경에 해당하는 결합홈(12)을 형성하고, 연결될 합성수지관(10a)(10b)이 밀착되어 맞닿는 부위에 판 형상의 열선링(20)이 부착된 열 융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열선링(20)과 연결된 복수개의 단자선(21)을 외부로 노출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을 연속적으로 결합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 할 합성수지관(10a)의 단부를 열 융착부(11)의 결합홈(12)에 위치시킨 후 유압 연결장치나 수동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양 합성수지관(10a)(10b)을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열선링(20)의 단자선(21)에 전기를 가하게 되면 열선링(20)은 발열하면서 양측 합성수지관(10a)(10b)의 단부를 용융 시키게 되며, 융용된 용융물은 열선링(20)의 공극을 통해 서로 혼합된다. 그리고, 전기를 단절시키게 되면 용융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경화되면서 양 합성수지관(10a)(10b)은 하나의 몸체로 견고하게 연결되므로 현장에서 합성수지관을 바로 끼워 발열시키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열선링(30)을 결합홈(12)의 전체에 형성하였다. 즉, 열선링(30)의 단면이 결합홈(12)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결합홈(12)의 내면 전체에 열선링(30)이 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 합성수지관(10a)(10b)이 유압연결 장치나 수동 연결장치에 의하여 결합홈(12)에 밀착되어 끼워진 후 단자선(31)에 전기를 가하여 열선링(30)을 발열시키면 결합홈(12) 전체가 용융 되면서 보다 많은 면적이 일체화됨으로 인하여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12)이 테이퍼 지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열선링(40)도 테이퍼를 갖도록 형성하면, 연결되는 합성수지관(10a)이 결합홈(12)에 끼울 때 보다 쉽게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4b와 같이 결합홈(12)의 선단부에 모따기나 라운드를 주어도 연결되는 합성수지관(10a)이 결합홈(12)에 끼워질 때 쉽게 삽입시킬 수 있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에에 따른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합성수지관(10b)의 결합홈(12) 내면에 고무패킹(60)을 설치한 것이다.
즉, 끼워질 합성수지관(10a)의 내경과 외경이 맞닿는 결합홈(12)의 부위에요홈(13)을 형성하여 고무패킹(6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고무패킹(60)은 그 단면의 형상이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합성수지관(10a)이 끼워질 때는 쉽게 끼워지고, 한번 삽입된 것은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고무패킹(60)을 이용하면 용융 및 경화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빠르게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무패킹(60)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 설치함으로써,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일측 단부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그 결합홈 내부에 열선링을 부착한 열 융착부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현장에서 바로 합성수지관을 삽입하여 발열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기발열 하는 열선에 의하여 융착 결합되는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합성수지관(10b)의 일측 단부에 결합홈(12)을 형성하고, 그 결합홈(12)의 내측 단부에 판 형상의 열선링(20)이 구비되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융착부 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링(30)을 결합홈(12)의 전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2)과 열선링(40)을 테이퍼 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10b)의 결합홈(12) 내면에 끼워질 합성수지관(10a)의 내경과 외경이 맞닿는 결합홈(12)의 부위에 요홈(13)을 형성하여 고무패킹(6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고무패킹(60)의 단면 형상이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KR1020010029149A 2001-05-25 2001-05-25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KR20020090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149A KR20020090027A (ko) 2001-05-25 2001-05-25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149A KR20020090027A (ko) 2001-05-25 2001-05-25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555U Division KR200245150Y1 (ko) 2001-05-25 2001-05-25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027A true KR20020090027A (ko) 2002-11-30

Family

ID=2770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149A KR20020090027A (ko) 2001-05-25 2001-05-25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00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6253A (en) Electrofusion joint and hot water supply header using the same
US20210016514A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welding of fluid distribution systems
KR10091267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KR200245150Y1 (ko)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KR20020090027A (ko)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53000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251564Y1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313859Y1 (ko) 융착 칼라 피이 관
JPH10246382A (ja) 合成樹脂管用電気融着継手
JP2023517506A (ja) 継手接続構造
KR20020096173A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30049281A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JPH10220676A (ja) 合成樹脂管用電気融着継手
KR200275920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100082132A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20030012432A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261585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발열부싱
KR19990022276U (ko) 관연결용밴드
KR200268378Y1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268377Y1 (ko) 합성수지관용 분기 이음관
JPH04171392A (ja) 電気融着管継手
JP6001373B2 (ja) 電気融着継手
KR200330150Y1 (ko) 파이프 용융결합구의 열선피복구조
KR200174640Y1 (ko) 합성수지재관 이음관(A joint member of synthetic resin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