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276U - 관연결용밴드 - Google Patents

관연결용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276U
KR19990022276U KR2019990003045U KR19990003045U KR19990022276U KR 19990022276 U KR19990022276 U KR 19990022276U KR 2019990003045 U KR2019990003045 U KR 2019990003045U KR 19990003045 U KR19990003045 U KR 19990003045U KR 19990022276 U KR19990022276 U KR 199900222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ength
copper coil
presen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이동근
주식회사 근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근, 주식회사 근명 filed Critical 이동근
Priority to KR2019990003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2276U/ko
Publication of KR199900222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276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구경의 관을 서로 연결할 때에 이용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그 길이는 연결할 관(30)의 외주면 길이보다 약간 길고, 그 폭은 연결할 양 쪽관(30)을 적당한 길이로 감쌀 수 있을 정도이면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열 가소성 합성 수지로 된 연결용 패드(10)와; 상기한 연결용 패드에 부착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그 재질이 전기 저항이 낮은 구리선으로 되어 서로간의 간격이 조밀하게 형성되는 구리 코일(20)로 이루어져, 대구경의 관을 연결할 때에 전 접촉면에 열 융착시켜서 완전한 결합을 하여 연결해 줌으로써, 누수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해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 연결용 밴드{A Connecting Band for Tubes}
본 고안은 관 연결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구경의 관을 서로 연결할 때에 이용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을 연결하는 방법에는 연결할 관의 단부에 나사를 형성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플라스틱관의 경우에는 열을 이용하여 연결 부위를 융착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대구경의 플라스틱 관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관의 크기가 너무 커서 열을 이용한 융착이 불가능하여 서로를 연결해 주는 연결관을 이용하여 접착제로 서로를 고정시켜 연결하는데, 대구경의 관에는 강한 힘이 작용되어 접착제에 의한 접착 상태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결 부위에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덧대고 열로 융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종래의 열 융착 패드는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으로 스테인리스스틸 열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작업에 필요한 전원의 전압이 높아야 하고, 또한 열선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열 융착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누수 발생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구경의 관을 연결할 때에 전 접촉면에 열 융착시켜서 완전한 결합을 하여 연결해 주는 관 연결용 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길이는 연결할 관의 외주면 길이보다 약간 길고, 그 폭은 연결할 양 쪽관을 적당한 길이로 감쌀 수 있을 정도이면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열 가소성 합성 수지로 된 연결용 패드와; 상기한 연결용 패드에 부착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그 재질이 전기 저항이 낮은 구리선으로 되어 서로간의 간격이 조밀하게 형성되는 구리 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밴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용 밴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용 밴드를 연결할 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용 밴드의 구성 및 작용을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용 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용 밴드를 연결할 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용 밴드의 구성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는 연결할 관(30)의 외주면 길이보다 약간 길고, 그 폭은 연결할 양 쪽관(30)을 적당한 길이로 감쌀 수 있을 정도이면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열 가소성 합성 수지로 된 연결용 패드(10)와; 상기한 연결용 패드에 부착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그 재질이 전기 저항이 낮은 구리선으로 되어 서로간의 간격이 조밀하게 형성되는 구리 코일(2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연결용 패드(10)의 크기는 연결할 관(30)의 구경에 따라서 그 크기가 달라지므로, 관의 규격별로 적당한 크기로 제조된다.
구리 코일은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존의 스테인레스스틸 코일에 비하여 전기 저항이 작기 때문에 보다 낮은 전압으로도 충분한 열량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리 코일(20)은 연결용 패드(10)의 전체 면적에 균일한 열을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에 약 5∼20mm 정도의 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용 밴드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서로 연결할 관(30)의 연결 부위에 연결용 패드(10)를 둘러싼다.
그리고, 고정용 밴드(4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구리 코일의 양단에 전원을 가하여 열을 발생시켜서 연결용 패드(10)가 녹아서 연결용 관(30)의 표면에 융착되도록 한다.
융착이 완료되면, 전원을 차단하여 열 발생을 중지시키고 서서히 식혀서 연결용 패드가 융착된 상태 즉, 구리 열선(20)에 의하여 녹아서 연결할 관(30)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경화되어 완전하게 밀폐시키면서 연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연결구와는 달리 연결관의 접촉 부위 모든 면이 완전하게 서로 밀착 결합되어 누수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용 밴드는 대구경의 관을 연결할 때에 전 접촉면에 열 융착시켜서 완전한 결합을 하여 연결해 줌으로써, 누수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해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그 길이는 연결할 관(30)의 외주면 길이보다 약간 길고, 그 폭은 연결할 양 쪽관(30)을 적당한 길이로 감쌀 수 있을 정도이면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열 가소성 합성 수지로 된 연결용 패드(10)와; 상기한 연결용 패드에 부착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그 재질이 전기 저항이 낮은 구리선으로 되어 서로간의 간격이 조밀하게 형성되는 구리 코일(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밴드.
KR2019990003045U 1999-02-27 1999-02-27 관연결용밴드 KR199900222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045U KR19990022276U (ko) 1999-02-27 1999-02-27 관연결용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045U KR19990022276U (ko) 1999-02-27 1999-02-27 관연결용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276U true KR19990022276U (ko) 1999-06-25

Family

ID=5475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045U KR19990022276U (ko) 1999-02-27 1999-02-27 관연결용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2276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435A (ko) * 2001-08-01 2003-02-12 박기종 합성수지관용 보수판
KR20030012436A (ko) * 2001-08-01 2003-02-12 박기종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30046155A (ko) * 2001-12-05 2003-06-12 박기종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100546443B1 (ko) * 2005-06-27 2006-01-26 (주)폴리텍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식 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435A (ko) * 2001-08-01 2003-02-12 박기종 합성수지관용 보수판
KR20030012436A (ko) * 2001-08-01 2003-02-12 박기종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30046155A (ko) * 2001-12-05 2003-06-12 박기종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100546443B1 (ko) * 2005-06-27 2006-01-26 (주)폴리텍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식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990B1 (ko) 전기융착식접속장치
KR10091267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KR19990022276U (ko) 관연결용밴드
US4641402A (en) Branch-off clip and assembly
CN1898992B (zh) 尤其用于喷塑装置的在表面元件和加热元件上附着电气引线的方法
JP2736804B2 (ja) 合成樹脂管継手の製造方法
KR101038758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200319044Y1 (ko) 합성수지제 전기융착 접합시트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JPH11294673A (ja) 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
KR200245150Y1 (ko)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JP4156106B2 (ja) 管路接続工法
JP2736805B2 (ja) 合成樹脂管継手
KR200245186Y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251564Y1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JPH1113980A (ja) 合成樹脂管用継手
KR200194973Y1 (ko) 열융착 관연결구
JP3670323B2 (ja) 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
JPH03129194A (ja) 融着継手
KR200268377Y1 (ko) 합성수지관용 분기 이음관
KR200261585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발열부싱
JP2516996Y2 (ja) 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
JP3003003B2 (ja) 合成樹脂管継手
KR200398508Y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 연결구
JP2007333156A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