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758B1 -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758B1
KR101038758B1 KR1020090001471A KR20090001471A KR101038758B1 KR 101038758 B1 KR101038758 B1 KR 101038758B1 KR 1020090001471 A KR1020090001471 A KR 1020090001471A KR 20090001471 A KR20090001471 A KR 20090001471A KR 101038758 B1 KR101038758 B1 KR 101038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fusion
heating element
elastic body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132A (ko
Inventor
박인탁
Original Assignee
박인탁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탁,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filed Critical 박인탁
Priority to KR1020090001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758B1/ko
Publication of KR20100082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는, 합성수지관들이 맞대어진 부분에 부착되는 발열체; 상기 합성수지관들이 맞대어진 부분에 부착된 발열체를 감싸는 합성수지재의 융착 탄성체; 및 상기 합성수지관들의 외주면과 상기 융착 탄성체의 내주면을 융착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합성수지관, 연결, 융착, 탄성체, 발열체

Description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Plastic Pipes}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연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합성수지관의 연결 작업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연결부분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관은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강하고 가공 및 시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하여 기존의 금속성 배관 및 콘크리트 배관을 급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다양한 직경 및 형상으로 제조되어 주로 수도용 배관, 가스용 배관, 난방용 배관, 하수용 배관 등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합성수지관은 이동 및 보관의 편의를 위하여 일정한 단위 길이로 절단하여 생산하게 되며, 시공현장에서는 이러한 단위길이의 합성수지관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배관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수도용 배관, 가스용 배관, 하수용 배관 등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그 대다수가 지중에 매설되는데, 이렇게 지중에 매설되는 합성수지관을 서로 연결하는데 있어서,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경과 일치하는 취부를 가지고 합성수지관의 연결방향으로 가압을 할 수 있는 융착기에 의하여 연결이 이루어진다. 즉, 연결하고자 하는 각각의 합성수지관을 융착기에 장착하고 열판을 주입하여 양 단면을 용융시킨후, 가압·냉각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이러한 방법을 '버트융착'이라 한다). 이러한 방법은 연결부위에서의 유체 누설이 없는 측면에서는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융착기의 취급이 용이하지 않으며, 지중의 협소한 작업공간으로 인하여 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합성수지관의 직경이 변할 경우에 융착기의 취부 부분을 일일이 변경하여야 하는 등, 작업효율 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전자소켓을 이용하여 연결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상기의 전자소켓은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며, 소켓 내주면의 양 말단 부분에 합성수지 코팅이 되어 있는 한 가닥의 열선이 나사선 형상으로 감기어져 있다. 이러한 소켓에 전기를 공급하게 되면 열선이 발열하여 코팅부와 소켓의 내면 그리고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면을 용융·접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자소켓을 이용한 연결은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고, 접합 결과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열선이 소켓의 내면과 합성수지관의 외면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코팅부를 통한 간접적인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연결 전에 합성수지관의 외면을 스크래핑 하 여야 하는 등 시공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한 가닥의 열선이 감기어 있으므로, 쇼트로 인한 접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전기융착 접합시트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상호 연결하기도 한다. 전기융착 접합시트란 합성수지재로 평평한 시트를 제조하고, 여기에 발열체와 접속단자를 삽입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전기융착 접합시트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공간의 협소 등으로 버트융착 등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이중벽 관처럼 합성수지관의 벽체가 중공으로 성형되어 있어서, 버트융착 등의 방법으로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것이 부적절할 때 주로 사용된다.
전기융착 접합시트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이 맞대어져 있는 부분을 전기융착 접합시트로 감싸고,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체를 발열시켜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내면과 합성수지관의 외주면을 융착하여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융착 접합시트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모든 종류의 합성수지관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기융착 접합시트로 합성수지관을 감싸는 공정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즉, 유체의 누설없이 완벽하게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판상의 전기융착 접합시트로 원형의 합성수지관을 감싸야 하는데, 이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완벽하게 감싸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기융착 접합시트와 합성수지관이 제대로 밀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융착 불량이 발생하여 이 부분으로 유체의 누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전기융착 접합시트는 발열체가 단순히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 음으로 해서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안쪽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발열체가 과도하게 발열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안쪽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발열체가 과도하게 발열 되면, 상기 과도하게 발열되는 발열체에 인접하는 합성수지관 및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도 과도하게 용융됨으로써, 연결부분에서의 합성수지관 구조의 변형, 벽체의 함몰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부분으로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종류의 합성수지관에 적용이 가능하고, 발열체와 판상의 합성수지재 시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합성수지관을 감싸는 공정이 번거로웠던 종래의 전기융착 접합시트와 달리, 발열체와 관상(管狀)의 융착 탄성체가 합성수지관을 용이하게 감싸게 되어 서로간에 밀착된 상태에서 융착 공정을 수행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연결부분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발열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과발열로 인한 종래의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는,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들이 맞대어진 부분에 부착되는 발열체; 상기 합성수지관들이 맞대어진 부분에 부착된 발열체를 감싸는 합성수지재의 융착 탄성체; 및 상기 합성수지관들의 외주면과 상기 융착 탄성체의 내주면을 융착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관,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융착 탄성체를 보다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융착 탄성체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융착 탄성체를 가압하는 압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열선부와 상기 열선부의 양단에 설치되는 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열선부는 사각형, "ㄷ"자 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어느 하나의 형상일 수있다.
상기 열선부는 다수의 외측 장선 발열부재; 상기 외측 장선 발열부재와 인접하며, 상기 외측 장선 발열부재에 비하여 넓은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내측 장선 발열부재; 및 상기 외측 장선 발열부재와 상기 내측 장선 발열부재를 서로 이어주는 다수의 단선 발열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합성수지재의 융착 탄성체는 성형이 완료된 합성수지관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성형이 완료된 합성수지관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것을 이용한다.
상기 융착 탄성체의 내경은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경과 동일 내지 30% 큰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합성수지관과 상기 합성수지재의 융착 탄성체는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연결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연결방법은,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을 맞대어 정렬하는 단계; 상기 합성수지관들이 맞대어진 부분에 발열체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경보다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융착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합성수지관과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주면에 부착된 발열체를 상기 융착 탄성체 로 감싸는 단계: 및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발열체를 가열하여 상기 융착 탄성체와 상기 합성수지관을 융착시킴으로써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합성수지관과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주면에 부착된 발열체를 상기 융착 탄성체로 감싸는 단계와,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발열체를 가열하여 상기 융착 탄성체와 상기 합성수지관을 서로 융착시킴으로써, 상기 합성수지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 사이에는, 압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융착 탄성체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융착 탄성체, 상기 발열체, 상기 합성수지관이 서로 압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융착 탄성체로 상기 합성수지관과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주면에 부착된 발열체를 감싸는 단계에서는, 상기 합성수지관 및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주면에 부착된 발열체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융착 탄성체를 관상체(管狀體)로 형성하고, 상기 융착 탄성체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합성수지관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절개 홀을 형성하며, 상기 융착 탄성체의 절개 홀을 벌려서 그 안으로 상기 발열체가 부착된 합성수지관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관과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주면에 부착된 발열체를 상기 융착 탄성체로 감싸는 단계에서는, 상기 융착 탄성체의 절개된 끝단을 상기 발열체의 단부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융착 탄성체 안으로 상기 발열체가 부착된 합성수지관을 눌러 끼우면, 상기 융착 탄성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융착 탄성체가 상기 발열체 및 합성수지관을 압착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융착 탄성체의 내경은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경과 동일 내지 30% 큰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합성수지관과 상기 합성수지재의 융착 탄성체는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모든 형태의 합성수지관에 적용이 가능하고, 발열체와 관상(管狀)의 융착 탄성체가 합성수지관을 용이하게 감싸게 되어 서로간에 밀착된 상태에서 융착 고정을 수행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연결부분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발열체의 구조 및 배열상태를 개선하여, 과발열로 인한 부분함몰, 구조의 변형, 유체의 누설 등이 발생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 도이고,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ㄷ"자형 발열체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100)는,
합성수지관들(P)(P')이 맞대어진 부분에 부착되는 발열체(110); 상기 합성수 지관들(P)(P')이 맞대어진 부분에 부착된 발열체(110)를 감싸는 합성수지재의 융착 탄성체(120); 및 상기 합성수지관들(P)(P')의 외주면과 상기 융착 탄성체(120)의 내주면을 융착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체(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관(P)(P'), 상기 발열체(110) 및 상기 융착 탄성체(120)를 보다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융착 탄성체(12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융착 탄성체(120)를 가압하는 압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재는 밴드 타입, 클램프 타입 등 융착 탄성체(120)를 가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는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발열체(11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선부(110a)와 상기 열선부의 양단에 설치되는 단자(110b)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체는(110) "ㄷ"자 형 이외에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각형, 도 5에 나타낸 사다리꼴형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상기 열선부(110a)는 다수의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 상기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와 인접하며, 상기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에 비하여 넓은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내측 장선 발열부재(112a); 및 상기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와 상기 내측 장선 발열부재(112a)를 서로 이어주는 다수의 단선 발열부재(113a)를 구비한다(도 6 참조).
상기 열선부(110a)는 통상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구리, 구리합금, 스테인레스 스틸(SUS)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는 인접하는 다른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와 1 내지 5 mm의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하는 다른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와의 거리가 1mm보다 좁게 배열될 경우에는 과도한 발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5mm보다 넓게 배열될 경우에는 합성수지관(P)(P')과 융착 탄성체(120)를 충분히 용융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와 내측 장선 발열부재(112a)의 가닥수의 비는 1 : 0.2 내지 0.8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를 기준으로 내측 장선 발열부재(111b)의 가닥수의 비가 0.8보다 클 경우에는 종래의 전기융착 접합시트와 마찬가지로 과도한 발열로 인한 합성수지관 구조의 변형, 벽체의 함몰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가닥수의 비가 0.2보다 작을 경우에는 합성수지관(P)(P')과 융착 탄성체(120)를 충분히 용융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와 내측 장선 발열부재(111b)의 배열 간격 및 비는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무수한 반복실험 끝에 얻어낸 결과이다.
상기 합성수지재의 융착 탄성체(120)는 성형이 완료된 합성수지관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것을 이용한다. 성형이 완료된 합성수지관은 그 형상 그대로를 유지하려고 하는 힘(응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을 절개하여도 원형 그대로를 유지하려고 하는 힘은 계속 유지되며,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을 감싸는 것이 어렵던 종래의 전기융착 접합시트의 문제를 말끔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발열체(110)가 부착된 합성수 지관(P)(P')을 합성수지관을 절개한 융착 탄성체(120)에 끼워넣기만 하면, 융착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발열체(110)가 부착된 합성수지관(P)(P')을 융착 탄성체(120)가 감싸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융착 탄성체(120)의 내경(D2)은 상기 합성수지관(P)(P')의 외경(D1)과 동일 내지 30% 큰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융착 탄성체(120)의 내경(D2)이 상기 합성수지관(P)(P')의 외경(D1)보다 작을 경우에는 합성수지관(P)(P')의 외주면을 완벽히 감쌀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융착 탄성체(120)의 내경(D2)이 합성수지관(P)(P')의 외경(D1)보다 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자원 낭비 및 시공에 번거로움이 발생할 뿐이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관(P)(P')과 상기 합성수지재의 융착 탄성체(120)는 동일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관(P)(P')과 상기 융착 탄성체(120)는 융착에 의해서 서로 결함되므로, 융착의 용이성, 결합의 강도 등을 고려하면 동일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연결장치(100)에 있어서는, 합성수지관(P)과 합성수지관(P')이 정렬된 상태(도 2a 참조)에서, 상기 합성수지관(P)(P')이 맞대어진 부분에 발열체(110)가 부착되고(도 2b 참조), 합성수지재의 융착 탄성체(120)가 상기 발열체(110)가 부착된 합성수지관(P)(P')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발열체(1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융착 탄성체(120)와 상기 합성수지관(P)(P')이 융착되어 합성수지관(P)(P')이 서로 연결된다(도 2c 참조).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종류의 합성수지관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이중벽 관, 도 8에 나타낸 이중 보온관 등, 합성수지관의 형상을 가리지 않고, 모든 종류의 합성수지관에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이중 보온관을 연결하는 과정에 대하여 조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중 보온관이란 내관 및 외관을 구비하고 내관과 외관사이에 보온재가 삽입된 형태의 관으로서, 보온, 보냉이 필요한 유체의 이송에 이용된다. 이러한 이중 보온관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먼저 내관을 서로 맞닿게 배열한 후, 외관에 발열체와 융착탄성체를 끼우고, 융착을 수행하여 이중 보온관을 상호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연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연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연결방법은, 합성수지관(P)과 합성수지관(P')을 맞대어 정렬하는 단계(S110); 상기 합성수지관(P)(P')들이 맞대어진 부분에 발열체(110)를 부착하는 단계(S120); 상기 합성수지관(P)(P')의 외경보다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융착 탄성체(120)를 구비하고, 상기 합성수지관(P)(P')과 상기 합성수지관(P)(P')의 외주면에 부착된 발열체(110)를 상기 융착 탄성체(120)로 감싸는 단계(S130): 및 상기 발열체(1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발열체(120)를 가열하여 상기 융착 탄성체(120)와 상기 합성수지관(P)(P')을 융착시킴으로써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는 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합성수지관(P)(P')들이 맞대어진 부분에 발열체(110)를 부착하는 단 계(S120)에서, 상기 발열체(110)를 고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일 예로는 타커 침, 고정 핀 등으로 상기 발열체(110)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체(110)는 쉽게 휘어지므로, 이를 합성수지관(P)(P')의 외주면에 감싸고, 이를 타커 침, 고정 핀 등으로 고정하는 것으로써 간단하게 발열체(110)를 합성수지관(P)(P')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관(P)(P')과 상기 합성수지관(P)(P')의 외주면에 부착된 발열체(110)를 상기 융착 탄성체(120)로 감싸는 단계(S130)와, 상기 발열체(1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발열체(120)를 가열하여 상기 융착 탄성체(120)와 상기 합성수지관(P)(P')을 서로 융착시킴으로써, 상기 합성수지관(P)(P')을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S140) 사이에는, 압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융착 탄성체(12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융착 탄성체(120), 상기 발열체(110), 상기 합성수지관(P)(P')이 서로 압착되도록 하는 단계(S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융착 탄성체(120)로 상기 합성수지관(P)(P')과 상기 합성수지관(P)(P')의 외주면에 부착된 발열체(110)를 감싸는 단계(S130)에서는, 상기 합성수지관(P)(P') 및 상기 합성수지관(P)(P')의 외주면에 부착된 발열체(110)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융착 탄성체(120)를 관상체(管狀體)로 형성하고, 상기 융착 탄성체(120)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합성수지관(P)(P')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절개 홀(121)을 형성하며, 상기 융착 탄성체(120)의 절개 홀(121)을 벌려서 그 안으로 상기 발열체(110)가 부착된 합성수지관(P)(P')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관(P)(P')과 상기 합성수지관(P)(P')의 외주면에 부착된 발열 체(110)를 상기 융착 탄성체(120)로 감싸는 단계(S130)에서는, 상기 융착 탄성체(120)의 절개된 끝단을 상기 발열체(110)의 단부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융착 탄성체(120) 안으로 상기 발열체(110)가 부착된 합성수지관(P)(P')을 눌러 끼우면, 상기 융착 탄성체(1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융착 탄성체(120)가 상기 발열체(110) 및 합성수지관(P)(P')을 압착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융착 탄성체(120)의 내경(D2)은 상기 합성수지관(P)(P')의 외경(D1)과 동일 내지 30% 큰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합성수지관(P)(P')과 상기 합성수지재의 융착 탄성체(120)는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 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3는 도 1의 "ㄷ"형 발열체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발열체의 형상을 변형한 제1변형 예(사각형)이다.
도 5는 발열체의 형상을 변형한 제2변형 예(사다리꼴)이다.
도 6은 발열체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이중벽 관 형상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것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이중 보온관 형상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것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연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설명*
100: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P,P': 합성수지관
110: 발열체
110a: 열선부
110b: 단자
L: 발열체의 길이
D1: 합성수지관의 외경
D2: 융착 탄성체의 내경
111a: 외측 장선 발열부재
112a: 내측 장선 발열부재
113a: 단선 발열부재
120: 융착 탄성체

Claims (16)

  1. 합성수지관(P)과 합성수지관(P')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들(P)(P')이 맞대어진 부분에 부착되는 발열체(110);
    상기 합성수지관들(P)(P')이 맞대어진 부분에 부착된 발열체(110)를 감싸는 합성수지재의 융착 탄성체(120); 및
    상기 합성수지관들(P)(P')의 외주면과 상기 융착 탄성체(120)의 내주면을 융착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체(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체(110)는 열선부(110a)와 상기 열선부의 양단에 설치되는 단자(110b)로 구성되고,
    상기 열선부(110a)는 다수의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 상기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와 인접하며, 상기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에 비하여 넓은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내측 장선 발열부재(112a); 및 상기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와 상기 내측 장선 발열부재(112a)를 서로 이어주는 다수의 단선 발열부재(113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부(110a)는 사각형, "ㄷ"자 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는 인접하는 다른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와 1 내지 5 mm의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장선 발열부재(111a)와 내측 장선 발열부재(112a)의 가닥수의 비는 1 : 0.2 내지 0.8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의 융착 탄성체(120)는 성형이 완료된 합성수지관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탄성체(120)의 내경(D2)은 상기 합성수지관(P)(P')의 외경(D1)과 동일 내지 30% 큰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P)(P')과 상기 합성수지재의 융착 탄성체(120)는 동일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90001471A 2009-01-08 2009-01-08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1038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471A KR101038758B1 (ko) 2009-01-08 2009-01-08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471A KR101038758B1 (ko) 2009-01-08 2009-01-08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132A KR20100082132A (ko) 2010-07-16
KR101038758B1 true KR101038758B1 (ko) 2011-06-03

Family

ID=4264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471A KR101038758B1 (ko) 2009-01-08 2009-01-08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7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155B1 (ko) 2020-05-29 2021-01-14 일우산업 주식회사 내진형 합성수지관 연결방법과 그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053B1 (ko) * 2011-12-22 2013-12-11 주식회사 목산인터트레이드 관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KR200474498Y1 (ko) * 2012-05-25 2014-09-25 박수조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5144A (en) 1980-03-10 1982-12-21 Georg Fischer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welding a joint between plastic pipes
KR19990007858U (ko) * 1998-11-02 1999-02-25 김학건 수지관 융착용 접합구조
KR200182485Y1 (ko) * 1999-12-09 2000-05-15 주식회사삼정파인스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KR20010082485A (ko) * 2001-07-30 2001-08-30 안승철 도로방음벽용 도로미화형 방음판
KR20030019044A (ko) * 2001-08-30 2003-03-0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319044Y1 (ko) 2003-03-28 2003-07-04 대림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제 전기융착 접합시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5144A (en) 1980-03-10 1982-12-21 Georg Fischer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welding a joint between plastic pipes
KR19990007858U (ko) * 1998-11-02 1999-02-25 김학건 수지관 융착용 접합구조
KR200182485Y1 (ko) * 1999-12-09 2000-05-15 주식회사삼정파인스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
KR20010082485A (ko) * 2001-07-30 2001-08-30 안승철 도로방음벽용 도로미화형 방음판
KR20030019044A (ko) * 2001-08-30 2003-03-0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319044Y1 (ko) 2003-03-28 2003-07-04 대림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제 전기융착 접합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155B1 (ko) 2020-05-29 2021-01-14 일우산업 주식회사 내진형 합성수지관 연결방법과 그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132A (ko) 201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67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KR101038758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JP4624345B2 (ja) プラスチック管継手
KR101150473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JP2007040329A (ja) 管接続体
KR20090095691A (ko)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CN212823711U (zh) 一种方便焊接的管体连接结构
KR101017986B1 (ko) 전도성 플라스틱 실린더를 이용한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KR20110072969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0562782B1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KR200242532Y1 (ko) 수지관융착용접합수지발열부싱
KR200398508Y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 연결구
KR200319044Y1 (ko) 합성수지제 전기융착 접합시트
JP2007333156A (ja) 管継手
KR200401637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19990022276U (ko) 관연결용밴드
JP2008025704A (ja) 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
JP4482868B2 (ja) 電気融着式樹脂管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72688A (ja) 複合管の接続構造及び複合管の接続方法
CN218378269U (zh) 克拉管管道连接结构
KR200395925Y1 (ko)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KR200248915Y1 (ko) 용접 케이블
KR20050076881A (ko) 배관 파이프용 열 융착 연결구
JPH0648238Y2 (ja) 溶着継手
JP2002257284A (ja) 電気融着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