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782B1 - 파이프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782B1
KR100562782B1 KR1020030080425A KR20030080425A KR100562782B1 KR 100562782 B1 KR100562782 B1 KR 100562782B1 KR 1020030080425 A KR1020030080425 A KR 1020030080425A KR 20030080425 A KR20030080425 A KR 20030080425A KR 100562782 B1 KR100562782 B1 KR 100562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pipe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6831A (ko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김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진 filed Critical 김용진
Priority to KR1020030080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782B1/ko
Publication of KR2005004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로서, 상호 대응하는 파이프의 각 끝단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그와 대응하는 다른 일측의 고정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이프,연결장치

Description

파이프의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pip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의 연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의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파이프 30; 제 2고정부재
31; 제 1나사부 32; 제 2고정부재의 홀더부
33; 오목부 40; 제 1고정부재
41; 걸림부 42; 돌출부
50; 체결부재 51; 제 2나사부
52; 후크부 53; 체결부재의 홀더부
60; 오-링 부재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상수관, 하수관, 우수관 및 전선 보호용 관 등으로 사용되는 파이프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에는 소켓방식, 열수축성 밀착부재을 이용한 방식 및 융착접합방식 등이 있었다.
우선,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 중 소켓방식은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소켓 내주면에 반원형의 요홈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링 형상의 고무 패킹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타측 연결대상 관체를 소켓 내부로 밀어넣어 관체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하지만, 소켓 방식은 관체를 소켓 내에 삽입과정에서 고무링과 관체 사이의 압착 마찰력에 의해 삽입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체를 소켓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요홈부로 이루어진 안착공간으로부터 패킹이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 작업의 어려움이 있었다.
아울러, 소켓 방식은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패킹의 탄력이 줄어들어 누수의 원인이 되었으며, 홍수 등으로 인해 관로 내부에 흐르는 수량의 증가로 압력이 급격히 증대되는 때에는 소켓의 연결부위가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쉽게 관체가 터지거나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열수축성 밀착부재를 이용한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축성 재질의 시트나 튜브로 이루어진 열수축성 밀착부재(2)로 관체(1) 연결부 외주면을 감싼다.
이러한 상태에서 열을 가하고 그 수축에 의해 열수축성 밀착부재(2)가 관체(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그 위에 금속재 밴드(3)를 감아붙여 체결구(4)를 체결함으로써 관체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지만, 열수축성 밀착부재를 이용한 방식의 경우에는 열수축성 밀착부재의 단부가 겹쳐져 오버랩되는 부위에서 수밀성이 떨어져 쉽게 누수가 이루어지고, 열수축성 밀착부재를 관체의 연결부위에 감아씌우고 그 외주면 전체에 걸쳐 토치램프 등의 가열수단으로 열을 가하여 수축에 의한 밀착을 유도한 후 다시 그 외주면에 밴드를 장착시키는 번거로운 공정의 수행하기 때문에 시공이 복잡하며, 열수축성 밀착부재가 고가여서 소요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융착접합방식은 내주면에 단턱부가 구비되고 양측면에 열선으로서의 융착메쉬가 부착된 연결구를 이용하여 열융착에 의한 연결관과 연결대상 관체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접합방식은 원통형의 단관 형태로 연결대상 관체(5,5')가 접촉상태로 끼어질 수 있는 내경을 구비하며, 그 중앙부에는 단턱부(7)가 구비된 연결관(6)이 사용됨에 있어 단턱부(7)의 양측면 및 내주면 상에 열선으로 이루어진 융착메쉬(8)가 부착된다.
이 때 연결관(6)은 연결대상 관체(5,5')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양측면이 경사면(6a)을 이루고 외주면으로는 융착메쉬(8)로 전류를 인가하여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단자(9)가 외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관체의 연결(6,6')은 연결대상 관체(5,5')를 연결관(6)의 양측 개방 단부를 통해 밀어넣어 각 단부가 연결관(6)의 경사면(6a)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별도의 조임장치를 이용하여 상기한 접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단자(9)를 통해 융착메쉬(8)로 전류를 인가하므로서, 연결대상 관체(5,5')와 연결관(6) 사이의 접촉부에서 수지의 용융에 의한 융착접합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융착접합방식의 경우에는 합성수지제의 연결관을 성형한 후에 별도의 설비를 이용해서 그 내주면상에 융착메쉬를 부착시키는 작업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연결관의 제조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대상 관체와 연결관 사이에 융착부 면적이 협소하여 연결 시공후 연결부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부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융착접합방식의 경우에는 융착메쉬의 발열을 위해 전원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데, 만일 지하수 발생부위나 물기가 있던 장소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누전 등의 요인으로 인해 연결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관체의 연결 시공후 관로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홍수 등의 요인으로 인한 수량의 증가로 내부 압력이 증대되는 경우에는 관체와 연결관 사이를 지지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쉽게 관체와 연결관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이프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체결상태를 견고히 하여 수밀성을 우수하게 하며, 작업비용이 작게들게 하는 파이프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다른 파이프(10,2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로서, 상호 대응하는 파이프(10,20)의 각 끝단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제 1고정부재(40)와 제 2고정부재(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고정부재(40)는 일측 끝단에 돌출부(42)를 가지고 타측 끝단에 걸림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제 2고정부재(30)는 상기 돌출부(42)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오목부(33)를 가지고 외주면에는 제 1나사부(31)가 형성되는 고정부재(30,40); 상기 제 1고정부재(40)와 상기 제 2고정부재(30) 사이에 수밀 또는 기밀 용도로 구비되는 오-링부재(60); 및 상기 제 1고정부재(40)의 걸림부(41)에 걸림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끝단에 상기 걸림부(41)에 대응하는 후크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부재(40)와 대응하는 상기 제 2고정부재(30)를 체결하도록 상기 제 1나사부(31)에 대응하여 나사결합되는 제 2나사부(51)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체결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연결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10,20)의 연결장치는 상호 대응하는 파이프들(10,20)의 각 끝단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30,40), 이 고정부재들(30,40) 중에서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그와 대응하는 다른 일측의 고정부재(3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파이프들(10,20)은 원통형으로서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서 강철 주물 또는 기타 다른 재료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30,40)들은 제 1고정부재(40) 및 제 2고정부재(30)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서, 먼저 제 2고정부재(30)는 일측에 위치한 파이프(10)의 끝단에 구비되며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단단하게 융착(融着) 고정된다.
제 2고정부재(30)는 일측에 위치한 파이프(10)의 연장 선상에 위치한 면이 오목(凹)하게 형성된 오목부(33)로 이루어지고, 제 2고정부재(3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 제 1나사부(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고정부재(30)의 제 1나사부(31) 측부에는 사람이 직접 손으로 파지하거나 장치를 이용하여 홀딩시키기 용이하도록 세레이션 형태의 홀더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고정부재(40)는 타측에 위치한 파이프(20)의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 2결합부재(30)와 마찬가지로 파이프(20)의 외주면에 융착(融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부재(40)는 제 2고정부재(30)와 결합되도록 제 2고정부재(30)와 대응하는 면이 볼록(凸)하게 형성된 돌출부(4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2고정부재(30)와 제 1고정부재(40) 사이에는 파이프(10,20)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수밀 또는 기밀 용도의 오-링 부재(60)가 구비된다.
한편, 체결부재(50)의 끝단에는 제 1고정부재(40)의 외주면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동작반경이 한정되도록 제 1고정부재(40)의 끝단에 위치한 걸림부(41)에 대응하는 후크부(5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고정부재(40), 제 2고정부재(30) 및 체결부재(50)는 파이프(10,20)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서 강철 주물 또는 기타 다른 재료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50)를 단면에서 봤을 때 그 끝단에는 제 1고정부재(40)의 걸림부(41)에 걸리도록 갈코리 형상의 후크부(52)가 끝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재(50)의 내주면에는 제 2고정부재(30)의 제 1나사부(31)와 대응하여 나사결합되도록 제 2나사부(51)가 형성된다.
또한 체결부재(50)의 일측 외주면에는 제 2고정부재(30)와 마찬가지로 세레이션 형태의 홀더부(53)가 구비된다.
이 홀더부(53)는 체결부재(50)를 제 2고정부재(30)에 체결 또는 제 2고정부재(30)로부터 분리할 때, 사람이 직접 파지하거나 소정 장치의 홀딩이 용이하도록 세레이션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파이프(10,20)들을 연결시키는 동작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위치한 파이프(10)에 고정되는 제 2고정부재(30)와 타측에 위치한 파이프(20)에 고정된 제 1고정부재(40)를 서로 고정시키면서 상기 제 2고정부재(30)와 제 1고정부재(40) 사이에 오-링 부재(60)를 삽입시킨다.
이 후, 제 1고정부재(40)의 걸림부(41)에 걸려있는 체결부재(50)를 제 2고정부재 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제 2고정부재(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나사부(31)와 체결부재(50)의 제 2나사부(51)를 서로 단단하게 나사결합시킨다.
본 발명은 종래의 소켓방식, 열수축성 밀착부재을 이용한 방식 및 융착접합방식 등의 파이프 연결방식과 달리 제 2고정부재와 제 1고정부재 사이에 오링을 삽입시키고, 그 후에 다시 체결부재를 제 2고정부재에 나사결합시키는 장치이므로, 연결작업이 아주 간단하고 홍수 등으로 인해 파이프 내부에 흐르는 수량의 증가로 파이프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증대된 때에도 쉽게 그 연결부위가 터지거나 분리되지 않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의 열수축성 밀착부재을 이용한 방식과 같이 작업시 열을 가열하기 위한 장치가 별도로 필요하지도 않고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 외에 별도의 재료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융착접합방식과 같이 별도의 전원 공급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지하수 발생부위나 물기가 있던 장소에서도 파이프 연결작업을 누전 등의 위험없이 손 쉽게 진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각각의 다른 파이프(10,2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로서,
    상호 대응하는 파이프(10,20)의 각 끝단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제 1고정부재(40)와 제 2고정부재(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고정부재(40)는 일측 끝단에 돌출부(42)를 가지고 타측 끝단에 걸림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제 2고정부재(30)는 상기 돌출부(42)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오목부(33)를 가지고 외주면에는 제 1나사부(31)가 형성되는 고정부재(30,40);
    상기 제 1고정부재(40)와 상기 제 2고정부재(30) 사이에 수밀 또는 기밀 용도로 구비되는 오-링부재(60); 및
    상기 제 1고정부재(40)의 걸림부(41)에 걸림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끝단에 상기 걸림부(41)에 대응하는 후크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부재(40)와 대응하는 상기 제 2고정부재(30)를 체결하도록 상기 제 1나사부(31)에 대응하여 나사결합되는 제 2나사부(51)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체결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30080425A 2003-11-14 2003-11-14 파이프의 연결장치 KR100562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425A KR100562782B1 (ko) 2003-11-14 2003-11-14 파이프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425A KR100562782B1 (ko) 2003-11-14 2003-11-14 파이프의 연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641U Division KR200341400Y1 (ko) 2003-11-14 2003-11-14 파이프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831A KR20050046831A (ko) 2005-05-19
KR100562782B1 true KR100562782B1 (ko) 2006-03-27

Family

ID=3724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425A KR100562782B1 (ko) 2003-11-14 2003-11-14 파이프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7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49733A2 (en) 2008-07-30 2010-02-03 Yong Jin Kim Packing means for sealing and connector for a pipe with the same
KR100947851B1 (ko) 2007-09-28 2010-03-18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 배수시설용 배수관 조립체
KR101078405B1 (ko) 2009-06-22 2011-10-31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분배기 접속배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35Y1 (ko) * 2013-02-02 2014-07-09 이재춘 온냉수 혼합꼭지의 토수구 조립체
CN112915432A (zh) * 2021-02-07 2021-06-08 宁波正欣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多喷射模式的灭火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851B1 (ko) 2007-09-28 2010-03-18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 배수시설용 배수관 조립체
EP2149733A2 (en) 2008-07-30 2010-02-03 Yong Jin Kim Packing means for sealing and connector for a pipe with the same
KR101078405B1 (ko) 2009-06-22 2011-10-31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분배기 접속배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831A (ko) 200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028Y1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US5169176A (en) Heat shrinkable clamping, connecting, repair, and reinforcing sleeve and method of use
KR930700798A (ko) 관 접속용 부재
AU780812B2 (en) Improved welding socket
KR100562782B1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JP2007040532A (ja) ダクト
KR200341400Y1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KR100880384B1 (ko)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20180059414A (ko) 난방용 파이프 연결장치
KR101038758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AU641980B2 (en) Divided sealing ring for seal members in cable fittings
JPS6140543B2 (ko)
KR200184213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200401637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JPS5835446B2 (ja) 管端接続方法とその接続用可撓性帯長発熱板材
KR200332323Y1 (ko) 나선관 연결패드
KR100632780B1 (ko) 신장 수축을 수용하는 결합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합성수지관
KR100581054B1 (ko) 발열성 전도체를 이용한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편수관
KR200295367Y1 (ko)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
KR200332688Y1 (ko) 전기온돌용 히터 조립체의 터미널핀 및 터미널 핀홀더
BE1004479A3 (fr) Raccord pour la fixation d'un tuyau a paroi ondulee.
KR200187003Y1 (ko) 관(管) 연결장치
KR200218244Y1 (ko) 지중매설관 연결용 밀봉패드
KR200362324Y1 (ko) 분기관 연결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