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367Y1 -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5367Y1 KR200295367Y1 KR2020020023896U KR20020023896U KR200295367Y1 KR 200295367 Y1 KR200295367 Y1 KR 200295367Y1 KR 2020020023896 U KR2020020023896 U KR 2020020023896U KR 20020023896 U KR20020023896 U KR 20020023896U KR 200295367 Y1 KR200295367 Y1 KR 2002953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uble wall
- pipe
- circumferential surface
- connection
- wall pip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구조는,연결대상 이중벽관의 단부에 위치하여 양 개방부를 통해서 이중벽관의 단부가 삽입되되 내주면에는 이중벽관의 단부에 대한 걸림턱으로 작용하는 단턱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관통공을 갖는 다수의 고정용 플랜지가 돌출형성된 원통형 단관 형태의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 내부의 단턱부와 접속구 내부로 삽입된 이중벽관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링형상 패킹과, 내주면에 다수의 고정 스파이크가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으로는 관통공을 갖는 다수개의 고정용 플랜지가 구비된 복수개의 원호상 분할편으로 이루어져 이중벽관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분할클립과, 상기 분할클립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와 접속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접속구와 연결대상 이중벽관 사이를 조여주는 조임로드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연결대상 합성수지 이중벽관이 고강도 재질로 이루어진 접속구를 통해서 연결접속되고, 그 접속상태는 관체와 접속구 사이를 조여주는 조임로드와 링형상 패킹에 의해서 강력하게 밀착접속되는 결과 관체 연결부위에서의 완벽한 수밀성이 확보됨과 아울러 관체 연결부위상에서의 지지강도가 보강되어 관체 매설 후 연결부위측에 가해지는 토압 등의 외력이나 부등침하 발생시 관체 연결부위의 파손이나 변형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지중에 매설되어 하수관, 배수관 또는 전선보호용 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내주면에 단턱부가 구비된 원통형 단관형태의 접속구 내부로 연결대상 관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조임로드를 통해서 접속구와 연결대상 관체 사이를 조여줌으로써 접속구와 연결대상 관체 사이의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 하중에 대한 관체 연결부의 높은 지지강도가 유지되도록 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게이트관이나 나선관을 포함한 지중매설관의 연결방식은 소켓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 이러한 소켓류는 소켓 내주면에 반원형의 요홈부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링 형상의 고무 패킹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타측 연결대상 관체를 소켓 내부로 밀어넣어 관체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데, 상기 관체의 소켓내 삽입과정에서 고무링과 관체 사이의 압착마찰력에 기인하여 그 삽입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특히 상기 삽입과정에서 요홈부로 이루어진 패킹좌에서 패킹이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시공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패킹의 탄력이 줄어들어 누수의 원인이 됨으로써 밋밋한 원통형관이나 파형관상에서만 적용이 가능할 뿐 나선관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으며, 이에 더하여 관체의 연결시공 후 홍수 등의 요인에 의해 관로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급격히 증대되는 때에는 그 소켓 연결부위가내부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소켓에 연결된 관체가 빠져버리게 되는 단점도 지적되고 있다.
한편, 종래 직관 형태의 합성수지관 연결방식의 일예로, 도1에서와 같이 열수축성 재질의 시트나 튜브로 이루어진 열수축성 밀착부재(2)로 관체(1) 연결부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수축에 의해서 열수축성 밀착부재가 관체(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그 위에 금속재 밴드(3)를 감아붙여 체결구(4)를 체결함으로써 관체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열수축성 밀착부재를 사용하는 관체 연결방식은 열수축성 밀착부재의 단부가 겹쳐져 오버랩되는 부위에서 수밀성이 떨어져 누수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또한 열수축성 밀착부재를 관체의 연결부위에 감아씌우고 그 외주면 전체에 걸쳐 토치램프등의 가열수단으로 열을 가하여 수축에 의한 밀착을 유도한 후 다시 그 외주면에 밴드를 장착시키는 일련의 번거로운 공정의 수행을 필요로 하여 시공이 복잡하며, 열수축성 밀착부재가 고가라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중벽관을 포함한 종래 합성수지 직관 연결구조로서, 내주면에 단턱부가 구비되고 양측면에 열선으로서의 융착메쉬가 부착된 연결구를 이용하여 열융착에 의한 연결관과 연결대상 관체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융착접합방식이 알려져 있는 바, 이러한 융착접합방식의 구체적인 일예로 국내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2000-36271)에 개시된 '이중수지관 융착용 연결관'을 도2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융착접합 방식의 관연결구조는, 원통형 단관형태로서 연결대상 관체(5)(5')가 접촉상태로 끼워질 수 있는 내경을 구비하며 그 중앙부에는 단턱부(7)가 구비된 연결관(6)이 사용됨에 있어 상기 단턱부의 양측면 및 내주면상에 열선으로 이루어진 융착메쉬(8)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관(6)은 이에 끼워지는 연결대상 관체(5)(5')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양측면이 경사면(6a)을 이루고 외주면으로서는 상기 융착메쉬 (8)로 전류를 인가하여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단자(9)가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연결관(6)을 이용한 관체(6)(6')의 연결은, 연결대상 관체(5)(5')를 연결관(6)의 양측 개방단부를 통해 밀어넣어 각 단부가 연결관(6)의 경사면(6a)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별도의 조임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단자(9)를 통해 융착메쉬(8)로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연결대상 관체(5)(5')와 연결관(6) 사이의 접촉부에서 수지의 용융에 의한 융착접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통해서 달성된다.
상기 융착접합 방식은 연결관과 연결대상 관체간의 접합부에서 이들 두 부재의 융착이 이루어짐으로써 높은 수밀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연결작업이 비교적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융착접합 방식의 경우, 이에 사용되는 연결관은, 일단 합성수지제의 연결관을 성형한 후에 별도의 설비를 이용해서 그 내주면상에 융착메쉬를 부착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제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결관의 제조비용 증대를 피할 수 없고, 또한 연결대상 관체와 연결관 사이의 융착부 면적이 협소하여 연결시공 후 연결부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부의 분리가 발생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연결부의 지지강도 요구치가 높은 관로에서는 적용되기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이중벽관 연결구조에서는 융착메쉬의 발열을 위해 전원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바, 관체의 매설부위가 지하수 발생부위이거나 물기가 있는 장소인 경우에는 누전 등의 요인에 의해서 연결시공이 불가능해지게 되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 연결구조의 경우 관체의 연결시공 후 관로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홍수등의 요인에 의해서 유속이 급격히 증가된 가운데 내부압력이 증대되는 경우 관체와 연결관 사이를 잡아주는 별도의 지지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유동하는 급물살에 의해 연결부의 관체가 연결관으로부터 이탈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구조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이중벽관의 연결을 위한 별도 연결부재로서의 연결대상 이중벽관의 단부가 삽입되는 원통형 단관 형태의 접속구를 제공하여 이 접속구를 사이에 두고 연결대상 관체간의 접속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접속구의 내주면상에 단턱부를 형성하고 그 단턱부에링형상 패킹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접속구 내부로 삽입된 이중벽관의 단부가 상기 패킹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접속구와 이중벽관의 접속부에서 확실한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접속구와 연결대상 이중벽관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며 고정되는 분할클립과 조임로드로 이루어진 조임수단을 제공하여 이 조임수단의 조임작용에 의해 접속구와 이중벽관이 상기 링형상 패킹이 개재된 상태에서 서로 긴밀하게 밀착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수밀성을 한층 향상시킴과 아울러 관체 연결부의 지지강도를 증대시켜 지중매설 후 관체 연결부에 가해지는 부등침하 또는 국부적인 외력에 대하여 연결부위의 지지강도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관체 내부의 유압 상승시 관연결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을 또 다른 고안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2는 종래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에 대한 일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4는 도3의 연결구조에 의해 연결된 관체의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연결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링형 콜게이트관
11. 접속구
12, 12'. 단턱부
13. 링형상 패킹
14. 14a, 14b. 분할클립
15. 고정 스파이크
19, 20. 고정용 플랜지
21. 조임로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연결대상 이중벽관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중벽관의 각 단부가 삽입되되 내주면에는 이중벽관의 단부에 대한 걸림턱으로 작용하는 단턱부가 구비된 원통형 단관 형태의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 내부의 단턱부와 접속구 내부로 삽입된 이중벽관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링형상 패킹과, 내주면에는 침상의 돌기로 이루어진 고정 스파이크가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원호상 분할편으로 이루어져 이중벽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분할클립과, 상기 접속구의 외주면 및 분할클립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용플랜지와, 접속구의 고정용 플랜지와 분할클립의 고정용 플랜지 사이에 장착되어 이들 두 부재를 조여주는 조임로드로 이루어진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접속구는 관체 연결부위의 충분한 지지강도를 유지하고 조임로드에 의한 조임시에 고정용 플랜지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재질이나 강화플라스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속구는 연결대상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관경에 따라 단일체의 원통형 단관으로 이루어지거나 한쌍 또는 그 이상의 원호상 밴드부재가 서로 조립된 분할 원통형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구는 성형제작시 단일체의 원통형 단관으로 주조 또는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대구경의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용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관체의 원주방향으로 반원형 또는 그 이상의 원호상 조각편으로 절단된 형태의 분할 원통형으로 성형제작될 수도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접속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의 높이는 이에 접촉하게 되는 연결대상 이중벽관의의 관벽 두께와 동등한 폭이 유지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접속구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플랜지는 그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서로 등간격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조임로드를 이용해서 접속구와 연결대상 관체를 조여서 밀착시킬 때 작용되는 압착력이 균등하게 작용하게끔 설계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다음, 상기 링형상 패킹은 접속구 내부의 단턱부상에 안착되어 접속구와 연결대상 이중벽관 단부 사이의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폭은 단턱부의 폭 및 연결대상 관체의 내경과 외경간 폭과 대략 동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의 재질은 패킹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특성으로서의 탄력성과 내구성을 갖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임로드는 접속구와 연결대상 관체의 외주면상에 장착되어 접속구와 관체의 사이를 조여줌으로써 관체의 단부와 접속구 사이에 개재된 링형상 패킹이 압착되도록 하여 연결부에서의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역할과 함께 관 연결부에서의 지지강도를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분할클립은 일정폭을 갖는 원호상 밴드로 이루어지며 그 내면에는 이중벽관의 외주면 표피층에 박혀서 한번 장착된 분할클립이 조임로드에 의한 조임시에도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립이 발생됨이 없이 원래의 위치에 확고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스파이크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분할클립의 원호상 밴드 외주면에는 조임로드의 일측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구비된 다수개의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분할클립의 재질은 상기 접속구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클립은 두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서로 조립시 원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그러한 분할클립 상호간의 조립을 위해 각 분할클립의 단부에는 체결구 통과공이 구비된 고정리브가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리브의 체결구 통과공을 통해 볼트 등의 체결구를 체결함으로써 분할클립 상호간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각 분할클립은 원호상 외주면상에 관통공이 구비된 고정용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분할클립의 플랜지상에 일단부가 접속구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플랜지에 고정되는 조임로드의 타측단부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각 분할클립의 원호상 외주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는 각 분할클립에 대하여 적어도 한개가 구비되며, 따라서 원형으로 조립된 상태의 분할클립 조립체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플랜지가 돌출형성되는데, 이때 각 플랜지의 인접하는 플랜지간 간격은 서로 등간격이 유지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연결작업 과정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3 및 도4는 본 고안에 따라 관경이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3은 조립전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연결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관경이 서로 동일한 합성수지 이중벽관(10)(10')의 사이에 원통형 단관 형태의 접속구(11)가 개재되어 그 접속구의 양 개방단부를 통해서 연결대상 이중벽관(10)(10')의 각 단부가 삽입되어진다.
이때, 상기 접속구(11)의 내주면 중앙부에는 이중벽관(10)(10')의 삽입단부에 대하여 걸림턱으로 작용하는 단턱부(12)가 돌출형성되고 그 단턱부의 단턱면상에 링형상 패킹(13)이 개재되어 이중벽관(10)(10')의 삽입단부는 링형상 패킹(13)의 일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접속구(11)는 한쌍의 반원형 조각체가 그 단부에 구비된 결합리브(11a)간의 체결구 체결에 의한 조립에 의해서 완전한 원통형 밴드를 이루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 바,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접속구는 단일체의 원통형 밴드 또는 3개 이상의 호형 조각편 결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접속구(11)의 양 개방단부를 통해 연결대상 두 이중벽관(10)(10')이 삽입된 상태에서 또는 그 전에 다수의 분할편으로 이루어진 분할클립(14)을 각 이중벽관(10)(10')의 외주면에 장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분할클립(14)의 이중벽관(10)(10') 외주면에의 고정은, 내주면에 고정 스파이크(15)가 형성된 양 분할클립(14a)(14b)을 이중벽관(10)(10')의 외주면에 둘러씌운 다음 각 분할클립(14a)(14b)의 단부에 구비된 고정리브(16)가 맞닿게 한 상태에서 이들 고정리브(16)에 형성된 체결공(17)을 통해서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구(18)를 각각 체결함에 의해서 상기 고정 스파이크(15)가 이중벽관(10)(10')의 외주면 표피층에 박히게 되어 확실하게 고정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분할클립(14)의 외주면상에 돌출된 각각의 고정용 플랜지(19)와 접속구(11)의 외주면에 돌출된 고정용 플랜지(20)는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여야만이 이후의 이들 두 부재 사이에 조임로드(21)를 장착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양쪽 이중벽관(10)(10') 외주면에 분할클립(14)의 결합이 완료된 다음에는 분할클립(14)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19)와 접속구(11)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2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서 조임로드(21)를 관통삽입해서 조임에 의해서 접속구(11)와 이중벽관(10) 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임로드(21)는 일측단부에 헤드부(21a)가 구비되고, 타측단부에는 나사부(21b)가 형성되어 헤드부(21a)는 양측 고정용 플랜지(19)(20)중 어느 일외측에 위치하게 되고, 타측의 나사부(21b)는 나머지 고정용 플랜지의 관통공(19a)(20a)를 관통해서 빠져나와 이에 너트(22)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조임로드(21)의 나사부(21b)에 너트를 채워 조이게 되면 접속구(11)와 이중벽관(10) 사이의 간격이 좁아들게 되고, 그에 따라 접속구(11) 내면의 단턱부(12)와 이중벽관(10)의 단부 사이에 개재된 링형상 패킹(13)의 압착이 이루어지게 되어 접속구(11)와 이중벽관(10)(10') 사이의 접속부는 수밀성이 확보된 가운데 긴밀한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조임로드(21)를 조이는 과정에서 분할클립(14)은 원래의 이중벽관(10)(10')의 외주면 장착부로부터 접속구(11)측을 향해 미끄러져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나, 분할클립(14)의 고정 스파이크(15)가 이중벽관(10)(10')의 표면층에 박혀 있음으로 해서 상기와 같은 슬립현상이 억제된다.
각 조임로드(21)를 조일때에는 한번에 어느 한 조임로드를 완전히 조여주기 보다는 각각의 조임로드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조금씩 조여주어 접속구(11)와 이중벽관(10)(10')의 접근이동시 가해지는 하중이 국부적으로 편차가 발생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접속구(11) 내부로 삽입되는 이중벽관(10)(10')의 길이는 그 외주면에 구비된 요철형 돌조를 기준으로 3피치 이내가 적절하다.
도4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중벽관의 연결구조에서는 조임로드(21)의 조임작용에 의해서 접속구(11) 내부로 삽입된 이중벽관(10)의 단부면이 링형상 패킹(13)을 강력하게 압착하게 되는 결과 이중벽관의 단부와 접속구(11)의 단턱부(12) 사이에는 압착상태의 링형상 패킹(13)에 의해서 완벽한 수밀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접속구(11)을 중심으로한 이중벽관(10)(10')의 연결부 외주가 플랜지(19)(20)와 이에 장착되는 조임로드(21)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짐에 따라 연결부위에 외부로부터의 하중이나 토압이 작용하더라도 관체가 접속부로부터 이탈되어 버리거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조에서는 접속구(11)의 단턱부(12)와 링형상 패킹(13)의 사이에 접속구(11)의 내경과 거의 일치하되 그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지수원판(도면 미도시)을 개재시키는 경우 관로의 개방단부가 지수원판에 의해서 완벽하게 폐쇄되어 지수관을 형성하게 되므로, 이중벽관의 관로상에서 지수관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별도의 지수관을 마련한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3,4에 도시된 전번 실시예 연결구조에 비해 조임로드(21')의 일단부가 접속구의 플랜지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조임로드(21')의 양 단부가 각각 이중벽관(10)(10')의 외주면에 장착고정된 분할클립(14)의 고정용 플랜지(19)상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구(11)의 외주면에 돌출된 고정용 플랜지(20)은 조임로드(21)의 고정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그 내부의 관통공을 통해서 지나는 조임로드(21)에 대한 가이드로서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특별히 접속구(11)의 외주면에 고정용 플랜지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연결대상 합성수지 이중벽관이 고강도 재질로 이루어진 접속구를 통해서 연결접속되고, 그 접속상태는 관체와 접속구 사이를 조여주는 조임로드와 링형상 패킹에 의해서 강력하게 밀착접속되는 결과 관체 연결부위에서의 완벽한 수밀성이 확보됨과 아울러 관체 연결부위상에서의 지지강도가 보강되어 관체 매설 후 연결부위측에 가해지는 토압 등의 외력이나 부등침하 발생시 관체 연결부위의 파손이나 변형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고정로드의 일측이 고정되는 원형 밴드상의 분할클립이 그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 스파이크에 의해서 연결대상 이중벽관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고정 스파이크가 이중벽관의 표피층에 박히게 되더라도 이중벽관이 지니고 있는 관벽의 두께 특성상 관체의 손상이나 수밀성의 저하를 초래됨이 없다는 점에서 본 고안은 이중벽관의 새로운 연결구조로서 기대되고 있다.
물론, 본 고안은 합성수지 이중벽관이 아닌 단벽 구조로서 충분한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직관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연결대상 이중벽관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여 그 개방부를 통해서 이중벽관 의 각 단부가 삽입되되 내주면에는 이중벽관의 단부에 대한 걸림턱으로 작용 하는 단턱부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관통공을 갖는 다수의 고정용 플랜지가 돌출형성된 원통형 단관 형태의 접속구와;상기 접속구 내부의 단턱부와 접속구 내부로 삽입된 이중벽관의 단부 사이 에 개재되는 링형상 패킹과;내주면 전체 영역에 걸쳐 다수의 고정 스파이크가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으로 는 관통공을 갖는 다수개의 고정용 플랜지가 구비된 복수개의 원호상 분할편 으로 이루어져 이중벽관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분할클립과;상기 일측 분할클립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와 접속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나 타측 분할클립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 사 이에 장착고정되어 상기 접속구와 연결대상 이중벽관 사이를 조여주는 조임 로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단순 원통형 단관이거나 조립시 원통형을 이 루는 두조각 이상의 원호상 조각편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이중벽관의 연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3896U KR200295367Y1 (ko) | 2002-08-09 | 2002-08-09 |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3896U KR200295367Y1 (ko) | 2002-08-09 | 2002-08-09 |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5367Y1 true KR200295367Y1 (ko) | 2002-11-18 |
Family
ID=7307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3896U KR200295367Y1 (ko) | 2002-08-09 | 2002-08-09 |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5367Y1 (ko) |
-
2002
- 2002-08-09 KR KR2020020023896U patent/KR20029536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35972A (en) | Plastic pipe coupl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 |
US5169176A (en) | Heat shrinkable clamping, connecting, repair, and reinforcing sleeve and method of use | |
US5098134A (en) | Pipe connection unit | |
US6659510B1 (en) | Pipe-end-connecting joint | |
KR200393028Y1 (ko) | 파이프의 연결장치 | |
JPH0518702B2 (ko) | ||
KR100966786B1 (ko) | 소켓 관과 클램프를 이용한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 |
KR100822219B1 (ko) | 관 커플러 | |
US7083204B1 (en) | Composite metal pipe coupling and assembly | |
RU2127845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концевой части трубы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с концевой частью трубы | |
JP3331132B2 (ja) | 波形管用直管継手 | |
KR200295367Y1 (ko) |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 | |
US4627648A (en) | Pipe saddle joint and assembly | |
US7108294B1 (en) | Composite pipe assembly and components | |
KR101785632B1 (ko) |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 |
US4300792A (en) | Pipe assembly | |
KR20090043645A (ko) |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 |
KR101995528B1 (ko) | 신축 및 내진용 클램프가 구비된 경질 폴리염화비닐 관 | |
KR100397308B1 (ko) |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 |
KR100562782B1 (ko) | 파이프의 연결장치 | |
KR200290841Y1 (ko) | 링형 콜게이트관의 연결구조 | |
KR200296093Y1 (ko) | 링형 콜게이트관의 연결구조 | |
KR100453386B1 (ko) |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 |
KR100751807B1 (ko) |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 |
KR200157905Y1 (ko) | 나선관 및 그 연결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04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