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637Y1 -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637Y1
KR200401637Y1 KR20-2005-0021824U KR20050021824U KR200401637Y1 KR 200401637 Y1 KR200401637 Y1 KR 200401637Y1 KR 20050021824 U KR20050021824 U KR 20050021824U KR 200401637 Y1 KR200401637 Y1 KR 200401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ube
synthetic resin
r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식 김
Original Assignee
영 식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식 김 filed Critical 영 식 김
Priority to KR20-2005-0021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6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6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간단한 작동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고정관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접속관부가 접속되는 연결구 본체;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주면 상의 고정관부 측에 형성되는 제1홈;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주면 상의 접속관부 측에 형성되며, 접속관부 측에서 고정관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제2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홈 내에는 밀착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2홈 내에는 이탈방지관 또는 이탈방지링 및 지지링 또는 이탈방지링, 지지링 및 밀착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용 연결구{A Connector for Resin Pipe}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간단한 작동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관은 내부식성이 강하고 가공 및 시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장점으로 인하여 기존의 금속성 배관 및 콘크리트 배관을 급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주로 수도용 배관, 가스용 배관, 하수용 배관 등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중 수도용 및 가스용 배관 등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주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원료로 하여 리지드 관(Rigid Pipe)의 형태로 제조되며, 하수용으로 사용되어지는 합성수지관은 주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을 원료로 하여 이중벽 관의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관은 이동 및 보관의 편의를 위하여 일정한 단위 길이로 절단하여 생산하게 되며, 시공현장에서는 이러한 단위길이의 합성수지관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배관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합성수지관을 상호 연결하는 데 있어서,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수도용 및 가스용 배관 등으로 사용되는 리지드 관(Rigid Pipe)은 합성수지관의 외경과 일치하는 취부를 가지고 합성수지관의 연결방향으로 가압을 할 수 있는 융착기에 의하여 연결이 이루어진다. 즉, 연결하고자 하는 각각의 합성수지관을 융착기에 장착하고 열판을 주입하여 양 단면을 용융시킨후, 가압·냉각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이러한 방법을 '버트융착'이라 한다). 이러한 방법은 연결부위의 기밀성 면에서는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융착기의 취급이 용이하지 않으며, 합성수지관의 직경이 변할 경우에 융착기의 취부 부분을 일일이 변경하여야 하는 등, 작업효율 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도용 및 가스용 배관 중에서 비교적 직경이 작은 소형관은 전자소켓을 이용하여 연결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상기의 전자소켓은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며, 소켓 내주면의 양 말단 부분에 폴리에틸렌 코팅이 되어 있는 한 가닥의 열선이 나사선 형상으로 감기어져 있다. 이러한 소켓에 전기를 공급하게 되면 열선이 발열하여 코팅부와 소켓의 내면 그리고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면을 용융?접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자소켓을 이용한 연결은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고, 접합 결과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열선이 소켓의 내면과 합성수지관의 외면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코팅부를 통한 간접적인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연결 전에 합성수지관의 외면을 스크래핑 하여야 하는 등 시공 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한 가닥의 열선이 감기어 있으므로, 쇼트로 인한 접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수도용 배관으로 사용되는 이중벽 관의 연결 방법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것은 전기 융착 시트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전기 융착 시트에는 직사각형 형태로 성형된 합성수지 시트의 일부분에 전기에 의한 발열을 위하여 매쉬 형상의 발열체가 삽입되어져 있다. 상기의 전기 융착 시트를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들이 맞대어져 있는 부분에 감싸고 전기를 공급하게 되면 발열체의 발열에 의하여 시트의 내면과 합성수지관의 외면이 용융·접합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벽체가 중공으로 성형되어 있어 앞서 설명한 '버트융착' 등을 할 수 없기에 고안된 방법이나, 상기의 전기 융착 시트를 합성수지관에 감싸고 조이는 데에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며, 또한 감기어진 전기 융착 시트가 겹치는 부분 등에는 과열로 인하여 합성수지관의 함몰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연결방법은 모두 별도의 장비와 공정을 필요로 하는 것들이며, 시공현장에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커넥터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는 연결부위의 기밀이 보장되지 아니하고, 또한 연결부위가 외부의 충격 및 내부의 압력으로 인하여 이탈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연결하고자 하는 관을 간단한 작동으로 용이하게 연결시킴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연결부위에서의 유체의 누출 및 연결부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연결구는 일측에 합성수지관(이하 ‘고정관부’라 한다)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연결하고자 하는 관(이하 ‘접속관부’라 한다)이 접속되는 연결구 본체;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주면 상의 고정관부 측에 형성되는 제1홈;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주면 상의 접속관부 측에 형성되며, 접속관부 측에서 고정관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제2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홈 내에는 밀착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2홈 내에는 이탈방지관 또는 이탈방지링 및 지지링 또는 이탈방지링, 지지링 및 밀착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관용 연결구는 상기 제2홈으로부터 상기 연결구 본체의 접속관부 측 말단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분리용 홀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밀착링은 가요(可撓)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홈 또는 제1홈 및 제2홈에 의해 지지되며 밀착링 본체와 상기 밀착링 본체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고정관부 쪽으로 비스듬하게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밀착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이탈방지관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홈의 경사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접속관부 측에 결합되는 부분에서 고정관부 측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관 본체와 이탈방지관 내주면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접속관부 측에서 고정관부 측으로 오르막의 경사면이 형성된 다수의 돌출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관은 절개되어 형성되거나,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되어 형성된 이탈방지관 또는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이탈방지관의 각 부분이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관의 접속관부 측에 결합되는 측면에는 분리용 홀에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의 분리용 막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이탈방지링은 탄성이 있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홈에 끼워지는 이탈방지링 본체와 상기 이탈방지링 본체에서 고정관부 쪽으로 비스듬하게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지지링은 하나 또는 두 개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링의 하부는 이탈방지링 본체의 양측 또는 일측에 밀착되어 이탈방지링 본체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링의 상부는 돌출부의 경사방향과 같은 경사방향을 가지되, 고정관부 측에 위치하는 지지링의 상부는 돌출부의 경사각 보다 큰 경사각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에는 이탈방지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이탈방지부는 연결구 본체의 외주면 상의 접속관부 측에 형성되는 끼움턱; 탄성이 있는 금속 재질이며, 양 측부에 볼트결합부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의 일측에는 상기의 끼움턱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내주면의 나머지 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편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부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와 연결하고자 하는 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와 연결하고자 하는 관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의 이탈방지관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의 이탈방지관이 3개부분으로 분할된 것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의 이탈방지링을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연결구는 일측에 고정관부(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접속관부(110)가 접속되는 연결구 본체(20)가 형성된다. 상기의 연결구 본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재질로 이루어진다.
연결구 본체(20)의 내주면에는 고정관부(10) 측으로 형성된 제1홈(21)과 접속관부(110) 측으로 형성되는 제2홈(2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홈이 형성된 것을 예로써 설명하고 있으나, 홈의 개수는 배관의 크기나 압력의 세기에 따라서 3개 혹은 4개 이상도 가능하다. 상기 제2홈(22)은 접속관부(110) 측에서 고정관부(10)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면(2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홈(22)으로부터 상기 연결구 본체(20)의 접속관부(110) 측 말단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분리용 홀(24)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홈(21)에는 접속관부(1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링(30)이 설치된다. 밀착링(30)은 제1홈(21)에 의하여 지지되는 밀착링 본체(31)와 밀착링 본체(31)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고정관부 측으로 비스듬하게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밀착단(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링은 고무 등의 가요(可撓)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단(32)은 접속관부(110)가 삽입될 때, 밀착링 본체(31) 측으로 눌려지며, 접속관부(110)의 삽입이 완료되면, 본래의 탄성에 의하여 접속관부(110)의 외주면에 밀착하게 된다.
제2홈(22)에는 삽입이 완료된 접속관부(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접속관부(110)의 외주면을 잡아주는 이탈방지관(40)이 설치된다. 도 6a에서 보여지듯이 상기 이탈방지관(40)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홈(22)의 경사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접속관부(110) 측에 결합되는 부분에서 고정관부(10) 측으로 결합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관 본체(41)와 이탈방지관(40)의 내주면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접속관부(110) 측에서 고정관부(10) 측으로 오르막의 경사면이 형성된 다수의 돌출링(4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6b에서 보여지듯이 상기 이탈방지관(40)에는 연결이 완료된 합성수지관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막대(43)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분리용 막대(43)는 분리용 홀(24)에 끼워지게 되고, 결합이 완료된 합성수지관을 분리하고자 할때, 이를 누르게 되면 상기 이탈방지관(40)이 고정관부(10) 측으로 밀리게 되어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해준다. 지금까지 설명한 이탈방지관(40)은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었으나, 제작의 편의 등을 위하여 절개하거나,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는 세 부분으로 분할된 이탈방지관(40)을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보여지듯이 분할된 각 부분은 연결부재(4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즉, 상기 분할된 각 부분의 양단에 암수 모양의 부재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연결하거나, 상기 분할된 각 부분의 양단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부재를 삽입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홈(22)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관부(110) 측에서 고정관부(10)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경사면(22a)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관(50)이 삽입되고도 빈 공간이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하게 되면 접속관부(110)가 삽입될 때에는 상기 이탈방지관(40)은 보다 직경이 큰 고정관부 측으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접속관부(110)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접속관부(110)의 삽입이 완료된 이후에 내부의 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접속관부 측의 제2홈 부분이 이탈방지관(40)을 지지하게 됨과 아울러 이탈방지관의 돌출링(42)이 이탈방지관을 견고하게 잡아줌으로써 접속관부(110)의 이탈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속관부(110)가 연결구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탈방지부가 추가로 결합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구 본체(20)의 외주면상의 접속관부(110) 측에 형성된 끼움턱(23)과 이탈방지부 본체(70)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에서 보여지듯이 상기 이탈방지부 본체(70)는 탄성이 있는 금속재질이며, 양측을 결합할 수 있도록 양 측부에 볼트결합부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의 일측에는 끼움턱(23)에 끼워지는 끼움부(73)가 형성되며, 내주면의 나머지 부분에는 접속관부(110) 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돌출편(74)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관부(110)가 연결구 본체(10)에 삽입되고 나면 상기 끼움부(73)를 끼움턱(23)에 결합하고 볼트 결합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이 이루어지면 상기 돌출편(74)은 접속관부(110)의 외주면과 견고히 밀착함으로써 접속관부(110)가 연결구 본체(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다시 한번 잡아주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와 연결하고자 하는 관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들에서의 주요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하지 않고 특이점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홈(22)에는 삽입이 완료된 접속관부(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접속관부(110)의 외주면을 잡아주는 이탈방지링(50) 및 상기 이탈방지링(50)의 양측에 밀착되어 이탈방지링(50)을 지지하는 지지링(60)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 이탈방지링(50)은 탄성이 있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3, 도 8a 및 도 8b에서 보여지듯이 상기 이탈방지링(50)은 제2홈(22)에 끼워지는 이탈방지링 본체(51)와 이탈방지링 본체(51)에서 고정관부(10) 쪽으로 비스듬하게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부(52)로 구성된다. 도 3의 요부확대도에서 보여지듯이 상기 지지링(60)의 하부는 이탈방지링 본체(51)에 밀착되어 이탈방지링 본체(51)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링(60)의 상부는 돌출부(52)의 경사방향과 같은 경사방향을 가지되, 고정관부(10) 측에 위치하는 지지링(60)의 상부는 돌출부(52)의 경사각 보다 큰 경사각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돌출부(52)가 탄성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홈(22)은 접속관부(110)의 삽입 및 이탈 방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이탈방지링(50) 및 지지링(60)이 삽입되고도 빈 공간이 있도록 형성되며, 구체적인 동작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와 연결하고자 하는 관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홈(22)에 밀착링(30′)이 추가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관내를 흐르는 유체의 기밀을 보다 완벽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와 연결하고자 하는 관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서는 상기 제2홈(22)에 밀착링(30′)이 추가로 설치됨과 동시에 제2홈(22)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링(5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지지링(60′)이 하나만 설치된다. 즉, 제2홈(22)의 벽체가 하나의 지지링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관내를 흐르는 유체의 기밀을 보다 완벽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에 일체로 성형되는 연결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속관부(110)를 연결구 본체(20)로 밀어 넣으면, 접속관부(110)는 이탈방지부의 돌출편(74)과 이탈방지관의 돌출링(42) 또는 이탈방지링의 돌출부(52) 및 밀착링의 밀착단(32, 32′)을 지나 완전히 삽입된다. 삽입이 이루어지면 밀착링의 밀착단(32, 32′)은 접속관부(110)에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게 되고, 이탈방지관의 돌출링(42) 또는 이탈방지링의 돌출부(52)는 접속관부(110)의 외주면과 견고히 밀착하게 되어 접속관부(11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삽입 후, 제2이탈방지부의 끼움부(73)를 끼움턱(23)에 끼우고 볼트 결합을 하게 되면 돌출편(74)이 접속관부(110)의 외주면과 견고히 밀착하게 되어 접속관부(110)의 이탈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배관을 연결하고, 물이나 가스등의 유체를 흘려 보낼 때, 유체의 흐름방향이 접속관부(110)에서 고정관부(10) 방향이라면 배관의 이탈은 문제 될 것이 없다. 반면 유체의 흐름방향이 고정관부(10)에서 접속관부(110) 방향일 경우, 내압에 의하여, 접속관부(110)가 연결구 본체(20)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약간 뒤로 움직인다. 그러면, 이탈방지관(40) 또는 이탈방지링(50)이 제2홈(22)의 직경이 작은 부분, 즉, 접속관부(110) 쪽으로 밀리면서 접속관부(110)의 외주면에 이탈방지관의 돌출링(42) 또는 이탈방지링의 돌출부(52)가 더욱 견고하게 밀착하게 됨과 아울러, 이탈방지부의 돌출편(74)도 접속관부(110)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하게 됨으로써, 접속관부(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밀착링의 밀착단(32, 32′) 역시 접속관부(110)의 외주면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시공현장 등에서 연결이 완료된 합성수지관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결합되어 있는 이탈방지부를 해체하고, 분리용 홀(24)에 삽입되어 있는 분리용 막대(43)에 힘을 가하거나, 분리용 막대(43)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분리용 홀(24)에 막대를 삽입하여 힘을 가하게 되면 이탈방지관(40) 또는 이탈방지링(50)이 고정관부(10) 측으로 밀리게 되어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고정관부(10)의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연결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관부(10)에 캡을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배관의 말단에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고정관부에 T자형 관, Y자형 관 등을 결합시킴으로써 분기관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고정관부끼리 일체로 결합되게 구성하여 소켓의 역할을 수행하게 응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에 의할 경우 연결부위에서의 유체의 누출 및 연결부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간단한 동작만으로 배관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어 배관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와 연결하고자 하는 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와 연결하고자 하는 관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의 이탈방지관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의 이탈방지관이 3개 부분으로 분할된 것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의 이탈방지링을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관부 20 ... 연결구 본체 21 ... 제1홈
22 ... 제2홈 22a ... 경사면 23 ... 끼움턱
24 ... 분리용 홀 30, 30′... 밀착링 31, 31′... 밀착링 본체
32, 32′... 밀착단 40 ... 이탈방지관 41 ... 이탈방지관 본체
42 ... 돌출링 43 ... 분리용 막대 45 ... 연결부재
50 ... 이탈방지링 51 ... 이탈방지링 본체 52 ... 돌출부
60, 60' ... 지지링 70 ... 이탈방지부 본체 73 ... 끼움부
74 ... 돌출편 110 ... 접속관부

Claims (11)

  1. 일측에 고정관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접속관부가 접속되는 연결구 본체;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주면 상의 고정관부 측에 형성되는 제1홈;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주면 상의 접속관부 측에 형성되며, 접속관부 측에서 고정관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제2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홈 내에는 밀착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2홈 내에는 이탈방지관 또는 이탈방지링 및 지지링 또는 이탈방지링, 지지링 및 밀착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으로부터 상기 연결구 본체의 접속관부 측 말단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분리용 홀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밀착링은 가요(可撓)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홈 또는 제1홈 및 제2홈에 의해 지지되며 밀착링 본체와 상기 밀착링 본체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고정관부 쪽으로 비스듬하게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밀착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관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홈의 경사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접속관부 측에 결합되는 부분에서 고정관부 측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관 본체와 이탈방지관 내주면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접속관부 측에서 고정관부 측으로 오르막의 경사면이 형성된 다수의 돌출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관은 절개되어 형성되거나,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되어 형성된 이탈방지관 또는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이탈방지관의 각 부분이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7. 제4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관의 접속관부 측에 결합되는 측면에는 분리용 홀에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의 분리용 막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이탈방지링은 탄성이 있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홈에 끼워지는 이탈방지링 본체와 상기 이탈방지링 본체에서 고정관부 쪽으로 비스듬하게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지지링은 하나 또는 두 개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링의 하부는 이탈방지링 본체의 양측 또는 일측에 밀착되어 이탈방지링 본체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링의 상부는 돌출부의 경사방향과 같은 경사방향을 가지되, 고정관부 측에 위치하는 지지링의 상부는 돌출부의 경사각 보다 큰 경사각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본체의 접속관부 측에 이탈방지부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연결구 본체의 외주면 상의 접속관부 측에 형성되는 끼움턱; 탄성이 있는 금속 재질이며, 양 측부에 볼트결합부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의 일측에는 상기의 끼움턱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내주면의 나머지 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편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부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20-2005-0021824U 2005-07-27 2005-07-27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200401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824U KR200401637Y1 (ko) 2005-07-27 2005-07-27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824U KR200401637Y1 (ko) 2005-07-27 2005-07-27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358 Division 2005-07-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637Y1 true KR200401637Y1 (ko) 2005-11-21

Family

ID=4370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824U KR200401637Y1 (ko) 2005-07-27 2005-07-27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6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497B1 (ko) 2006-04-07 2007-02-01 (주)피앤에프 원터치형 연결구 일체형 하수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497B1 (ko) 2006-04-07 2007-02-01 (주)피앤에프 원터치형 연결구 일체형 하수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43280B (zh) 管接头
US9080702B2 (en) Method for the highly-thick thermal coating of joints by using electrofusion in pipes used for conducting fluids, made of steel tubes externally coated with polyolefins
KR200393028Y1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US20100025991A1 (en) Packing means for sealing and connector for a pipe with the same
CA2507411A1 (en) Mechanical and coil fusion combination seal
KR101150473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CN1774595B (zh) 塑料管接头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200401637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CN212107315U (zh) 柔性密封自锁承插聚氯乙烯实壁管
AU2007254617B2 (en) A coupling system for polymeric pipes
CN217519457U (zh) 一种用于塑料复合管的对接套件
JP5400367B2 (ja) 電気融着継手
KR100880384B1 (ko)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JP2004100808A (ja) ヘッダー接続用継手構造
KR20090095691A (ko)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KR101038758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JP2011117563A (ja) 電気融着継手
JP2015117769A (ja) 流体輸送用ヘッダー管継手
KR100562782B1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KR200440337Y1 (ko) 개구부 둘레에 리브가 형성된 관연결구 고정 홀더
KR101046181B1 (ko) 파이프 이음관
KR101949496B1 (ko) 플라스틱관 결합구조
CN210510700U (zh) 用于洗衣机管路的连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