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691A -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 Google Patents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691A
KR20090095691A KR1020080020777A KR20080020777A KR20090095691A KR 20090095691 A KR20090095691 A KR 20090095691A KR 1020080020777 A KR1020080020777 A KR 1020080020777A KR 20080020777 A KR20080020777 A KR 20080020777A KR 20090095691 A KR20090095691 A KR 20090095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coupler
curved
fema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철기
배승운
김선규
박성규
손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Priority to KR1020080020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5691A/ko
Publication of KR2009009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는, 제1곡관부와, 상기 제1곡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수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수 변곡관; 제2곡관부와, 상기 제2곡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 플랜지부가 끼워지는 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암 변곡관; 및 상기 제1곡관의 외주에 끼워지며, 볼트 및 너트에 의해서 상기 암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지형상의 이유 등으로 인하여 합성수지관을 곡선 또는 우회 연결하여야 할 경우에도 이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간단한 구조를 구현하여 제조비용의 감소 및 시공효율을 향상시키고, 유체의 누설 또한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80020777
합성수지관, 커플러, 플랜지, 클램프

Description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A Coupler for Plastic Pipes}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연결을 위한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형상의 이유 등으로 인하여 합성수지관을 곡선 또는 우회 연결하여야 할 경우에도 이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간단한 구조를 구현하여 제조비용의 감소 및 시공효율을 향상시키고, 연결부위에서 유체의 누설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관은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강하고 가공 및 시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장점으로 인하여 기존의 금속성 배관 및 콘크리트 배관을 급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다양한 직경 및 형상으로 제조되어 주로 수도용 배관, 가스용 배관, 난방용 배관, 하수용 배관 등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관은 이동 및 보관의 편의를 위하여 일정한 단위 길이로 절단하여 생산하게 되며, 시공현장에서는 이러한 단위길이의 합성수지관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배관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수도용 배관, 가스용 배관, 하수용 배관 등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그 대다수가 지중에 매설되는데, 이렇게 지중에 매설되는 합성수지관을 서로 연결하는데 있어서,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경과 일치하는 취부를 가지고 합성수지관의 연결방향으로 가압을 할 수 있는 융착기에 의하여 연결이 이루어진다. 즉, 연결하고자 하는 각각의 합성수지관을 융착기에 장착하고 열판을 주입하여 양 단면을 용융시킨후, 가압·냉각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이러한 방법을 '버트융착'이라 한다). 이러한 방법은 연결부위에서의 유체 누설이 없는 측면에서는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융착기의 취급이 용이하지 않으며, 지중의 협소한 작업공간으로 인하여 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합성수지관의 직경이 변할 경우에 융착기의 취부 부분을 일일이 변경하여야 하는 등, 작업효율 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전자소켓을 이용하여 연결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상기의 전자소켓은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며, 소켓 내주면의 양 말단 부분에 합성수지 코팅이 되어 있는 한 가닥의 열선이 나사선 형상으로 감기어져 있다. 이러한 소켓에 전기를 공급하게 되면 열선이 발열하여 코팅부와 소켓의 내면 그리고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외면을 용융·접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자소켓을 이용한 연결은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고, 접합 결과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열선이 소켓의 내면과 합성수지관의 외면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코팅부를 통한 간접적인 가열이 이루어지므 로,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연결 전에 합성수지관의 외면을 스크래핑 하여야 하는 등 시공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한 가닥의 열선이 감기어 있으므로, 쇼트로 인한 접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 융착 시트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상호 연결하기도 한다. 이러한 전기 융착 시트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특히 하수관 용도로 사용되는 이중벽 관에서 주로 사용된다. 상기의 전기 융착 시트에는 직사각형 형태로 성형된 합성수지 시트의 일부분에 전기에 의한 발열을 위하여 매쉬 형상의 발열체가 삽입되어져 있다. 상기의 전기 융착 시트를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들이 맞대어져 있는 부분에 감싸고 전기를 공급하게 되면 발열체의 발열에 의하여 시트의 내면과 합성수지관의 외면이 용융·접합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벽체가 중공으로 성형되어 있어 앞서 설명한 '버트융착' 등을 할 수 없기에 고안된 방법이나, 상기의 전기 융착 시트를 합성수지관에 감싸고 조이는 데에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며, 또한 감기어진 전기 융착 시트가 겹치는 부분 등에는 과열로 인하여 합성수지관의 함몰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연결방법은 모두 별도의 장비와 공정을 필요로 하는 것들이며, 시공현장에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커플러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커플러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연결부위에서 빈번하게 유체의 누설이 발생하며, 또한 외부의 충격 및 내부의 압력으로 인하여 연결부위의 이탈이 쉽게 일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연결방법들은 합성수지관들을 서로 직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 이다. 합성수지관이 지중에 매설되어 연결되는 실제 시공현장에서는 지형상의 이유 등으로 인하여 합성수지관을 직선이 아닌 곡선 또는 우회 연결하여야 하는 등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바, 종래의 연결방법들로는 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형상의 이유 등으로 인하여 합성수지관을 곡선 또는 우회 연결하여야 할 경우에도 이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간단한 구조를 구현하여 제조비용의 감소 및 시공효율을 향상시키고, 연결부위에서 유체의 누설이 없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는 소정각도로 휘어진 수 변곡관과 암 변곡관을 상호 끼움 결합한 후, 끼움 결합된 부위를 클램프로 결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는,
제1곡관부와, 상기 제1곡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수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수 변곡관;
제2곡관부와, 상기 제2곡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 플랜지부가 끼워지는 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암 변곡관; 및
상기 제1곡관부의 외주에 끼워지며, 볼트 및 너트에 의해서 상기 암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 플랜지부의 후면, 즉 수 플랜지부와 제1곡관부가 만나는 지점에는 패킹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제1곡관부 및 제2곡관부의 양측 단부는 직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곡관부 및 제2곡관부의 양측 단부를 직관 형태로 형성하게 되면 제1곡관부 및 제2곡관부와 합성수지관이 연결될 때 및 수 변곡관과 암 변곡관의 연결, 즉 수 플랜지부를 암 플랜지부에 삽입하고 이를 클램프로 연결하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상기 암 플랜지부의 외주에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다. 암 플랜지부의 외주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공과 후술하는 클램프의 볼트 체결공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암 플랜지부와의 결합에 의하여 패킹을 가압하기 위한 압박부와;
상기 압박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제1곡관부와의 접촉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지지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반원형으로 나누어지는 분할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를 반원형으로 나누어지는 분할형 구조로 함으로써 클램프의 조립 및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곡관부와 제2곡관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 단부에는 수 플랜지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 플랜지부를 추가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 추가로 형성된 수 플랜지부에 또 다른 암 변곡관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곡관부와 제2곡관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 단부에는 암 플랜지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암 플랜지부를 추가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 추가로 형성된 암 플랜지부에 또 다른 수 변곡관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에 의할 경우, 지형상의 이유 등으로 인하여 합성수지관을 곡선 또는 우회 연결하여야 할 경우에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곡형 관커플러는 수 변곡관, 암 변곡관, 클램프의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서 제조비용이 감소하고, 별도의 장비 없이 상기 수 변곡관, 암 변곡관, 클램프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합성수지관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곡형 관커플러는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연결부위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 변곡관의 제1곡관부와 암 변곡관의 제2곡관부를 여러 각도로 형성하고, 이들을 여러 형태로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로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를 조합한 제1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조합상태에 합성수지관을 연결한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조합상태에 또 다른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를 연결한 상태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를 조합한 제2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합상태에 합성수지관을 연결한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조합상태에 또 다른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를 연결한 상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10)는, 전(全) 도면에서 보듯이 소정각도로 휘어진 수 변곡관(20) 및 암 변곡관(30)을 상호 끼움 결합하고, 끼움 결합한 부위를 클램프(40)로 결속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수 변곡관(20)은 소정 각도로 휘어진 제1곡관부(22)와, 상기 제1곡관부(2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수 플랜지부(24)로 구성된다.
상기 수 플랜지부(24)는 상기 제1곡관부(22)에 비하여 외경이 더 크게 형성 되며, 상기 수 플랜지부(24)와 상기 제1곡관부(22)의 내경은 서로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곡관부(22)의 양쪽 단부는 직관부(22a,22b)로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제1곡관부(22)의 양쪽 단부를 직관부(22a,22b)로 구성하게 되면 상기 제1곡관부(22)와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때 및 수 변곡관(20) 및 암 변곡관(30)을 연결하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 플랜지부(24)의 후면쪽(도 3참조)에는 수 플랜지부(24)와 하기의 암 플랜지부(34)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킹(50)이 설치된다.
상기 암 변곡관(30)은 소정 각도로 휘어진 제2곡관부(32)와, 상기 제2곡관부(3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 플랜지부(24)가 끼워지는 암 플랜지부(34)로 구성된다.
상기 암 플랜지부(34)는 상기 수 변곡관(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곡관부(32)보다 내경 및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수 변곡관(20)의 제1곡관부(22)의 내경과 암 곡관부(30)의 제2곡관부(32)의 내경은 서로 동일하며, 상기 수 변곡관(20)의 수 플랜지부(24)의 외경과 상기 암 변곡관(30)의 암 플랜지부(34)의 내경은 서로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곡관부(32)의 양쪽 단부는 직관부(32a,32b)로 구성할 수 있는 데, 상기와 같이 제2곡관부(32)의 양쪽 단부를 직관부(32a,32b)로 구성하게 되면 상기 제2곡관부(32)와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때 및 수 변곡관(20) 및 암 변곡관(30)을 연결하는 과정, 즉 즉 수 플랜지부(24)를 암 플랜지부(34)에 삽입하고 이를 클램프(40)로 연결하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상기 암 변곡관(30)에서의 미 설명부호 34a는 후술될 클램프의 볼트 체결공과 연통되어 볼트로서 함께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이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40)는 상기 제1곡관부(22)의 외주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분할되어 있는 제1반원형 클램프(42)와 제2반원형 클램프(44)를 원형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40)를 반원형으로 나누어지는 분할형 구조로 함으로써 클램프(40)의 조립 및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반원형 클램프(42,44)의 각 양쪽 단부와 중앙부위에는 볼트(b)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공(42a,42b,42c,44a,44b,44c)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반원형 클램프(42)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체결공(42a,42c)은 상기 제2반원형 클램프(44)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체결공(44a,44c)과 중첩된 상태에서 이들 체결공을 상기 볼트(b)로서 동시에 관통되게 하고 너트(n)로 마감 체결함에 따라 두 반원형 클램프가 원형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2반원형 클램프(42,44)에는 상기 패킹(50)을 가압하기 위한 압박부(42d,44d)가 형성된다. 즉,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클램프(42,44)와 암 플랜지부(34)가 결합되고, 이들이 조여짐에 따라 상기 압박부(42d,44d)가 패킹(50)을 가압하여 유체의 누설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압박부(42d,44d)는 수 변곡관(20)의 제1곡관부(22)와 암 변곡관(30)의 암 플랜지부(34)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패킹(50)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암 변곡관(30)의 암 플랜지부(34)의 내경은 상기 수 변곡관(20)의 제1곡관부의 외경에 상기 압박부(42d,44d)의 두께를 더한 값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반원형 클램프(42,44)의 압박부(42d,44d) 반대편에는 상기 제1곡관부(22)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확보함으로써 견고한 결속력을 발휘하기 위한 지지부(42e,44e)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곡관부(22)와 제2곡관부(32)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 단부에는 수 플랜지부(6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 플랜지부(60)를 추가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 추가로 형성된 수 플랜지부(60)에 또 다른 암 변곡관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곡관부(22)와 제2곡관부(32)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 단부에는 암 플랜지부(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암 플랜지부를 추가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 추가로 형성된 암 플랜지부에 또 다른 수 변곡관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 러(10)의 설치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두개의 합성수지관의 각 단부에 수 변곡관(20)의 수 플랜지부(24) 반대 부분과 암 변곡관(30)의 암 플랜지부(34) 반대 부분을 연결한다. 합성수지관과 수 변곡관(20) 및 암 변곡관(30)은 일체로 제조할 수도 있고, 이들 각각을 제조한 후,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수 변곡관(20)의 수 플랜지부(24) 후면에 패킹(50)을 삽입한다.
패킹(50)이 끼워진 수 변곡관(20)을 암 변곡관(30)의 암 플랜지(34) 내부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제1반원형 클램프(42)와 제2반원형 클램프(44)를 수 변곡관(20) 상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제1반원형 클램프(42)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42a,42c)과 상기 제2반원형 클램프(44)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44a,44c)을 중첩시킨 상태에서 이들 및 나머지 볼트 체결공(42b,44b)을 암 플랜지(34) 상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34a)과 연통되게끔 위치를 조정한다.
다음으로 볼트를 상기 볼트 체결공에 삽입하고 너트를 이용하여 이를 조여주게 되면, 클램프(40)의 압박부(42d,44d)가 패킹을 가압하면서, 수 변곡관(20)과 암 변곡관(30)이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10)는 수 변곡관(20)과 암 변곡관(30)의 제1곡관부(22) 및 제2곡관부(32)의 휘어진 각도 및 수 변곡관(20)과 암 변곡관(30)의 배열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10)의 수 변곡관(20) 및 암 변곡관(30)이 구현할 수 있는 조합각도는 무수히 많게 되며, 이하에서는 일례로써 두가지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2는 암,수 변곡관(20,30)이 대략 S자형으로 배치되게 한 것이다.
이 경우에, 도 3과 같이 암,수 변곡관(20,30)의 양쪽 말단에 합성수지관(p)을 각각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암, 수 변곡관(20,30)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에 추가적으로 수 플랜지부(60)를 형성하여 또 다른 암 변곡관(30′)을 연결할 수도 있다.
도 5는 암,수 변곡관(20,30)이 대략 V자형으로 배치되게 한 것이다.
이 경우에, 도 6과 같이 암,수 변곡관(20,30)의 양쪽 말단에 합성수지관(p)을 용접에 의해 각각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암, 수 변곡관(20,30)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에 추가적으로 수 플랜지부(60)를 형성하여 또 다른 암 변곡관(30′)을 연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 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를 조합한 제1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합상태에 합성수지관을 연결한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조합상태에 또 다른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를 연결한 상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를 조합한 제2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합상태에 합성수지관을 연결한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조합상태에 또 다른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를 연결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20 : 수 변곡관
22 : 제1곡관부 24 : 수 플랜지부
30 : 암 변곡관
32 : 제2곡관부 34 : 암 플랜지부
40 : 클램프
42 : 제1반원형 클램프 44 : 제2반원형 클램프
50 : 패킹
60 : 또 다른 수 플랜지부

Claims (14)

  1. 소정각도로 휘어진 수 변곡관과 암 변곡관을 상호 끼움 결합한 후, 끼움 결합된 부위를 클램프로 결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2. 제1곡관부와, 상기 제1곡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수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수 변곡관;
    제2곡관부와, 상기 제2곡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 플랜지부가 끼워지는 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암 변곡관; 및
    상기 제1곡관부의 외주에 끼워지며, 볼트 및 너트에 의해서 상기 암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 플래지부의 후면에 끼워지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관부 및 제2곡관부의 양측 단부는 직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 플랜지부와의 내경은 상기 제1곡관부와 동일하며, 상기 수 플랜지부의 외경은 상기 제1곡관부에 비하여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 플랜지부는 상기 수 변곡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곡관부보다 내경 및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관부와 상기 제2곡관부는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 플랜지부의 외경과 상기 암플랜지부의 내경은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 플랜지부에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암 플랜지부와의 결합에 의하여 패킹을 가압하기 위한 압박부와;
    상기 압박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제1곡관부와의 접촉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반원형으로 나누어지는 분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관부와 제2곡관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 단부에는 수 플랜지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관부와 제2곡관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 단부에는 암 플랜지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KR1020080020777A 2008-03-06 2008-03-06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KR20090095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777A KR20090095691A (ko) 2008-03-06 2008-03-06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777A KR20090095691A (ko) 2008-03-06 2008-03-06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691A true KR20090095691A (ko) 2009-09-10

Family

ID=4129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777A KR20090095691A (ko) 2008-03-06 2008-03-06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56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968B1 (ko) * 2010-11-30 2011-03-16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분할 플랜지형 비용접 관 이음매
KR101144277B1 (ko) * 2010-03-19 2012-05-11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파이프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1438398B1 (ko) * 2013-05-29 2014-09-12 주식회사 픽슨 플랜지형 파이프 연결구조
JP2018179288A (ja) * 2017-04-19 2018-11-15 寧波天生密封件有限公司 密封接続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277B1 (ko) * 2010-03-19 2012-05-11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파이프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1021968B1 (ko) * 2010-11-30 2011-03-16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분할 플랜지형 비용접 관 이음매
KR101438398B1 (ko) * 2013-05-29 2014-09-12 주식회사 픽슨 플랜지형 파이프 연결구조
JP2018179288A (ja) * 2017-04-19 2018-11-15 寧波天生密封件有限公司 密封接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5402C (en) Combination mechanical/fusion pipe fitting
CN102900911B (zh) 双料管及双料管的连接方法
KR20090095691A (ko)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KR101060752B1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WO2023071000A1 (zh) 一种钢丝网增强复合管用高压连接结构及其制造方法
KR100822219B1 (ko) 관 커플러
TW201043805A (en) Brake pipe connection to a brake hose
KR20110049351A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RU9312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многослойн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труб
TW201250146A (en) Modular fitting
KR200399453Y1 (ko) 신축편수관 연결장치
KR10091267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RU2380603C1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многослойн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тру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4025393B2 (ja) 補強部材および分岐管継手装置
KR20090027957A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038758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US20050104370A1 (en) Hose clamping assembly
KR20170100895A (ko) 고압용 후랙시블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60702A (ko) 스터브 엔드 또는 라이닝을 구비하는 관이음쇠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03903B1 (ko) 파형 강관용 커플링 밴드 클램핑장치
KR200269996Y1 (ko) 배관용 결속장치
KR200401637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CN101265997A (zh) 非焊接法兰连接ω型不锈钢金属软管及制作方法
CN218378277U (zh) 一种新型管件
CN211175852U (zh) 一种90°等径给水用pe承插弯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