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895A - 고압용 후랙시블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압용 후랙시블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895A
KR20170100895A KR1020160023341A KR20160023341A KR20170100895A KR 20170100895 A KR20170100895 A KR 20170100895A KR 1020160023341 A KR1020160023341 A KR 1020160023341A KR 20160023341 A KR20160023341 A KR 20160023341A KR 20170100895 A KR20170100895 A KR 20170100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ressure
flexible
flexible tub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플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플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플랙스
Priority to KR1020160023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0895A/ko
Publication of KR20170100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2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랙시블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후랙시블 연결관은 내부를 통과하는 액체나 기체가 10kg/㎠ 이상의 고압으로 작용할 경우 산화된 편조망의 끝단부가 빠져나오면서 쉽게 파손되므로 후랙시블 연결관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고, 이러한 유지 보수 및 생산성 저하는 원가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후랙시블 튜브(110)와 편조망 튜브(120) 및 고정체(200)로 후랙시블 연결관을 구성할 때 고정체(200)의 중앙홀(210) 내면에는 압력보강홈(220)을 빙 둘러 형성하고, 후랙시블 튜브(110)와 편조망 튜브(120)의 양단이 겹쳐져서 이루어진 튜브체삽입부(100)는 구경이 확관되는 압력보강링(300)에 의해 압력보강홈(220)에 밀착 고정되게 하여 고압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하여 수명이 긴 후랙시블 연결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가 큰 것이다.

Description

고압용 후랙시블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Added huraekssibeu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high pressure for high pressure added huraekssibeul}
본 발명은 후랙시블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관 연결재로 사용시 용접부의 편조망이 산화된 상태로 일정 압력 이상의 고압이 작용하더라도 산화된 편조망이 용접부에서 빠져나오는 현상이 일체 발생하지 않아 연결관으로서의 기능을 매우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고압용 후랙시블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배관의 연결재로 사용되는 후랙시블 연결관(조인트) 제품은 내굴곡성 및 유연성이 있어야 하고, 일정 압력이나 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압성 및 내열성이 있어야 하며, 부식에 강한 내식성이 있어야 한다.
상기 후랙시블 연결관 제품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탄력성과 유연성 및 내굴곡성이 있고 진동 감소효과가 뛰어나도록 파형으로 성형되는 후랙시블 튜브와; 후랙시블 튜브를 보호하고 압력을 보강하기 위해 가느다란 강선으로 편조된 후 후랙시블 튜브의 외부에 씌워지는 편조망 튜브(Braid) ; 후랙시블 튜브와 편조망 튜브의 양단이 용접되어 고정되며, 배관과 배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인 고정체(플랜지, 소켓, 유니온, 니플 등);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후랙시블 연결관이 만들어지는 과정 중 하나로는, 양쪽 고정체의 중앙 홀 내면으로 상기 후랙시블 튜브와 편조망의 양단을 통과시킨 후 그 후랙시블 튜브와 편조망이 합쳐진 끝단을 고정체의 홀 테두리에 일체로 용접하는 타입의 것이 있다.
또 다른 하나로는 마주보고 있는 양쪽 고정체의 홀 테두리들 내면에 서스밴드(띠)를 설치한 다음 그 서스밴드 내면에 후랙시블 튜브와 편조망이 합쳐진 끝단을 용접하는 타입의 것이 있다.
이러한 후랙시블 연결관의 선행기술로는 아래 특허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23065호(2005.03.09.공개)의 '일방향 밸브기능의 후렉시블관체'가 있으며, 이는 후랙시블 튜브 양단의 고정체로 너트 및 소켓이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아래 특허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5-0015208호(2005.02.21.공개)의 '유체이송장치'는 직관과 직관 사이를 연결하는 후랙시블 튜브 양단의 고정체로 플랜지가 설치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23065호(2005.03.09.공개)의 '일방향 밸브기능의 후렉시블관체'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5-0015208호(2005.02.21.공개)의 '유체이송장치'
그런데 상기에서와 같이 양단의 고정체(소켓, 플랜지)에 후랙시블 튜브와 편조망 튜브의 양쪽 끝단을 끼워 용접한 후랙시블 연결관은 사용시 용접부의 편조망이 쉽게 산화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후랙시블 연결관은 내부를 통과하는 액체나 기체가 10kg/㎠ 이상의 고압으로 작용할 경우 산화된 편조망의 끝단부가 빠져나오는 현상이 발생되면서 쉽게 파손되는 경향이 있어 수시로 후랙시블 연결관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후랙시블 연결관을 자주 교체하게 되면 그동안 유체 및 기체 이송을 중단하여야 하므로 후랙시블 연결관 교체에 따른 인력과 비용 소모와 더불어 원가상승의 요인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부의 편조망이 산화된 상태로 10kg/㎠ 이상의 고압이 작용하더라도 산화된 편조망이 용접부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않고 충분히 견딜 수 있으므로 연결재로서의 기능을 오랫동안 발휘할 수 있는 고압용 후랙시블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압용 후랙시블 연결관은 후랙시블 튜브와, 후랙시블 튜브의 외부에 씌워지는 편조망 튜브 및 이들의 양단에 구비되는 고정체로 후랙시블 연결관을 구성하되 고정체의 중앙홀 내면에는 압력보강홈을 빙 둘러 형성하고, 후랙시블 튜브와 편조망 튜브의 양단이 겹쳐져서 이루어진 튜브체삽입부는 압력보강링에 의해 압력보강홈에 삽입 밀착되게 하면 고압이 작용하더라도 편조망이 쉽게 파손되지 않으므로 상기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후랙시블 연결관 제조방법은, 고정체의 중앙홀 내면에 빙 둘러 압력보강홈을 가공 형성하는 제1단계; 후랙시블 튜브와 편조망 튜브 양단의 겹쳐진 튜브체삽입부를 고정체의 중앙홀 내면에 끼우고 그 끝단을 용접부가 구비되도록 용접하는 제2단계; 용접된 튜브체삽입부 내면으로 끼워지는 구경으로 만들어진 압력보강링을 압력보강홈 위치로 끼워 넣은 후 압력보강홈 방향으로 확관시키면 확관되는 압력보강링에 의해 튜브체삽입부가 고정체의 압력보강홈에 밀착 고정되게 하는 제3단계;로 구성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정 압력(10kg/㎠) 이상의 고압으로 사용시 용접부의 편조망 끝단이 산화되었더라도 양쪽 고정체 사이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할수록 압력보강링이 튜브체삽입부를 강하게 눌러주므로 산화된 편조망 튜브의 끝단이 쉽게 빠져나오거나 파손되지 않고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후랙시블 연결관을 오랫동안 교체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그만큼 후랙시블 연결관 교체에 따른 인력과 비용 소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고압의 액체 및 가스 공급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가 큰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양단의 고정체를 플랜지로 사용한 후랙시블 연결관의 일부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후랙시블 연결관의 일 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횡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 는 본 발명의 후랙시블 연결관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 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 첨부한 별첨 도면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양단의 고정체로 플랜지를 이용한 후랙시블 연결관을 일부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후랙시블 연결관의 일 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후랙시블 튜브(110)와, 후랙시블 튜브(110)의 외부에 씌워지는 편조망 튜브(120)로 후랙시블 연결관을 구성하는 것은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고정체(200)의 중앙홀(210) 내면에는 압력보강홈(220)을 빙 둘러 형성하고, 후랙시블 튜브(110)와 편조망 튜브(120)의 양단이 겹쳐져서 이루어진 튜브체삽입부(100)는 압력보강홈(220)에 끼워지는 압력보강링(300)에 의해 압력보강홈(220)에 삽입 밀착되게 한 것에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보강링(300)은 구경을 압축시켰다가 놓아주면 구경이 커지면서 강한 힘으로 튜브체삽입부(100)를 압력보강홈(220)에 밀착시키는 탄성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아래의 제조방법에서와 같이 확관장치로 확관시키면 구경이 확관되면서 튜브체삽입부(100)를 압력보강홈(220)에 밀착시키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30)은 후랙시블 튜브(110)와 편조망 튜브(120)가 겹쳐진 튜브체삽입부(100)의 용접부 이고, (230)은 배관과 체결하기 위해 고정체(200)의 테두리에 형성한 볼트체결공 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도 1 및 도 2 에서는 상기 고정체(200)를 압력보강홈(220)이 형성된 플랜지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플랜지 외에 소켓이나 유니온 등과 같이 배관과 배관을 연결 고정할 때 사용하는 고정수단이라면 어느 것에나 적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d 는 본 발명의 후랙시블 연결관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후랙시블 연결관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고정체의 압력보강홈 가공단계)
후랙시블 연결관의 양단에 구비되는 고정체(후랜지)(200)의 중앙홀(210) 내면에 빙 둘러 압력보강홈(220)을 일정 깊이 가공하여 형성한다.
상기 압력보강홈(220)은 후랙시블 튜브(110)와 편조망 튜브(120) 양단의 겹쳐진 튜브체삽입부(100)의 두께를 수용하고서도 압력보강링(300)이 빠지지 않도록 충분한 깊이를 갖고 있어야 한다.
제2단계:(고정체와 튜브체삽입부의 조립단계)
후랙시블 튜브(110)와 편조망 튜브(120) 양단의 겹쳐진 튜브체삽입부(100)를 고정체(200)의 중앙홀(210) 내면에 끼우고 그 끝단에 용접부(130)가 구비되도록 고정체(200)에 용접하여 조립한다.
이때 고정체(200)의 중앙홀(210) 내면에 형성된 압력보강홈(220) 입구는 튜브체삽입부(100)가 막고 있는 상태이며,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이다.
제3단계:(압력보강링 확관 설치단계)
고정체(200)의 중앙홀(210)에 끼워진 튜브체삽입부(100)의 내면으로 끼워질 수 있는 구경으로 만들어진 압력보강링(300)을 구비하여 중앙홀(210)의 압력보강홈(220)이 있는 위치로 압력보강링(300)을 끼워 넣은 후 압력보강홈(220) 방향으로 압력보강링(300)을 확관장치로 확관시켜서 구경이 확관되는 압력보강링(300)에 의해 양단의 튜브체삽입부(100)가 양단 고정체(200)의 압력보강홈(220)에 밀착 고정되게 한다.
그러면 후랙시블 튜브(110)와 편조망 튜브(120)로 이루어진 양단의 튜브체삽입부(100)는 양단의 고정체(200)에 매우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압력이 증가하면 할수록 압력보강링(300)으로 눌린 부위가 더욱 견고해져서 고압에 견디는 후랙시블 연결관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후랙시블 연결관은 확관되는 압력보강링(300)을 이용하여 후랙시블 튜브(110)와 편조망 튜브(120)로 이루어진 양단의 튜브체삽입부(100)를 고정체(200)의 압력보강홈(220)에 밀착시켜 주면 된다.
그러면, 10kg/㎠ 이상의 고압으로 사용시 용접부(130)의 편조망 끝단이 산화되었더라도 양쪽 고정체(200) 사이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할수록 확관된 압력보강링(300)이 튜브체삽입부(100)를 강하게 눌러주고 있기 때문에 산화된 편조망 튜브(120)의 끝단이 빠져나와 파손될 우려가 전연 없는 것으로서, 오랫동안 교체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체(200)의 중앙홀(210) 내면에 압력보강홈(220) 2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면 후랙시블 튜브(110)와 편조망 튜브(120)로 이루어진 양단의 튜브체삽입부(100)가 복수의 압력보강링(300)에 의해 각각의 압력보강홈(220)에 이중으로 눌려 밀착되므로 산화된 편조망 끝단이 더욱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그리고 고정체(200)의 중앙홀(210) 내면에 복수의 압력보강홈(220)을 형성할 때 내측보다 외측 압력보강홈의 깊이를 더 깊게 형성하면 각각의 압력보강링(300)에 의해 밀착될 때 내측 압력보강홈 부위보다 외측 압력보강홈의 밀착력이 더 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후랙시블 연결관은 산업용 고압호스, 후랙시블 조인트, 우주 항공의 고압호스, 고압가스용 후랙시블 호스 등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산업 전반에 걸쳐 적용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고 할 수 있다.
100 : 튜브체삽입부 110 : 후랙시블 튜브
120 : 편조망 튜브 130 : 용접부
200 : 고정체 210 : 중앙홀
220 : 압력보강홈 300 : 압력보강링

Claims (4)

  1. 후랙시블 튜브(110)와, 후랙시블 튜브(110)의 외부에 씌워지는 편조망 튜브(120) 및 이들의 양단에 구비되는 고정체(200)로 후랙시블 연결관을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체(200)의 중앙홀(210) 내면에는 압력보강홈(220)을 빙 둘러 형성하고,
    후랙시블 튜브(110)와 편조망 튜브(120)의 양단이 겹쳐져서 이루어진 튜브체삽입부(100)는 압력보강링(300)에 의해 압력보강홈(220)에 밀착 고정되게 하여
    고압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용 후랙시블 연결관.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체(200)의 중앙홀(210) 내면에 깊이가 다른 2개의 압력보강홈(220)을 구비하여 튜브체삽입부(100) 부위가 압력보강링(300)에 의해 다른 깊이로 이중 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랙시블 연결관.
  3. 후랙시블 튜브(110)와, 후랙시블 튜브(110)의 외부에 씌워지는 편조망 튜브(120) 및 이들의 양단에 설치되는 고정체(200)로 후랙시블 연결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고정체(200)의 중앙홀(210) 내면에 빙 둘러 압력보강홈(220)을 일정 깊이 가공하여 형성하는 제1단계;
    후랙시블 튜브(110)와 편조망 튜브(120) 양단의 겹쳐진 튜브체삽입부(100)를 고정체(200)의 중앙홀(210) 내면에 끼우고 그 끝단에 용접부(130)가 구비되도록 고정체(200)에 용접 조립하는 제2단계;
    튜브체삽입부(100)의 내면으로 끼워질 수 있는 구경으로 만들어진 압력보강링(300)을 중앙홀(210)의 압력보강홈(220)이 있는 위치로 끼워 넣은 후 압력보강홈(220) 방향으로 압력보강링(300)을 확관시켜서 확관되는 압력보강링(300)에 의해 튜브체삽입부(100)가 고정체(200)의 압력보강홈(220)에 밀착 고정되게 하는 제3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랙시블 연결관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제1단계는 고정체(200)의 중앙홀(210) 내면에 깊이가 다른 2개의 압력보강홈(220)을 형성하는 단계이고,
    제3단계는 2개의 압력보강홈(220)에 튜브체삽입부(100) 부위를 확관되는 압력보강링(300)에 의해 이중으로 밀착 고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랙시블 연결관의 제조방법.
KR1020160023341A 2016-02-26 2016-02-26 고압용 후랙시블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0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341A KR20170100895A (ko) 2016-02-26 2016-02-26 고압용 후랙시블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341A KR20170100895A (ko) 2016-02-26 2016-02-26 고압용 후랙시블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895A true KR20170100895A (ko) 2017-09-05

Family

ID=5992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341A KR20170100895A (ko) 2016-02-26 2016-02-26 고압용 후랙시블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08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288A (ko) * 2018-08-03 2020-02-12 승진산업 (주) 신축 이음관의 제조방법
KR20230101384A (ko) * 2021-12-29 2023-07-06 유윤상 플렉시블 조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288A (ko) * 2018-08-03 2020-02-12 승진산업 (주) 신축 이음관의 제조방법
KR20230101384A (ko) * 2021-12-29 2023-07-06 유윤상 플렉시블 조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4889B2 (en) Pipe, pipe connection and pipeline system
US10145498B2 (en) Flange joining structure and seal body used therein
JP5357959B2 (ja) 内面被覆配管用の断面設計ガスケット
KR101924450B1 (ko)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장치 및 금속관의 소켓 형성 방법
US7686348B2 (en) Device for connecting lines including annular cavity joint
JP3210602U (ja) 小径配管用継手
KR20170100895A (ko) 고압용 후랙시블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187548B1 (ko) 와이어브레이드호스 신축이음관
KR101866793B1 (ko)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JP3194436U (ja) ルーズフランジ式管継手
JP2008501894A (ja) 接続装置
KR101003942B1 (ko) 관체 연결 장치
JP4764580B2 (ja) 仮設用水道管路
KR20090095691A (ko)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JP3204897U (ja) ルーズフランジ式管継手
WO2007046712A1 (en) Protection means for a male connector element
RU2686129C1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труб с внутренней пластмассовой облицовкой
KR101136912B1 (ko) 경관 구조물용 원형관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1236925A (ja) 補修用被覆体及びこれを用いた既設管の補修方法
KR20100134425A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 배관 연결방법
KR200483288Y1 (ko) 배관 연결장치
JP3194435U (ja) ルーズフランジ式管継手
KR101198331B1 (ko) 플렉시블 튜브의 무용접 커플링 장치
KR200469245Y1 (ko)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JP4336911B2 (ja) 金属製可撓管と接続管との継手部構造及びそれらの継手連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