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288Y1 - 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288Y1
KR200483288Y1 KR2020160005749U KR20160005749U KR200483288Y1 KR 200483288 Y1 KR200483288 Y1 KR 200483288Y1 KR 2020160005749 U KR2020160005749 U KR 2020160005749U KR 20160005749 U KR20160005749 U KR 20160005749U KR 200483288 Y1 KR200483288 Y1 KR 200483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ing member
protrusion
piping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수
Original Assignee
김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수 filed Critical 김상수
Priority to KR2020160005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2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2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16L55/17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means of rings, bands or sleeves pressed against the outside surface of the pipe or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과 배관의 외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가 강하게 결합되어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 연결장치{Pipe coupling}
본 고안은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과 배관의 외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가 강하게 결합되어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재는 금속재의 부식과 같은 단점을 보완하여 형성한 도금형관과 비철금속재관 및 콘크리트관으로 크게 구분되어 사용되는데, 이러한 철금속 도금형관이나 비철금속 배관재는 제조원가가 고가인데다 설치 후 쉽게 부식되는 등 설비 제작 시 비경제적이며 비효과적인 사후관리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최근에는 석유화학공업의 발달에 의해 가정과 공장 등의 식수 배관인 상수도관, 오·폐수 및 우수배관인 하수도관, 그리고 독극성에 강한 유체 등의 공업용 배관에 합성수지 배관재가 주로 사용된다.
특히 플라스틱 배관재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등을 소재로 한 배관재가 상술한 각종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관재는 소재와 형상 못지 않게 장거리 유로나 대형건물의 기초 배관 작업 시 서로를 연결하는 작업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는 바, 통상의 배관 연결 시공은 공장에서 사출 가공된 배관재의 출고 시에 배관재 단부 일측에 플랜지를 융착하여 현장에서 체결구로 고정하거나 기 융착된 대형길이의 배관재를 그대로 시공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합성수지 배관재를 연결하는 방식을 살펴보면, 먼저 전기융착시트(Electronic fusion sheet)에 의한 연결방식으로 배관재를 서로 맞대어 수평으로 정렬시키고 접합 부위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열선이 내장된 전기 융착연결관으로 접합 부위를 감고 단부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고정된 전기융착연결관의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선에 발생된 그 열에 의해 전기융착연결관의 내면과 배관재의 외면을 녹여 융착시는 방식으로 배관재를 결합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융착시트 방식은 전기를 사용하여야하므로 전기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지역에서는 그 사용상의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상기 전기융착연결관이 겹쳐서 포개지는 부분에 융착력이 약해져 누수현상이 발생되거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시 전기융착시트 방식은 우천시 공사가 어렵고 다수개의 배관재를 연결하는 공사에서는 동시 시공이 어려워 공사 기간이 현저하게 길어지며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어왔다.
한편, 소켓밴드접합 방식으로는 역시 배관재를 맞대어 수평으로 정렬시키고 접합 부위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열수축시트를 감고 토치램프를 이용해 열수축시트의 단부를 양단이 밀려나올 정도로 가열하여 부착하게 되는데, 이렇게 가열된 후 열수축시트를 스테인레스 밴드로 감싸 앵글을 대향되게 위치시키고 이 앵글을 보강대로 지지하여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키면 상기 배관재가 연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합방식은 배관재와 타 배관재를 이음하기 위해서 토치램프 등의 열 제공수단이 별도로 필요할 뿐만 아니라 토치램프의 특성상 화기위험지역 및 가스유출지역 등에서는 배관연결이 불가능함은 물론 여러 단계의 작업공수 단계를 거쳐야 하는 등의 생산성의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23520호(2006년 8월 9일 공고)에는 배관자재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기재된 바와 같이 배관재 연결장치에는 상수도관 및 하수도관 그리고 공업용 배관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배관재를 연결하기 위한 배관재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재의 선단측으로부터 헐겁게 결합 되어 그의 이음 결합을 관장하는 링 형태의 플랜지, 상기 배관재의 선단 둘레면으로 끼움 결합되어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플랜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링 형태의 스토퍼,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상에 볼트체결과정을 통해 조립되고, 복수개가 맞대어 상호 이음되는 상기 배관재의 이음결합상태의 극대화 및 그 유지를 위한 다수의 체결구 및 너트 그리고 상기 배관재가 상호 맞대어진 상태에서 그 선단 이음매를 완전히 밀폐시키기 위한 패킹으로 구성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33387호(2006년 10월 16일공고)는 하수도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도관 연결장치에는 하수도관을 서로 긴밀히 조이는 연결장치로서, 중심측 외주연은 넓고 양측단 외주연은 좁은 마름모꼴의 원통으로 좌우측에서 각각 끼워진 두 개의 하수관이 내주연 중심에서 서로 맞닿고, 외주연에는 양측선단에서 중심측으로 내측에 가이드홈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안내바가 일정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압축관, 상기 압축관의 좌우측 외주면에 각각 끼워지는 링체로 가이드홈에 대응되어 슬라이딩되는 압축사면을 갖는 압축편이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내주연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주연 사방에는 조임공을 갖는 체결돌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커플누름링, 좌우측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커플누름링 체결돌부의 조임공에 각각 끼워져 체결너트에 의해서 커플누름링을 내측으로 각각 조이는 체결장볼트를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재 연결장치는 하수도관의 보수 작업에 따른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배관의 보수 과정에서 파손 부위를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완벽하게 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배관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견고하게 고정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의 외면에 고정부재가 강하게 압착되어 완벽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부재의 결합 후 고정부재가 이탈되지 않는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관의 연결 부위 또는 보수 부위를 손쉽게 보수할 수 있는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10)의 파손 부위 사이에 끼워져 밀착되는 보수배관(20);
상기 배관(10) 및 상기 보수배관(20)으로부터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의 외면에 설치되며 연질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패킹(31) 내면에 점착성을 갖는 우레탄계 핫멜트수지층(33)과 외면에 점착성을 갖는 우레탄계 핫멜트수지에 폐텅스텐 분쇄입자를 혼합하여 구성한 미끄럼 방지층(32)이 일체로 형성된 패킹부재(30);
상기 보수배관(20)이 상기 배관(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패킹부재(30)의 외면에 설치되는 반원형상의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로 구성된 고정부재(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고정부재(51)에는 외면에서 내면을 향해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제1 걸림부(52)와 상기 제1 걸림부(52)로부터 단면상 외측으로 돌출되게 'C'자 형상의 제1 돌기부(5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재(55)에는 상기 제1 걸림부(52)에 끼워져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제2 돌기부(56)와 상기 제2 돌기부(56)로부터 단면상 내측으로 요입되게 'C'자 형상의 제2 끼움부(57)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0)는, 반원 형상의 양단에 각각 제1 걸림부(52)와 제1 돌기부(53)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부재(51);
반원 형상의 양단에 각각 상기 제1 걸림부(52)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돌기부(56)와 상기 제1 돌기부(53)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2 끼움부(57)가 형성된 제 2 고정부재(55);를 포함하고,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2 돌기부(56)와 상기 제2 끼움부(57)는 상기 제1 걸림부(52) 및 상기 제1 돌기부(53)에 결합되도록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60)의 다른 실시예로,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몸체(61)의 일측에 개방부(62)와, 상기 개방부(62)와 마주보는 위치에 탄성부(63)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62)의 양끝부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밀착면(641)과 걸림부(644) 및 끼움홈(645)을 갖는 밀착부(64)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밀착부(64)는 초승달 형태를 갖으며 내측 중앙부분에 상기 밀착부(64)가 끼움되는 체결공(661)과 끼움홈(645)에 삽입되는 고정돌기(662)가 일체로 형성된 커버(66)에 의하여 밀착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배관(10)의 파손 부위 사이에 끼워져 밀착되는 보수배관(20);
상기 배관(10) 및 상기 보수배관(20)으로부터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의 외면에 설치되며 연질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패킹(31) 내면에 점착성을 갖는 우레탄계 핫멜트수지층(33)과 외면에 점착성을 갖는 우레탄계 핫멜트수지에 폐텅스텐 분쇄입자를 혼합하여 구성한 미끄럼 방지층(32)이 일체로 형성된 패킹부재(30);
단면이 원통형상을 갖는 몸체(71)의 일측에 몸체(71)의 두께보다 1.5 내지 2배의 두께를 갖는 보강부(72)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키홈(73)을 형성한 고정부재(70);
상기 키홈(73)에 삽입되는 단면이 타원형태를 갖는 키(80);를 포함하며,
삭제
삭제
여기서, 고정부재(70)의 몸체(71) 내부로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을 억지 삽입한 상태에서 키홈(73)에 타원 형태를 갖는 키(80)를 삽입하여 키홈(73)의 하부 몸체면이 몸체(71)에 끼움된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의 외면을 가압하여 끼움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삭제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배관의 파손 부위에 보수배관과 패킹부재를 설치한 다음 이를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시켜 줌으로써 보수배관을 간편하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부재가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며, 배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배관이 원형으로 복원되고, 보수배관이 배관에 완벽하게 밀착되어 배관의 누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 중 고정부재의 분해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 중 고정부재의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 중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 중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 중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 중 고정부재의 분해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 중 고정부재의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는 배관(10)의 파손부위를 보수하는 배관 연결장치로서, 배관(10)의 파손 부위 사이에 끼워져 밀착되는 보수배관(20), 상기 배관(10) 및 상기 보수배관(20)으로부터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의 외면에 설치되는 패킹부재(30), 상기 보수배관(20)이 상기 배관(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패킹부재(30)의 외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5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배관 연결장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50)에 의해 보수배관(20)이 배관(10)에 강하게 결합되게 함은 물론 배관(10)의 외면에 설치된 고정부재(50)가 분리되지 않도록 강하게 결합되게 한다.
즉, 본 고안의 배관 연결장치는 배관(10)의 파손 부위에 설치된 후 고정부재(50)가 분리되지 않도록 강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배관(10)의 파손 부위를 보다 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고정부재(50)에 의해 배관(10)을 원형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관 연결장치는 배관(10)의 파손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관(10)은 건물의 벽체 또는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도관에 적용되며, 배관(10)은 하수도관뿐만 아니라 다른 배관(1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배관(10)은 건물에 가해지는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게 되며, 배관(10)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보수배관(20)을 마련한다.
상기 보수배관(20)은 배관(10)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보수배관(20)은 배관(10)의 절단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절단된다.
상기 패킹부재(30)는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의 외면을 감싸 주어 누수를 방지하는 구성으로써 연질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패킹(31) 내면에 점착성을 갖는 우레탄계 핫멜트수지층(33)을 형성하고 외면에는 점착성을 갖는 우레탄계 핫멜트수지에 폐텅스텐 분쇄입자를 혼합하여 구성한 미끄럼 방지층(32)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패킹부재(30)의 구성을 통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10)과 고정부재(50) 사이에 형성되는 패킹부재(30)는 배관(10)과 패킹부재(30) 사이의 점착성을 갖는 우레탄계 핫멜트수지층(33)이 고정부재(50)의 가압에 의하여 눌려 배관(10)과 보수배관(20)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수밀유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패킹부재(30)의 외면의 미끄럼 방지층(32)에 의하여 고정부재(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체결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30)의 외면에는 반원 형상으로 나뉘어진 한 쌍의 고정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50)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재(51)에는 외면에서 내면을 향해 소정 깊이로 제1걸림부(52)가 형성되며, 제1 걸림부(52)로부터 반원형의 단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부(5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걸림부(52)와 제1 돌기부(53)는 제1 고정부재(51)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이들 제1 걸림부(52)와 제1 돌기부(53)는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고정부재(55)에는 제1 걸림부(52)에 결합되는 제2 돌기부(56)가 형성되며, 제2 돌기부(56)의 내측을 향해 소정 깊이로 제2 끼움부(57)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부재(51)의 제1 걸림부(52)에는 제2 고정부재(55)의 제2 돌기부(56)가 끼워져 결합되고, 제1 고정부재(51)의 제1 돌기부(53)에는 제2고정부재(55)의 제2 끼움부(57)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50)는 패킹부재(30)의 외면을 감싸는 직경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고정부재(50)의 길이는 보수배관(20)을 기준으로 배관(10)의 일부를 감싸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는 배관(10)의 파손 부위를 소정 길이만큼 절단하며, 이와 함께 배관(10)의 절단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보수배관(20)을 마련한다.
상기 보수배관(20)은 배관(10)과 동일한 직경 및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수배관(20)은 절단된 배관(10) 사이에 끼워 결합하며, 이때 보수배관(20)은 배관(10)의 절단 부위에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한다.
상기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의 외면에는 패킹부재(30)를 결합한다.
상기 패킹부재(30)는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의 외면을 감싸 주어 누수를 방지하는 구성으로써 연질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패킹(31) 내면에 점착성을 갖는 우레탄계 핫멜트수지층(33)을 형성하고 외면에는 점착성을 갖는 우레탄계 핫멜트수지에 폐텅스텐 분쇄입자를 혼합하여 구성한 미끄럼 방지층(32)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패킹부재(30)의 외면에는 고정부재(50)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부재(50)는 반원형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의 외측에서 결합된다.
작업자는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걸림부(52)에 제2 돌기부(56)를 위치시킨다. 이와 함께 제1 돌기부(53)에는 제2고정부재(55)의 제2 끼움부(57)를 위치시켜 결합한다.
즉,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의 일측을 서로 끼워 결합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의 타측을 결합한다.
이러한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의 타측은 작업자에 의해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된다.
작업자는 제1 고정부재(51)를 패킹부재(30)에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며, 제2 고정부재(55)의 타측을 결합한다. 이러한 제2 고정부재(55)의 결합은 제2 고정부재(55)를 외측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51)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제2 고정부재(55)의 타측을 신장시킨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51)쪽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2 고정부재(55)의 제2 돌기부(56)가 제1 고정부재(51)의 제2 돌기부(53)를 지나 제1 걸림부(52)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어서 제2 돌기부(56)가 제1 걸림부(52)에 끼워져 결합됨과 함께 제2 끼움부(57)는 제1 돌기부(53)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는 배관(10),보수배관(20) 및 패킹부재(30)에 강하게 밀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 걸림부(52)와 제2 돌기부(56)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고정부재(50)에 강한 외력이나 충격, 진동에도 이탈되지 않고서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1 돌기부(53)와 제2 끼움부(57)는 대략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를 서로 끌어당기게 된다. 즉, 제1돌기부(53)와 제2 끼움부(57)에 형성된 'C'자 형상의 곡면에 의해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는 어떠한 외력 및 배관(10)의 팽창 또는 수축에도 서로 분리되지 않고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 중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정부재는 반원형상으로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고정부재(51)에는 반원형상의 양단에 각각 제1 걸림부(52)가 형성되고, 제1 걸림부(5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부(53)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걸림부(52)와 제1 돌기부(53)는 각각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걸림부(52)와 제1 돌기부(53)는 'ㄷ'자 형상 외에도 'S'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50)는 제1 고정부재(51)에 제2 고정부재(55)를 결합하거나 제2 고정부재(55)에 제1 고정부재(51)를 결합한다.
상기 고정부재(50)는 도 5의 도면상 왼쪽의 제1 고정부재(51)와 제2고정부재(55)를 먼저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며, 왼쪽의 제1 고정부재(51)와 제2고정부재(55)가 결합된 상태에서 오른쪽의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를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는 패킹부재(30)의 외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51)의 제1 걸림부(52)와 제1 돌기부(53)에 제2고정부재(55)의 제2 돌기부(56)와 제2 끼움부(57)를 끼워 결합한다.
즉, 제1 고정부재(51)의 제1 걸림부(52)와 제1 돌기부(53)에는 제2고정부재(55)의 제2 돌기부(56)와 제2 끼움부(57)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주어 끼워 결합한다.
이와 달리 제2 고정부재(55)의 제2 돌기부(56)와 제2 끼움부(57)에는 제1 고정부재(51)의 제1 걸림부(52)와 제1 돌기부(53)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시켜 끼워 결합한다.
이어서 제1 고정부재(51)의 타측에는 제2 고정부재(55)의 타측을 결합하게 되는데, 제1 고정부재(51)는 패킹부재(3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2고정부재(55)의 타측을 외측으로 잡아당겨 신장시킨다.
즉, 제2 고정부재(55)의 길이를 외측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51)를 향해 이동시킨 다음 제2 고정부재(55)를 놓아줌에 따라 제2 고정부재(55)가 제1 고정부재(5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고정부재(51)의 제1 걸림부(52) 및 제1 돌기부(53)에는 제2 고정부재(55)의 제2 돌기부(56) 및 제2 끼움부(57)가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는 배관(10),보수배관(20) 및 패킹부재(30)를 강하게 압착하게 된다.
즉,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는 배관(10), 보수배관(20) 및 패킹부재(30)를 서로 완벽하게 밀착시켜 결합하게 된다.
아울러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는 결합된 이후 서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 중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의 고정부재(60)는 단면이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진 몸체(61)의 일측에 개방부(62)와, 상기 개방부(62)와 마주보는 위치에 탄성부(63)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62)의 양끝부분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밀착부(64)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64)는 내측에 돌기(642)와 홈(643)이 각각 형성된 밀착면(641)과, 외측에 걸림부(644)와 끼움홈(64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61)의 내부에 배관(10)과 보수배관(20)이 끼움된 상태에서 각각의 밀착부(64)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 외측에 커버(66)가 끼움되어 밀착부(64)의 밀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몸체(61) 내부에 끼움된 배관(10)과 보수배관(20)의 외면을 강하게 압착하여 빠짐을 방지한다.
상기 커버(66)는 초승달 형태를 갖으며 내측 중앙부분에 상기 밀착부(64)가 끼움되는 체결공(661)과 끼움홈(645)에 삽입되는 고정돌기(66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60)에 형성된 한 쌍의 밀착부(64)가 서로 밀착되어 밀착면(641)의 돌기(642)와 홈(643)이 대응되는 밀착부(64)의 홈(643)과 돌기(642)에 끼움되어 밀착상태가 1차적으로 유지되고 밀착부(64)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부(644)와 끼움홈(645)에 커버(66)의 체결공(661)과 고정돌기(662)가 삽입되어 2차적으로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와 같은 초승달 형태의 커버(66)의 구성에 의하여 고정부재(60)에 커버(66)가 결합시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 없이 대략 원형을 형성함으로써 차후 연결장치를 지하에 매설시 외부 충격에 의하여 커버가 파손되거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부재(60)의 몸체(61) 내면에는 앞서 설명한 패킹부재(30)를 형성하여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9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 중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의 고정부재(70)는 단면이 대략 원통형상을 갖는 몸체(71)의 일측에 몸체(71)의 두께보다 1.5 내지 2배의 두께를 갖는 보강부(72)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키홈(73)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키홈(73)에 키(80)가 삽입되어 몸체(71) 내부에 끼움되는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의 외면을 가압하여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즉, 고정부재(70)의 몸체(71) 내부로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을 억지 삽입한 상태에서 키홈(73)에 타원 형태를 갖는 키(80)를 삽입하면 키홈(73)의 하부 몸체면이 몸체(71)에 끼움된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의 외면을 가압하여 끼움된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관 형태의 고정부재(70)의 구성을 통하여 몸체(7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키홈(73) 전체에 키홈(73)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키(80)를 삽입하여 고정부재(70)의 내부에 삽입된 배관(10)과 보조배관(20)의 전체면을 동일하게 가압함으로써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배관 : 20 : 보수배관
30 : 패킹부재 31 : 핫멜트수지층
32 : 미끄럼 방지층 50, 60, 70: 고정부재
51 : 제1 고정부재 52 : 제1 걸림부
53 : 제1 돌기부 55 : 제2 고정부재
56 : 제2 돌기부 61, 71 : 몸체
62 : 개방부 63 : 탄성부
64 : 밀착부 66 : 커버
72 : 보강부 73 : 키홈
80 : 키

Claims (5)

  1. 배관(10)의 파손 부위를 보수하는 배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배관(10)의 파손 부위 사이에 끼워져 밀착되는 보수배관(20);
    상기 배관(10) 및 상기 보수배관(20)으로부터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의 외면에 설치되며 연질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패킹(31) 내면에 점착성을 갖는 우레탄계 핫멜트수지층(33)과 외면에 점착성을 갖는 우레탄계 핫멜트수지에 폐텅스텐 분쇄입자를 혼합하여 구성한 미끄럼 방지층(32)이 일체로 형성된 패킹부재(30);
    상기 보수배관(20)이 상기 배관(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패킹부재(30)의 외면에 설치되는 반원형상의 제1 고정부재(51)와 제2 고정부재(55)로 구성된 고정부재(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고정부재(51)에는 외면에서 내면을 향해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제1 걸림부(52)와 상기 제1 걸림부(52)로부터 단면상 외측으로 돌출되게 'C'자 형상의 제1 돌기부(5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재(55)에는 상기 제1 걸림부(52)에 끼워져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제2 돌기부(56)와 상기 제2 돌기부(56)로부터 단면상 내측으로 요입되게 'C'자 형상의 제2 끼움부(57)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0)는,
    반원 형상의 양단에 각각 제1 걸림부(52)와 제1 돌기부(53)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부재(51);
    반원 형상의 양단에 각각 상기 제1 걸림부(52)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돌기부(56)와 상기 제1 돌기부(53)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2 끼움부(57)가 형성된 제 2 고정부재(5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부(56)와 상기 제2 끼움부(57)는 상기 제1 걸림부(52) 및 상기 제1 돌기부(53)에 결합되도록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장치.
  3. 삭제
  4. 삭제
  5. 배관(10)의 파손 부위 사이에 끼워져 밀착되는 보수배관(20);
    상기 배관(10) 및 상기 보수배관(20)으로부터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의 외면에 설치되며 연질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패킹(31) 내면에 점착성을 갖는 우레탄계 핫멜트수지층(33)과 외면에 점착성을 갖는 우레탄계 핫멜트수지에 폐텅스텐 분쇄입자를 혼합하여 구성한 미끄럼 방지층(32)이 일체로 형성된 패킹부재(30);
    단면이 원통형상을 갖는 몸체(71)의 일측에 몸체(71)의 두께보다 1.5 내지 2배의 두께를 갖는 보강부(72)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키홈(73)을 형성한 고정부재(70);
    상기 키홈(73)에 삽입되는 단면이 타원형태를 갖는 키(80);를 포함하며,
    여기서, 고정부재(70)의 몸체(71) 내부로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을 억지 삽입한 상태에서 키홈(73)에 타원 형태를 갖는 키(80)를 삽입하여 키홈(73)의 하부 몸체면이 몸체(71)에 끼움된 배관(10) 및 보수배관(20)의 외면을 가압하여 끼움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장치.
KR2020160005749U 2016-10-05 2016-10-05 배관 연결장치 KR200483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49U KR200483288Y1 (ko) 2016-10-05 2016-10-05 배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49U KR200483288Y1 (ko) 2016-10-05 2016-10-05 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288Y1 true KR200483288Y1 (ko) 2017-04-24

Family

ID=5866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749U KR200483288Y1 (ko) 2016-10-05 2016-10-05 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2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591A (ko) * 2018-01-04 2019-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관소음 저감용 댐퍼 및 그 체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91Y2 (ja) * 1989-04-12 1995-01-18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管継手
JP2009087629A (ja) * 2007-09-28 2009-04-23 Inoac Corp 照明器具用パッキン
KR20100010965U (ko) * 2010-10-19 2010-11-08 이병무 유니온 볼트 보호용 커버
KR101086016B1 (ko) * 2011-05-12 2011-11-22 (주)우암건설 관연결 접합보수장치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91Y2 (ja) * 1989-04-12 1995-01-18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管継手
JP2009087629A (ja) * 2007-09-28 2009-04-23 Inoac Corp 照明器具用パッキン
KR20100010965U (ko) * 2010-10-19 2010-11-08 이병무 유니온 볼트 보호용 커버
KR101086016B1 (ko) * 2011-05-12 2011-11-22 (주)우암건설 관연결 접합보수장치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591A (ko) * 2018-01-04 2019-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관소음 저감용 댐퍼 및 그 체결구조
KR102047306B1 (ko) * 2018-01-04 2019-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관소음 저감용 댐퍼 및 그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6904B2 (ja) プラスチックパイプ接合構造体
KR101828783B1 (ko) 탈부착형 플랜지를 이용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KR100982561B1 (ko)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와 그 체결방법
US77709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CA1064545A (en) Coupling adapter for plastic pipe
KR10159902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959303B1 (ko)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KR101274094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0483288Y1 (ko) 배관 연결장치
KR200399453Y1 (ko) 신축편수관 연결장치
GB2372083A (en) Pipe adaptor
JP2003074772A (ja) 合成樹脂管用パイプジョイント
KR20160086657A (ko) 관연결장치
KR20150090550A (ko) 연결용 유닛이 구비된 파형강관
KR101486704B1 (ko) 강관 내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을 갖는 복합관과 그 제조방법 및 연결방법
KR200389344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52219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137895B1 (ko) 안전 연결형 상하수도관
KR101803903B1 (ko) 파형 강관용 커플링 밴드 클램핑장치
KR200337783Y1 (ko) 배관재의 결합장치
KR20090047422A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20090092590A (ko) 이음관의 이탈방지용 전기융착식 연결장치
KR100718684B1 (ko) 주철관 연결용 플랜지 소켓 어셈블리
KR200416911Y1 (ko) 배관재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