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925Y1 -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 Google Patents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925Y1
KR200395925Y1 KR20-2005-0019245U KR20050019245U KR200395925Y1 KR 200395925 Y1 KR200395925 Y1 KR 200395925Y1 KR 20050019245 U KR20050019245 U KR 20050019245U KR 200395925 Y1 KR200395925 Y1 KR 200395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ire
sewer pipe
sewage pipes
fusion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석
Original Assignee
(주)대덕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덕화학 filed Critical (주)대덕화학
Priority to KR20-2005-0019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9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9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하수관을 상호 연결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는 플라스틱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연결하며 양측 소정부위에 통공이 각각 형성된 부속; 내부에 구비되며 단부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설치되는 열선과, 외부는 열선을 내부에 수용되도록 압출성형되는 융착재로 구성되며, 권취되어 원통형 코어형태로 접합되고 상기 부속 사출시에 상기 부속의 내측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일체로 사출되어 하수관의 연결부위 단부 양측을 각각 감싸며, 상기 열선에 의해 융착되어 상기 부속 및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서로 접합되도록 하는 인서트코어;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종래에서와 같이 전기융착용 시트를 벤딩하고 삽입하여 지그에 의한 고정을 할 필요없이 부속 내부에 인서트코어를 일체로 사출함으로써 지그가 필요 없으며 융착에 의한 하수관 내부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Electrical Fusion Joint for Sewer pipe}
본 고안은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을 전기융착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하수관은 오수나 오니를 하수처리장 등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콘크리트관이나 플라스틱관을 사용하게 된다. 콘크리트관은 물을 함유한 오수나 오니에 의해 함수되게 되므로 수명이 짧고 무거워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내구연한이 긴 플라스틱관으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플라스틱 하수관의 이음공정을 도 1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101)이 삽입된 폴리에틸렌 평판시트(102)를 하수관(103)의 크기에 맞게 제작하고 이를 벤딩하여 하수관(103)의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설치하며 지그(104)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다음 열선(101)에 전기를 가하여 평판시트가 융착되도록 함으로써 양 하수관(103)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전기융착시에 평판시트(102)가 융착하게 될 때 팽창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팽창압력은 벤딩된 평판시트(102)를 지그(104)에 의해 강하게 압착한 상태에서 융착하게 되므로 외측으로는 전달되지 못하고 내부로 전달되게 된다. 결국 하수관의 내부로 팽창하게 됨으로써 하수관의 변형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변형은 열선이 설치된 부분에서 심하게 발생되므로 물결모양을 갖게 되어 오수나 오니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이 하수관이 땅속에 묻혀 설치되는 경우에는 토압 등의 외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연결부위가 파괴되어 누수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경이 하수관보다 약간 크고 내부에 열선을 삽입하여 사출되도록 한 하수관 연결구가 사용되고 있다.
이 하수관 연결구는 열선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되도록 하고 사출하여야 하는데 열선의 대부분이 연질의 구리로 되어 있어 사출압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지 못하여 사출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기 융착시에 균일한 융착이 되지 못하게 되어 연결부위가 취약하게 되므로 결국 누수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하수관 파이프는 기존 수도관과는 달리 제품의 두께가 얇아 전기 열선에 의한 부속이 개발되지 못하고 시트와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열선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되도록 하여 사출되도록 하여 균일한 융착이 되도록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열선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되도록 하여 사출되도록 하는 인서트코어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두께가 얇은 하수관을 지그가 필요없이 전기융착되도록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는 플라스틱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연결하며 양측 소정부위에 통공이 각각 형성된 부속; 내부에 구비되며 단부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설치되는 열선과, 외부는 열선을 내부에 수용되도록 압출성형되는 융착재로 구성되며, 권취되어 원통형 코어형태로 접합되고 상기 부속 사출시에 상기 부속의 내측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일체로 사출되어 하수관의 연결부위 단부 양측을 각각 감싸며, 상기 열선에 의해 융착되어 상기 부속 및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서로 접합되도록 하는 인서트코어;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융착재는 단면이 도넛형상 또는 내부가 중공된 사각형으로 되며 내부에 열선이 삽입되어 압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상기 융착재는 요홈이 형성된 반원으로 되며 상기 요홈에 열선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상기 융착재는 단면이 L자형으로 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교번되어 적층되도록 하고 이 공간에 열선을 삽입하여 권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통공에는 상기 열선과 연결되며 상기 열선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단자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6b는 인서트코어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50)는 플라스틱 하수관(1)의 연결부위를 연결하는 부속(10); 상기 부속(10)의 내측에 위치하여 융착되어 상기 부속(10) 및 하수관(1)의 연결부위를 서로 고정되도록 하는 인서트코어(20); 로 구성된다.
상기 부속(10)은 플라스틱 하수관(1)의 연결부위를 연결하며 양측 소정부위에 통공(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코어(20)는 내부에 구비된 열선(21)과, 외부는 열선(21)을 내부에 수용되도록 압출성형되는 융착재(22)로 구성되며, 권취되어 원통형 코어형태로 접합되어 제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서트코어(20)의 내경은 하수관(1)의 외경보다 약간 크도록 하여 융착재(22)의 용융시 용융압력에 의해 하수관(1) 내부로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서트코어(20)는 상기 부속(10) 사출시에 상기 부속(10)의 내측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일체로 사출되게 되어 하수관(1)의 연결부위 단부 양측을 각각 감싸게 되며, 상기 열선(21)에 의해 융착되어 상기 부속(10) 및 하수관(1)의 연결부위를 서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열선(21)은 상기 융착재(22)의 내부에 삽입되게 되며 상기 열선(21)의 각 단부는 상기 통공(11)을 통하여 상기 부속(10)의 외측으로 설치되게 된다. 상기 통공(11)을 통하여 외측으로 설치된 열선(21)에 전원을 연결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면 상기 융착재(22)가 용융되면서 상기 부속(10) 및 하수관(1)의 연결부위를 서로 접합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인서트코어(20)의 열선(21)이 상기 융착재(22)로 압출됨으로써 부속(10) 사출시에 상기 부속(10)의 내측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사출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열선(21)이 상기 하수관(1)의 외부에 외경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되므로 전기융착시에 일정한 폭과 깊이로 융착되어 하수관(1)과 부속(10)을 접합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상기 융착재(22)의 용융압력에 의해 상기 하수관(1)이 종래에서와 같이 평판시트를 지그로 강하게 압착하고 있지 않아 물결모양과 같은 변형을 일으키지 않게 되므로 오수나 오니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한 흐름이 될 수 있게 된다.
도 3a 내지 도 6b는 인서트코어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융착재(22)의 단면이 도넛형상으로 되어 있는 형태로서 내부에 열선(21)이 삽입되어 압출성형되고 권취되어 원통형 코일형태로 접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와 도 4b는 융착재(22)의 단면이 내부가 중공된 사각형으로 되어 있는 형태로서 내부에 열선(21)이 삽입되어 압출성형되고 권취되어 원통형 코일형태로 접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와 도 5b는 융착재(22)의 단면이 요홈(22a)이 형성된 반원으로 되며 상기 요홈(22a)에 열선(21)이 삽입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와 도 6b는 융착재(22)의 단면이 L자형으로 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교번되어 적층되도록 하고 이 공간에 열선(21)을 삽입하여 권취되도록 하여 원통형 코일형태로 접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코어(20)가 일체로 사출된 부속(10)을 하수관(1)의 연결부위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통공(11)에는 상기 열선(21)과 연결되며 상기 열선(21)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단자핀(23)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핀(23)에 전원을 연결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면 상기 하수관(1)과 상기 부속(10)이 상호 접합되어 하수관(1)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는 종래에서와 같이 전기융착용 시트를 벤딩하고 삽입하여 지그에 의한 고정을 할 필요없이 부속 내부에 인서트코어를 일체로 사출함으로써 지그가 필요 없으며, 특히 얇은 하수관의 융착에 의한 하수관 내부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변형으로 인한 오수나 오니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어 오수나 오니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선을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사출되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융착이 되도록 하여 수밀을 유지하도록 하며 견고한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융착시트를 이용한 관이음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6b는 인서트코어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수관 10: 부속
11: 통공 20: 인서트코어
21: 열선 22: 융착재
22a: 요홈 23: 단자핀
50: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Claims (5)

  1. 플라스틱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연결하며 양측 소정부위에 통공이 각각 형성된 부속;
    내부에 구비되며 단부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설치되는 열선과, 외부는 열선을 내부에 수용되도록 압출성형되는 융착재로 구성되며,
    권취되어 원통형 코어형태로 접합되고 상기 부속 사출시에 상기 부속의 내측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일체로 사출되어 하수관의 연결부위 단부 양측을 각각 감싸며, 상기 열선에 의해 융착되어 상기 부속 및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서로 접합되도록 하는 인서트코어;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재는 단면이 도넛형상 또는 내부가 중공된 사각형으로 되며 내부에 열선이 삽입되어 압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재는 요홈이 형성된 반원으로 되며 상기 요홈에 열선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재는 단면이 L자형으로 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교번되어 적층되도록 하고 이 공간에 열선을 삽입하여 권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5. 제 1 항 내지 제 4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에는 상기 열선과 연결되며 상기 열선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단자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KR20-2005-0019245U 2005-07-01 2005-07-01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KR200395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245U KR200395925Y1 (ko) 2005-07-01 2005-07-01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245U KR200395925Y1 (ko) 2005-07-01 2005-07-01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925Y1 true KR200395925Y1 (ko) 2005-09-14

Family

ID=4369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245U KR200395925Y1 (ko) 2005-07-01 2005-07-01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9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885A (ko) * 2020-12-29 2022-07-06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빼기 구배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885A (ko) * 2020-12-29 2022-07-06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빼기 구배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 방법
WO2022145530A1 (ko) * 2020-12-29 2022-07-07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빼기 구배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 방법
KR102512983B1 (ko) * 2020-12-29 2023-03-23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빼기 구배를 이용한 중공제품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5925Y1 (ko)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KR100889476B1 (ko)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KR101038758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200201936Y1 (ko) 연결소켓을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KR100546443B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식 연결구
KR200253000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100550826B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식 연결구
KR200251564Y1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61585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발열부싱
KR200230699Y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0488285B1 (ko) 전기융착시트로부터 형성되는 후렌지를 가지는 합성수지관및 그것의 제조방법
KR200398508Y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 연결구
GB2327992A (en) Sheet for electrofusion fitting
KR20020065218A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0336943B1 (ko) 연결관용연결부재
KR100786669B1 (ko) 내압성이 뛰어난 배관용 파이프부속 및 그 전기융착방법
KR100425279B1 (ko) 원터치형 연결구용 합성수지관
GB2351133A (en) Coupling member for creating a seal between a socket and a pipe end
KR200268378Y1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322658Y1 (ko) 관 이음구
KR100490566B1 (ko) 파이프관 접합용 융착시트 및 파이프관 연결 시공방법
KR200316770Y1 (ko) 원터치형 연결구용 합성수지관
KR20000020394U (ko) 수지관 일체형 융착용 연결관
KR100563309B1 (ko) 굴절이 가능한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식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