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699Y1 -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699Y1
KR200230699Y1 KR2020010002778U KR20010002778U KR200230699Y1 KR 200230699 Y1 KR200230699 Y1 KR 200230699Y1 KR 2020010002778 U KR2020010002778 U KR 2020010002778U KR 20010002778 U KR20010002778 U KR 20010002778U KR 200230699 Y1 KR200230699 Y1 KR 200230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synthetic resin
connection
resin pipe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Priority to KR2020010002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6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69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을 융착 연결용 소켓을 이용하여 손쉽고, 견고하게 융착하여 연결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 기술적인 구성은 연결부(110)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양측에 횡설되는 합성수지관(100)(100')의 연결부(110)가 양측으로 각각 삽입토록 내부에 수지관 삽입홀(120)이 형성되는 융착 연결용 소켓(130)의 상기 수지관 삽입홀(120)의 중앙으로 합성수지관(100)(100')의 연결부 단부가 걸려 위치고정토록 수지관 고정돌턱(140)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융착 연결용 소켓(130)의 내주면에는 열 부착에 의해 매몰되어 통전 가열에 의해 합성수지관(100)(100')을 융착하는 융착용 라스(150)가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장치{COUPLING DEVICE OF PLASTICS PIPE}
본 고안은 수도관, 가스관 또는 배수관등에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을 융착 연결용 소켓을 이용하여 손쉽고, 견고하게 융착하여 연결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부가 삽입토록 내부에 수지관 삽입홀이 형성되는 융착 연결용 소켓이 상기 합성수지관 연결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융착 연결용 소켓의 수지관 삽입홀의 중앙에는 수지관 고정돌턱이 돌출 설치되어 융착 연결용 소켓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부가 상기 수지관 고정돌턱에 걸려 고정된 후, 융착 연결용 소켓의 내주면에 열 부착된 융착용 라스(Lath)의 통전 발열에 의해 융착 연결용 소켓의 내주면과 양측 합성수지관 의 연결부가 일체로 융착되어 상호 연결토록 됨으로 인하여, 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를 융착 연결용 소켓의 내부에 삽입하여 융착용 라스를 통한 통전 발열에 의해 손쉽고,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에 원통상의 융착 연결용 소켓이 일체로 착설되어 연결부의 결합강도가 증대되고, 수압으로 인한 누수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배관은, 유체(액체나 가스 등)를 이송하기 위한 송수관 및 다수의 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전선용 배관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같은 합성수지관은 지상 또는 지하에 매설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합성수지관의 길이가 길어지면 제조하기가 어렵게 되며,특히 자유로운 경로로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없게되고, 배관의 운반 및 설치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어, 배관의 길이를 비교적 짧게 제조한 후, 이와같은 다수의 배관을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24493호에 알려져 있다.
즉, 그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 대응하는 두 수지관을 접합하기 위하여 수지판(10)의 양측으로 가이드부(20)(21)를 돌출시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양편으로 구분되어 대칭적 요홈(30)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30)을 양편으로 분할 구획하여 매쉬코일(40)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돌기부(50)가 형성되며, 상기 수지판(10)의 요홈(30)에 지지 고정되는 매쉬코일(40)의 양단부에는 도선(60)을 연설하여 두 개의 합성수지관(70)(70')의 연결부에 감아서 매쉬코일(40)의 통전 발열에 의해 융착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수지판(10)상에 매쉬코일(40)을 안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부(20)(21)와 돌기부(50)를 마련한 후, 상기 가이드부(20)(21)와 돌기부(50)에 의해 형성되는 요홈(30) 내부에 상기 매쉬코일(40)을 착설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지판(10)을 상호 연결되는 두 개의 합성수지관(70)(70')의 연결부에 감아준후, 상기 매쉬코일(40) 단부의 도선(60)에 전류를 가함으로써, 상기 매쉬코일(40)의 통전시 발생되는 발열에 의해 수지판(10)과 합성수지관(70)(70')의 연결부가 융착되어 연결토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수지판(10)은 도 2에서와 같이, 그 상측에 가이드부와 돌출부를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 및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요홈에 매쉬코일(40)을 착설함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됨은 물론, 상기 매쉬코일이 착설된 수지판(10)을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에 감아서 통전에 의한 발열시, 수지판(10)이 겹쳐지는 부분이 함몰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수압에 따른 누수발생의 우려가 있으며, 합성수지관 연결부의 외관이 흉해보이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를 융착 연결용 소켓의 내부에 삽입하여 융착용 라스를 통한 통전 발열에 의해 상기 합성수진관을 손쉽고,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에 원통상의 융착 연결용 소켓이 일체로 착설되어 연결부의 결합강도가 증대되고, 수압으로 인한 누수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있게 되며, 합성수지관 연결부에 설치되는 융착 연결용 소켓으로 인한 연결부의 외관이 미려하게 형성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수지판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과 융착 연결용 소켓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인 합성수지관 융착 연결용 소켓의 설치상태 정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인 합성수지관 융착 연결용 소켓의 결합상태 정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융착 연결용 소켓의 결합상태 정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00'...합성수지관 110...연결부
120...수지관 삽입홀 130...융착 연결용 소켓
140...수지관 고정돌턱 150...융착용 라스
160,160'...연결 단자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양측에 횡설되는 합성수지관과;
상기 합성수지관의 연결부가 양측으로 각각 삽입토록 내부에 수지관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지관 삽입홀의 중앙에는 상기 합성수지관의 연결부 단부가 걸려 위치고정토록 수지관 고정돌턱이 돌출 설치되는 융착 연결용 소켓과;
상기 융착 연결용 소켓의 내주면에 열 부착에 의해 매몰되어 통전 가열에 의해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를 융착시켜 연결토록 설치되는 융착용 라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과 융착 연결용 소켓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합성수지관 융착 연결용 소켓의 설치상태 정단면 구조도로서, 연결부(110)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양측에 횡설되는 합성수지관(100)(100')의 연결부(110)가 양측으로 각각 삽입토록 내부에 수지관 삽입홀(120)이 형성되는 융착 연결용 소켓(130)의 상기 수지관 삽입홀(120)의 중앙으로 합성수지관(100)(100')의 연결부 단부가 걸려 위치고정토록 수지관 고정돌턱(140)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융착 연결용 소켓(130)의 내주면에는 열 부착에 의해 매몰되어 통전 가열에 의해 합성수지관(100)(100')을 융착하는 융착용 라스(15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60,160'는, 융착용 라스(150)와 연설되는 연결 단자편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부(11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100)(100')의 일측단부인 상기 연결부(110)가 좌,우 양측으로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지관 삽입홀(120)이 형성되는 원통상의 융착 연결용 소켓(130)은, 그 내측인 수지관 삽입홀(120) 중앙으로 수지관 고정돌턱(140)이 돌출 설치되어, 이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100)(100')의 연결부(110) 단부가 상기 수지관 고정돌턱(140)에 걸려 고정토록 된다.
상기 수지관 고정돌턱(140)은 도 5에서와 같이, 원통상의 융착 연결용 소켓(130)의 수지관 삽입홀(120) 정중앙에 돌출토록 됨으로써, 이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100)(100')은 연결부(110)가 같은 길이만큼 수지관 삽입홀(120)에 삽입될 수 있게되어, 균일한 상태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융착 연결용 소켓(130)의 내주면에는 열 부착에 의해 매몰되는 융착용 라스(150)가 착설된후, 상기 융착 연결용 소켓(130)의 상측으로 연결 단자편(160)(160')이 돌출토록 됨으로써, 전원단자(미도시)와 융착 연결용 소켓(130)으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단자편(160)(160')과의 연결 접속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융착 연결용 소켓(130)의 내주면에 착설된 융착용 라스(150)에 전류를 인가할 경우, 상기 융착용 라스(15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수지관 삽입홀(120)에 삽입된 합성수지관(100)(100')의 연결부(110)를 손쉽게 융착시켜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관(100)(100')의 연결부(110)는 도 5에서와같이, 그 외측으로 원통상의 융착 연결용 소켓(130)이 융착되어 돌출되는 상태로 위치되어, 수압이 높게 발생하더라도 연결부(110) 외측의 융착 연결용 소켓(130)의 두께만큼 강도가 보강되어, 누수 및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관 융착 연결용 소켓의 결합상태 정단면 구조도. 상기 원통상의 융착 연결용 소켓(13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융착용 라스(150)는, 상기 융착 연결용 소켓(130)의 내주면에 매설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에따라, 상기 융착 연결용 소켓(130)에 매설된 융착용 라스(150)에 전류를 인가할 경우, 상기 융착용 라스(15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융착 연결용 소켓의 내주면과 일체로, 상기 합성수지관(100)(100')의 연결부(110)를 융착시켜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인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서로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를 융착 연결용 소켓의 내부에 삽입하여 융착용 라스를 통한 통전 발열에 의해 손쉽고,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에 원통상의 융착 연결용 소켓이 일체로 착설되어 연결부의 결합강도가 증대되고, 수압으로 인한 누수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있게 되며, 합성수지관 연결부에 설치되는 융착 연결용 소켓으로 인한 연결부의 외관이 미려하게 형성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3)

  1. 서로 대응하는 두 합성수지관을 융착하여 접합하기 위하여 수지 시이트 상측으로 매쉬코일이 착설되고, 상기 매쉬코일의 통전에 따른 발열에 의해 두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를 융착 접합시키는 합성수지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연결부(110)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양측에 횡설되는 합성수지관(100)(100')과;
    상기 합성수지관(100)(100')의 연결부(110)가 양측으로 각각 삽입토록 내부에 수지관 삽입홀(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지관 삽입홀(120)의 중앙에는 상기 합성수지관의 연결부(110) 단부가 걸려 위치고정토록 수지관 고정돌턱(140)이 돌출 설치되는 융착 연결용 소켓(130)과;
    상기 융착 연결용 소켓(130)의 내주면에 열 부착에 의해 착설되어 통전 가열에 의해 합성수지관의 연결부(110)를 융착시켜 연결토록 설치되는 융착용 라스(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연결용 소켓(130)의 상측에는 융착용 라스(150)와 연설되는 연결 단자편(160)(160')이 돌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상의 융착 연결용 소켓(13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융착용 라스(150)는, 상기 융착 연결용 소켓(130)의 내주면에 매설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20010002778U 2001-02-06 2001-02-06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230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778U KR200230699Y1 (ko) 2001-02-06 2001-02-06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778U KR200230699Y1 (ko) 2001-02-06 2001-02-06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641A Division KR20020065218A (ko) 2001-02-06 2001-02-06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699Y1 true KR200230699Y1 (ko) 2001-07-19

Family

ID=7306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778U KR200230699Y1 (ko) 2001-02-06 2001-02-06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6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80812B2 (en) Improved welding socket
KR100889476B1 (ko)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KR200230699Y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140005001U (ko) 가스관용 전기융착식 이음관
KR20020065218A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241316Y1 (ko) 전도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253000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246835Y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KR200250794Y1 (ko) 수지관연결소켓
KR200395925Y1 (ko) 하수관용 전기융착 이음구
KR200251564Y1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331510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140039115A (ko) 가스관용 전기융착식 이음관
KR100595850B1 (ko) 소켓 일체형 폴리에틸렌 파이프
KR100546443B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식 연결구
KR200261585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발열부싱
KR101015786B1 (ko) 융착식 연결부재
KR200275920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268377Y1 (ko) 합성수지관용 분기 이음관
JP3749062B2 (ja) 熱可塑性樹脂製管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KR20040268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JPH0520957Y2 (ko)
KR200253939Y1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100533367B1 (ko) 열선매입 연결관이 구비된 합성수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