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532Y1 - 수지관융착용접합수지발열부싱 - Google Patents

수지관융착용접합수지발열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532Y1
KR200242532Y1 KR2019980020546U KR19980020546U KR200242532Y1 KR 200242532 Y1 KR200242532 Y1 KR 200242532Y1 KR 2019980020546 U KR2019980020546 U KR 2019980020546U KR 19980020546 U KR19980020546 U KR 19980020546U KR 200242532 Y1 KR200242532 Y1 KR 200242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bushing
present
pipes
hea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206U (ko
Inventor
김학건
Original Assignee
김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건 filed Critical 김학건
Priority to KR2019980020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53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2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2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532Y1/ko

Links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관이나 배수관등의 수지관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상호 접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지소켓의 양측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곳에 양측면으로 메쉬코일을 설치한 발열부싱을 외측에서 압착하면서 융착고정 하도록 하는 수지관 융착 접합수지 발열부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지관 접합방법은 수지관을 시트를 이용하여 말아서 전류를 공급하여 고정시키게 되므로 전체면에 균일한 접합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지관(4)(4')의 연결부분 외측으로 경사면(2)(2')이 형성되는 수지소켓(1)과, 상기 경사면(2)(2')의 양측으로 내경(6)과 외측의 부싱 경사면(6)에 메쉬코일(7)(7')을 중착 고정하여 배치한 발열부싱(3)(3')으로 이루어지며, 수지소켓(1)의 외측에서 발열부싱(3)(3')을 대고 압력을 가해서 메쉬코일(7)(7')을 이용하여 수지관(4)(4')을 융착하도록 하여 발열부싱에 의한 균일하고 견고하게 융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지관 융착용 접합수지 발열부싱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관이나 배수관등의 수지관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상호 접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지소켓의 양측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곳에 양측면으로 메쉬코일을 설치한 발열부싱을 외측에서 압착하면서 융착고정 하도록 하는 수지관 융착 접합수지 발열부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으로 성형되는 수지관은 매설시에 열융착 방법을 이용하여 맛대기 융착법과 소켓을 이용한 융착방법과 전기저항열을 이용한 접합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소개된 종래의 방법중 공개번호 제93 - 17696호의 "폴리에틸렌관의 융착방법"은 전기저항열을 이용한 수지관의 전기적 융착 접합을 이루기 위하여 시트에 전열코일을 배치하고 이 전열코일의 열에 의하여 수지관을 서로 접합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한가닥의 전열코일이 수지판에 연속적으로 배열되었으므로 본체로 부터 과전류가 공급되면 단선되는 결점이 있으며, 이러한 국부적인 단선에 의하여 접합과정중 정상적인 작업이 진행되지 못하게되는 문제점과, 발열된 열이 전체면에 고르게 전달되지 못하여 균일한 융착접합면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공개번호 제96 - 7294호의 "수지관 융착 접합시트"는 증착되는 열선코일의 이상적인 배열을 통해 관의 융착 안정도를 높여주기 위한 것으로 평면의 수지관과 이 수지관에 최소한 여러개의 코일을 가로세로 방향으로 연속선으로 교차되도록 고르게 배치한 메쉬콘일을 수지관 중앙과 가장자리에 소정의 공백부를 두고 증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융착 접합시트는 수지관의 이음부에 평면형의 시트를 대고 원형으로 말아야 하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으며, 수지관의 이음부 외부에서 시트를 대고 말아서 전원을 투입하여 전체면에서 전원에 의하여 수지관과 시트가 접함되도록 하는 것이나, 전체면에서 융착이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메쉬코일과 수지관의 외관이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나 별도의 도구로 눌러야 하는 결점과 함께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도 전체면에서 수지관과 밀착되지 못함으로 전원이 고르게 투입되어도 전체면에서 고르게 접합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체면에 고르게 접합되지 못하면 수지관의 연결부위를 통하여 누출 현상을 차단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수지관의 외측으로 양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수지소켓과 발열부싱을 이용하여 전체면에서 골고루 그리고 정확한 접합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본 고안은 경사면이 양측에 형성된 수지소켓의 양측에서 삼각형 형상의 발열부싱을 대고 외측에서 압축하면서 메쉬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양측면에서 발열부싱이 수지소켓과 수지관을 정확하게 접합시키도록 하는 발열부싱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수지관을 융착시키는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발열부싱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발열부싱에 대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대한 융착상태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을 엘보우소켓에 적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지소켓 2, 2' : 경사면
3, 3' : 발열부싱 4, 4' : 수지관
5 : 부싱경사면 6 : 내경
7, 7' : 메쉬코일 8 : 중앙공간
9 : 외측공간 12 : 후렌치
본 고안은 각종 수지관(4)(4')의 연결부분의 외측에서 양측으로 경사면(2)(2')을 형성하며 수지관(4)(4')의 외경에 삽입되는 수지소켓(1)이 설치된다.
수지소켓(1)의 양측에 형성되는 경사면(2)(2')는 외부에서 동일한 형상의 발열부싱(3)(3')이 설치된다.
발열부싱(3)(3')은 수지관(4)(4')의 외경과 같은 내경(6)이 형성되어 수지관(4)(4')에 삽입되며, 외측은 경사면(2)(2')의 경사도와 같은 부싱 경사면(5)을 갖는다.
상기 내경(6)이나 경사면(5)에는 일측면에서 끊어져서 중앙공간(8)에 의하여 양측으로 분리되며 양선단으로 외측공간(9)을 갖는 메쉬코일(7)(7')을 설치한다.
메쉬코일(7)(7')의 끊어진 부분에는 리드선(10)이 외부로 연결되고 선단에 연결단자(11)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메쉬코일(7)은 전도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코일(6')이 철망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며 코일(6')은 사각형이나 마름모꼴로 형성되거나 상호 꼬아서 연결하고 발열부싱(3)(3')의 내경(6)과 부싱 경사면(5)에 설치되는 메쉬코일(7)(7')은 발열부싱(3)(3')에 융착시켜 일체형이 되도록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수지소켓(1)과 발열부싱(3)(3')은 수지로 제작되며 발열부싱(3)(3')의 내경(6)과 부싱 경사면(5)에 융착되는 메쉬코일(7)(7')은 양측면이 대칭을 이루게 성형되는 동시에 중앙의 중앙공간(8)에 의하여 양측으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코일(6')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발열부싱(3)(3')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어지며 하나의 발열부싱으로 양측에 모두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발열부싱(3)(3')의 메쉬코일(7)(7')은 철망과 같은 일반적인 휀스용 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고유저항값이 비교적 높은 스테인레스나, 니켈, 크롬합금의 코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엮어지는 코일(6')간의 간격조절에 의하여 열전도 특성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지관(4)(4')과 수지소켓(1)의 열전도 특성에 적응할수 있는 것이다.
발열부싱(3)(3')은 내경(6)과 부싱 경사면(5)이 원형이므로 메쉬코일(7)(7')을 감아서 융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수지관(4)(4')을 접합시키는 방법은 도 2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관(4)(4')의 연결부분의 외측에서 수지소켓(1)이 위치하도록 하고 경사면(2)(2')의 외측에서 발열부싱(3)(3')을 대고 발열부싱(3)(3')의 외측에 후렌치(12)를 설치하여 양측의 후렌치(12)를 보울트(13)와 너트(14)로 연결하여 너트(14)를 조이게 되면 후렌치(12)가 내측으로 좁혀지게 된다.
연결단자(11)에 정전류 트렌스측 전원케이블을 연결단자(11)에 연결시키어 전류를 공급하면서 후렌치(12)가 내측인 수지소켓(1)으로 좁혀지게 되면서 발열부싱(3)(3')을 내측으로 압축하게 된다.
연결단자(11)에 전류가 공급되면 리드선(10)을 통하여 메쉬코일(7)(7')이 발열되면서 후렌치(12)에 의하여 압축되는 압축력으로 내경(6)의 메쉬코일(7)에 의하여 발열부싱(3)(3')과 수지관(4)(4')이 융착되고, 메쉬코일(7')은 수지소켓(1)의 경사면(2)(2')과 발열부싱(3)(3')의 부싱 경사면(5)이 융착된다.
이때 전원케이블을 연결단자(11)로 부터 제거한후 일정한 시간을 경과시켜 냉각시키면 메쉬코일(7)(7')이 발열되면서 발열부싱(3)(3')이 압축되므로 접합강도를 향상시키고 원형의 전체면에서 균일하게 압착되므로 균일하고 견고한 접착작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 5 에서와 같이 수지관(4)과 일측면에 돌출부(16)가 형성된 수지관(15)과의 접합시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돌출부(16)에서 발열부싱(3)을 대고 전류를 공급하면서 후렌치(12)의 보울트(13)와 너트(14)에 의하여 발열부싱(3)을 압착하면 메쉬코일(7)(7')에 의하여 발열부싱(3)이 수지관(4,15)을 융착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 6 에서와 같이 엘부우 형태로 연결되는 수지관(18)의 연결시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수지관(18)에 양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엘보우 소켓(17)을 연결하여 외측에서 발열부싱(3)(3')을 대고 압착하면 메쉬코일(7)(7')에 의하여 발열부싱(3)(3')이 수지관(18)과 엘보우 소켓(17)을 융착시키게 된다.
상기 메쉬코일(7)(7')을 대신하여 라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코일(8)은 여러형태로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지소켓의 양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한후 수지관의 양측에서 발열부싱을 삽입하여 후렌치로 압착하면서 전류를 공급하면서 메쉬코일에 의하여 수지관을 견고하게 융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지소켓과 발열부싱을 이용하여 압착하면서 융착하는 방법으로 전류가 전체면에 고르게 분포되어 견고하고 안정된 융착상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수지관(4)(4')의 연결부분 외측으로 경사면(2)(2')이 형성되는 수지소켓(1)과, 상기 경사면(2)(2')의 양측으로 내경(6)과 외측의 부싱 경사면(6)에 메쉬코일(7)(7')을 중착 고정하여 배치한 발열부싱(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융착 접합수지 발열부싱.
KR2019980020546U 1998-10-27 1998-10-27 수지관융착용접합수지발열부싱 KR200242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546U KR200242532Y1 (ko) 1998-10-27 1998-10-27 수지관융착용접합수지발열부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546U KR200242532Y1 (ko) 1998-10-27 1998-10-27 수지관융착용접합수지발열부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206U KR19990004206U (ko) 1999-01-25
KR200242532Y1 true KR200242532Y1 (ko) 2001-12-01

Family

ID=6951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546U KR200242532Y1 (ko) 1998-10-27 1998-10-27 수지관융착용접합수지발열부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5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298A (ko) * 2001-10-17 2003-04-26 김학건 상수도관의 확관에 의한 연결방법
KR100482734B1 (ko) * 2002-03-15 2005-04-14 김학건 파이프 연결용 부싱의 제조방법
KR100715393B1 (ko) * 2006-12-11 2007-05-08 김학건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206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7839B2 (en) A heater for use in joining plastics materials
EP0480053A1 (en) Electrically fusion-bonded joint
US5475203A (en) Method and woven mesh heater comprising insulated and noninsulated wire for fusion welding of plastic pieces
US5107095A (en) Clam shell heater employing high permeability material
CA1193641A (en) Bifilar resistance element, heating element made therefrom, and process for preparing heating element made therefrom
US5167545A (en) Connector containing fusible material and having intrinsic temperature control
US4914267A (en) Connector containing fusible material and having intrinsic temperature control
CA2093787C (en) Welding connection assembly
EP0241597B1 (en) Electrical circuit containing fusible material and having intrinsic temperature control
US5053595A (en) Heat shrink sleeve with high mu material
JPH0557480B2 (ko)
US5189271A (en) Temperature self-regulating induction apparatus
KR200242532Y1 (ko) 수지관융착용접합수지발열부싱
JPH0473493A (ja) ジョイント用被覆発熱素線及びジョイント用スリーブと管継手
KR101038758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US2068639A (en) Electrical rail bond
KR19990007858U (ko) 수지관 융착용 접합구조
KR101017986B1 (ko) 전도성 플라스틱 실린더를 이용한 전기융착용 배관장치
KR200265641Y1 (ko) 수지관 융착용 발열부싱 일체형 연결구
JPH0648238Y2 (ja) 溶着継手
JPH10246382A (ja) 合成樹脂管用電気融着継手
JPH0389095A (ja) 熱可塑性樹脂製管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22276U (ko) 관연결용밴드
KR200219024Y1 (ko) 수지관 융착접합시트
EP0736719A1 (en) Pipe connection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