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498Y1 -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498Y1
KR200474498Y1 KR2020120004421U KR20120004421U KR200474498Y1 KR 200474498 Y1 KR200474498 Y1 KR 200474498Y1 KR 2020120004421 U KR2020120004421 U KR 2020120004421U KR 20120004421 U KR20120004421 U KR 20120004421U KR 200474498 Y1 KR200474498 Y1 KR 200474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rm
registration fee
connecting member
setting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964U (ko
Inventor
한윤성
Original Assignee
박수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조 filed Critical 박수조
Priority to KR2020120004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498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9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9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4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3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2Joining single elements to the wall of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26Joining single elements to the wall of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fl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0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comprising at least a single wire, e.g. in the form of a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6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supplying heat to said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 e.g. special electrical connectors of wi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7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7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being 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2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for making tubular articles or closed loops, e.g. by joining several sheets ; for making hollow articles or hollow preforms
    • B29C66/4322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for making tubular articles or closed loops, e.g. by joining several sheets ; for making hollow articles or hollow preforms by joining a single sheet to itse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9Internally supporting the, e.g. tubular, article during joining
    • B29C66/496Internally supporting the, e.g. tubular, article during joining using a support which remains in the joined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316Surface properties
    • B29C66/73161Roughness or rug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 B29L2023/225Ins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 1 온수용 파이프와 제 2 온수용 파이프를 접합하기 위한 PE 재질로 형성되는 PE본체; 및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PE본체가 둘러싼 접합면 주위의 내측에 외부로 돌출된 십자형상 열선의 집합으로 형성된 열선집합체;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압 인가 방식을 이용해 용융을 통한 온수 파이프와 연결부재 간의 융착을 통해 견고한 결합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온수 파이프와 연결부재 간에 공간에 보온부재를 충진함으로써, 결합력과 보온성을 증대시키며, 충진 공간에 따른 보온부재의 주입량에 대한 최적 비율을 제시함으로써, 접합된 상태에서 높은 인장강도를 갖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CONNECTION MEMBER FOR HOT-WATER SUPPLY PIPE}
본 고안은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압 인가에 따른 열에너지를 이용해 용융되는 재질을 갖는 구성 부재 간의 융착을 통해 견고한 결합을 갖도록 하기 위한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 파이프는 온수장치 상의 물이 저장되는 저장조와 입출구, 배출구 사이에 연결된다.
이러한 온수 파이프는 온수가 이동하므로, 열에 의한 변성에 의해 그 접합된 사이가 균열 되기 쉽고, 균열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온수 파이프 사이의 접합된 부위의 견고성이 중요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등록실용신안 제20-0285576호와 같이 온수 파이프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구조적 설계를 통해 해결하려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구조적 설계가 복잡해지고, 연결부재의 생산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보다 간편하게 온수 파이프를 접합시키면서, 온수 파이프 간에 견고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용수관 연결부재와 수지재 파이프간의 밀봉결합구조(Water pipeline connecting members and sealingconnecting structure between a resin pipe)(특허출원번호 제10-2004-0020192호)
2. 파이프 연결부재용 결속링(BINDING RING FOR COUPLING MEMBER OF PIPE)(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68212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압 인가 방식을 이용해 용융을 통한 온수 파이프와 연결부재 간의 융착을 통해 견고한 결합을 갖도록 하기 위한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온수 파이프와 연결부재 간에 공간에 보온부재를 충진함으로써, 결합력과 보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보온부재의 충진에 대한 최적 비율을 제시함으로써, 인장강도를 최적화시키기 위한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는 제 1 온수용 파이프와 제 2 온수용 파이프를 접합하기 위한 PE 재질로 형성되는 PE본체; 및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PE본체가 둘러싼 접합면 주위의 내측에 외부로 돌출된 십자형상 열선의 집합으로 형성된 열선집합체;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열선집합체로의 전압인가에 따라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와 상기 PE본체의 접합면 상에서의 융착에 의해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와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E본체는 상부면 테두리 상에 상기 열선이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열선부; 및 상기 열선부의 하부에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와 접합된 면 주위를 둘러싼 외측으로 상기 열선부와 단열되어 형성되는 외장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선부는 내부로는 상기 열선 각각이 행과 열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 각각은 전단에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의 직경 보다 짧게 형성된 제 1 내경 파이프와 제 2 내경 파이프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내경 파이프와 상기 제 2 내경 파이프가 접촉한 상태에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E본체는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와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가 결합에 따라,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와, 상기 제 1 내경 파이프 및 상기 제 2 내경 파이프의 직경 차이에 의해 접합 공간(V)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합 공간(V)으로 보온재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E본체는 상기 보온재를 충진하기 위한 제 1 보온재 주입홀와 제 2 보온재 주입홀; 이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E본체는 상기 열선집합체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점퍼와 제 2 점퍼; 가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점퍼와 상기 제 2 점퍼는 상기 PE본체의 넓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쪽 측면에 하나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점퍼와 제 2 점퍼는 상기 PE본체 상에서 상기 제 1 보온재 주입홀와 상기 제 2 보온재 주입홀이 형성된 반대 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점퍼와 상기 제 2 점퍼 각각은 점프선 중앙부위에 상기 점프선으로 인가되는 전압에 대한 외부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절연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선집합체는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와 맞닿는 상기 PE본체의 내측 상에 테두리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개수의 열의 열선이 높이 방향을 따라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선집합체는 상기 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행의 열선이 길이 방향을 따라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선집합체는 상기 PE본체에서 상기 제 1 보온재 주입홀과 상기 제 2 보온재 주입홀이 형성된 테두리 영역 상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E본체가 펼쳐진 상태에서 전체의 넓이 중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반에 해당하는 넓이(L)는, 상기 반에 해당하는 면적에서 상기 열선집합체가 형성된 넓이(m)와의 관계인 m/L은 0.37 내지 0.43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E본체는 PE 재질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와 맞닿은 체적 비(체적%)가 1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선집합체에 의해 용융된 상기 PE본체, 그리고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또는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와의 접합 면은 산술 평균 조도(Ra)가 0.016 내지 0.027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온재에 대한 주입량(ℓ)과, 상기 제 1 내경 파이프와 상기 제 2 내경 파이프가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PE본체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생기는 상기 공간(V) 간의 관계인 "e"=ℓ/V는 73 내지 94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내경 파이프와 상기 제 2 내경 파이프가 상기 PE본체에 의해 접합된 상태에서 인장강도(㎏ㆍf/㎟)는 0.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는, 전압 인가 방식을 이용해 용융을 통한 온수 파이프와 연결부재 간의 융착을 통해 견고한 결합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는, 온수 파이프와 연결부재 간에 공간에 보온부재를 충진함으로써, 결합력과 보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는, 또한, 본 고안은 충진 공간에 따른 보온부재의 주입량에 대한 최적 비율을 제시함으로써, 접합된 상태에서 높은 인장강도를 갖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온수 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가 말려진 상태를 나태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에서 A에서 A'로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b의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에서 B에서 B'로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온수 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가 말려진 상태를 나태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에서 A에서 A'로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b의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에서 B에서 B'로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는 두 개의 온수용 파이프인 제 1 온수용 파이프(10a)와 제 2 온수용 파이프(10b)가 결합된 상태에서 접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는 PE본체(110), 제 1 보온재 주입홀(120a)과 제 2 보온재 주입홀(120b), 열선집합체(130), 그리고 제 1 점퍼(140a)와 제 2 점퍼(140b)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PE본체(110)는 열선부(111) 및 외장부(112)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선부(111)는 수직면 상에서 상부면으로 돌출된 십자형상의 다수의 열선이 격자를 이루어 형성되며, 내부에서 각 십자형상이 연속되게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열선부(111)는 PE(polyethylene) 재질로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동일한 재질의 외장부(112)가 형성된다.
외장부(112)와 열선부(111) 사이는 상호 단열되어 형성되어, 열선부(111)의 열선(130)과 연결된 제 1 점퍼(140a)와 제 2 점퍼(140b)로 인가된 220 내지 300V의 전압에 의해 변환된 열에너지가 외장부(112)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집합체(130)는 PE본체(1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온수용 파이프(10a)와 제 2 온수용 파이프(10b)와 맞닿는 PE본체(110)의 내측 상에 테두리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개수에 따른 열(row)이 넓이 방향을 따라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행(column)에 따른 열선이 길이 방향을 따라 격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보온재 주입홀(120a)와 제 2 보온재 주입홀(120b)이 형성된 테두리 영역 상에는 열선집합체(130)는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도 4에는 미리 설정된 개수가 4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 도면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PE본체(110)가 제 1 온수용 파이프(10a)의 제 1 내경 파이프(11a)와 제 2 온수용 파이프(10b)의 제 2 내경 파이프(11b)가 결합된 지점에서 외력에 의해 도 7(a)과 같이 말려진 뒤, 제 1 온수용 파이프(10a) 및 제 2 온수용 파이프(10b)와, PE본체(110) 사이에 형성되는 접합 공간(V)으로 보온재(200)를 주입하기 위한 제 1 보온재 주입홀(120a)와 제 2 보온재 주입홀(120b)가 한 쌍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내경 파이프(11a)와 제 2 내경 파이프(11b)의 직경은 제 1 온수용 파이프(10a)와 제 2 온수용 파이프(10b)의 직경보다 짧은 원통형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접합 공간(V)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2 및 도 7a는 제 1 보온재 주입홀(120a)와 제 2 보온재 주입홀(120b)로 보온재(200)가 주입되기 전 상태이며, 도 3 및 도 7b는 제 1 보온재 주입홀(120a)와 제 2 보온재 주입홀(120b)로 보온재(200)가 주입되기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보온재(200)가 충진된 뒤, PE본체(110) 상에 형성된 제 1 점퍼(140a)와 제 2 점퍼(140b) 상으로 전압이 인가되어 열선집합체(130)에 의한 발열을 이용해 접합되는 특성이 있다.
제 1 점퍼(140a)와 제 2 점퍼(140b)는 PE본체(110) 상에서 제 1 보온재 주입홀(120a)와 제 2 보온재 주입홀(120b)이 형성된 반대 단에 형성되며, PE본체(110)의 테두리에 형성된 열선(130)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 1 점퍼(140a)와 제 2 점퍼(140b)는 PE본체(1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양측 끝단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PE본체(1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전체의 넓이 중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반에 해당하는 넓이(L)는 그 반에 해당하는 면적에서 열선집합체(130)가 형성된 넓이(m)와의 관계인 m/L은 0.37 내지 0.43에 형성됨으로써, 그 반에 해당하는 면적에서 열선집합체(130)가 형성되지 않은 PE본체(110) 부분의 용융이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PE본체(110)는 PE 재질을 기준으로 PE본체(110)에서 제 1 온수용 파이프(10a) 및 제 2 온수용 파이프(10b)가 맞닿은 체적비(체적%)에 따라 하기의 표 1과 같은 열선(130)의 작용에 의한 녹는점이 형성되며, 결과적으로 체적비가 12인 경우 최하의 녹는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체적% 10 11 12 13 14 14 16
녹는점
78 75 73 73.5 75 78 79
그리고 제 1 점퍼(140a)와 제 2 점퍼(140b)는 각각 점프선(K) 중앙부위에 제 1 절연재(141a)와 제 2 절연재(141b)가 형성된다. 제 1 절연재(141a)와 제 2 절연재(141b)는 점프선(K)을 따라 인가되는 전압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간섭을 최소화 시켜주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열선집합체(130)에 의해 용융된 PE본체(110), 그리고 제 1 온수용 파이프(10a) 및 제 2 온수용 파이프(10b)와의 접합면은 산술 평균 조도(Ra)가 0.016 내지 0.027을 갖는다.
보온재(200) 주입량(ℓ)과, 도 7과 같이 제 1 내경 파이프(11a)와 제 2 내경 파이프(11b)가 접합된 상태에서 PE본체(110)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생기는 공간(V) 간의 관계인 e=ℓ/V는 73 내지 94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제 1 내경 파이프(11a)와 제 2 내경 파이프(11b)가 PE본체(110)와 접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인장강도(㎏ㆍf/㎟)가 0.01로 최대가 됨이 실험적으로 나타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a: 제 1 온수용 파이프
11a: 제 1 내경 파이프
10b: 제 2 온수용 파이프
11b: 제 2 내경 파이프
110: PE본체
111: 열선부
112: 외장부
120a: 제 1 보온재 주입홀
120b: 제 2 보온재 주입홀
130: 열선집합체
140a: 제 1 점퍼
140b: 제 2 점퍼

Claims (20)

  1. 제 1 온수용 파이프와 제 2 온수용 파이프를 접합하기 위한 PE 재질로 형성되는 PE본체; 및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PE본체가 둘러싼 접합면 주위의 내측에 외부로 돌출된 십자형상 열선의 집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와 맞닿는 상기 PE본체의 내측 상에 테두리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개수의 열의 열선이 높이 방향을 따라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선집합체로의 전압인가에 따라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와 상기 PE본체의 접합면 상에서의 융착에 의해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와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PE본체는,
    상부면 테두리 상에 상기 열선이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열선부; 및
    상기 열선부의 하부에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와 접합된 면 주위를 둘러싼 외측으로 상기 열선부와 단열되어 형성되는 외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열선부는,
    내부로는 상기 열선 각각이 행과 열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 각각은,
    전단에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의 직경 보다 짧게 형성된 제 1 내경 파이프와 제 2 내경 파이프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내경 파이프와 상기 제 2 내경 파이프가 접촉한 상태에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PE본체는,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와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가 결합에 따라,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와, 상기 제 1 내경 파이프 및 상기 제 2 내경 파이프의 직경 차이에 의해 접합 공간(V)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합 공간(V)으로 보온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PE본체는,
    상기 보온재를 충진하기 위한 제 1 보온재 주입홀와 제 2 보온재 주입홀; 이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PE본체는,
    상기 열선집합체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점퍼와 제 2 점퍼; 가 쌍으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퍼와 상기 제 2 점퍼는,
    상기 PE본체의 넓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쪽 측면에 하나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퍼와 제 2 점퍼는,
    상기 PE본체 상에서 상기 제 1 보온재 주입홀와 상기 제 2 보온재 주입홀이 형성된 반대 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퍼와 상기 제 2 점퍼 각각은,
    점프선 중앙부위에 상기 점프선으로 인가되는 전압에 대한 외부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절연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13. 삭제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선집합체는,
    상기 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행의 열선이 길이 방향을 따라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열선집합체는,
    상기 PE본체에서 상기 제 1 보온재 주입홀과 상기 제 2 보온재 주입홀이 형성된 테두리 영역 상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PE본체가 펼쳐진 상태에서 전체의 넓이 중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반에 해당하는 넓이(L)는, 상기 반에 해당하는 면적에서 상기 열선집합체가 형성된 넓이(m)와의 관계인 m/L은 0.37 내지 0.43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PE본체는,
    PE 재질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와 맞닿은 체적비(체적%)가 1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열선집합체에 의해 용융된 상기 PE본체, 그리고 상기 제 1 온수용 파이프 또는 상기 제 2 온수용 파이프와의 접합면은 산술 평균 조도(Ra)가 0.016 내지 0.0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에 대한 주입량(ℓ)과, 상기 제 1 내경 파이프와 상기 제 2 내경 파이프가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PE본체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생기는 상기 공간(V) 간의 관계인 "e"=ℓ/V는 73 내지 94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경 파이프와 상기 제 2 내경 파이프가 상기 PE본체에 의해 접합된 상태에서 인장강도(㎏ㆍf/㎟)는 0.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KR2020120004421U 2012-05-25 2012-05-25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KR200474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21U KR200474498Y1 (ko) 2012-05-25 2012-05-25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21U KR200474498Y1 (ko) 2012-05-25 2012-05-25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964U KR20130006964U (ko) 2013-12-04
KR200474498Y1 true KR200474498Y1 (ko) 2014-09-25

Family

ID=5199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421U KR200474498Y1 (ko) 2012-05-25 2012-05-25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49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3346A1 (en) * 1983-02-24 1984-08-30 Ania Bv Method of securing a shrink sleeve upon the outer ends of the insulating jacket of a thermally insulated conduit
KR20000068990A (ko) * 1996-11-14 2000-11-25 셔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가열 수축 가능한 부재
KR20100082132A (ko) * 2009-01-08 2010-07-16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20110114585A (ko) * 2008-12-19 2011-10-19 셔코 리미티드 케이싱 충전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3346A1 (en) * 1983-02-24 1984-08-30 Ania Bv Method of securing a shrink sleeve upon the outer ends of the insulating jacket of a thermally insulated conduit
EP0138864A1 (en) * 1983-02-24 1985-05-02 Ania B.V. Method of securing a shrink sleeve upon the outer ends of the insulating jacket of a thermally insulated conduit
KR20000068990A (ko) * 1996-11-14 2000-11-25 셔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가열 수축 가능한 부재
KR20110114585A (ko) * 2008-12-19 2011-10-19 셔코 리미티드 케이싱 충전 방법
KR20100082132A (ko) * 2009-01-08 2010-07-16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964U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58196B (zh) 钢丝网骨架塑料复合管全塑连接接头装置及施工方法
US20120031878A1 (en) Method for the highly-thick thermal coating of joints by using electrofusion in pipes used for conducting fluids, made of steel tubes externally coated with polyolefins
CN106299751B (zh) 用于绝缘管型母线端头的连接装置
KR200474498Y1 (ko) 온수 파이프용 연결부재
CN104595963A (zh) 一种发热瓷砖
CN101673600B (zh) 一种预制分支电缆的制造方法
MX2013001678A (es) Acoplador anular por electrofusion interno.
CN206041421U (zh) 基于涨口弹性力的绝缘管型母线端头连接装置
CN202907223U (zh) 碳纤维电地暖冷热线一体接头
CN110249486A (zh) 用于密封电气端子的系统和方法
CN209084265U (zh) 一种用于连接不同材质管材的电熔管件
KR101582596B1 (ko) 밀봉하우징과 이를 이용한 매설형 전열장치 시설체 및 이의 제작방법
CN203297820U (zh) 一种聚乙烯电熔三通
CN202144914U (zh) 一种增强中空壁缠绕管
CN110360401B (zh) 侧接柱式电熔管件
CN113915438A (zh) 一种超深埋地复合管道防渗漏密封结构
CN205101780U (zh) 具有气体排放结构的弯管处热缩套
KR200258829Y1 (ko) 전열선 합성수지판 중착 연결구
CN206179907U (zh) 一种绝缘柱结构
KR101123246B1 (ko) 이중 보온관 연결용 플러그와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의 연결방법
CN204633300U (zh) 冷缩式中压电缆中间接头
CN103236444B (zh) 光耦封装结构
CN220566844U (zh) 一种具有网眼钢带的pe电熔管件
CN214337521U (zh) 一种环保型冷缩电缆附件
CN209819006U (zh) 一种耐高温pvc管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