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829Y1 - 전열선 합성수지판 중착 연결구 - Google Patents

전열선 합성수지판 중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829Y1
KR200258829Y1 KR2019990002529U KR19990002529U KR200258829Y1 KR 200258829 Y1 KR200258829 Y1 KR 200258829Y1 KR 2019990002529 U KR2019990002529 U KR 2019990002529U KR 19990002529 U KR19990002529 U KR 19990002529U KR 200258829 Y1 KR200258829 Y1 KR 200258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late
resin
mesh
connec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681U (ko
Inventor
김학건
Original Assignee
김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건 filed Critical 김학건
Priority to KR2019990002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829Y1/ko
Publication of KR19990017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6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82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관, 가스관, 하수관, 배수관 등의 용도로 활용되는 합성수지관을 연결시켜주는 연결구에 절연선을 중착하여 제공되는 전열선 합성수지판 중착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응되는 수지관을 서로 접합하는 시트인 연결구는 수지판을 사출성형하는 것이어서 제품단가가 고가이며, 제작이 어려운 것이고, 또다른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은 관경의 크기에 따라서 수지판의 크기를 결정하는 관계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함몰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균일한 융착성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지판(11)의 규격과 같거나 적은 메쉬코일(12)을 적층시켜 요철이 성형되는 성형로울러(22)에 의하여 수지판(11)의 양측면에 누름면(20)이 성형되면서 수지판(11)과 메쉬코일 (12)이 일체형이 되도록 하여 크기와 폭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성형할 수 있으며, 함몰지역에 저항조절판을 형성하여 함몰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열선 합성수지판 중착 연결구{Electric heat wire plastics plate intermediate close connection tool}
본 고안은 수도관, 가스관, 하수관, 배수관 등의 용도로 활용되는 합성수지관을 연결시켜주는 연결구에 절연선을 중착하여 제공되는 전열선 합성수지판 중착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수도관, 가스관, 하수관, 배수관 등의 수지관을 서로 접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열융착 접합방법으로 맞대기 융착법(Butt), 소켓융착법, 시트융착법이 소개되었다.
이중 소켓 융착법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71392(1112년)호는 합성수지관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통체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를 선택한뒤 이를 맞추어 시공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고, 관의 각 단면이 어긋나거나 굴절된 상태에서의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구조는 제작 단계에서 한가닥의 절연선을 포밍작업 공정을 통해 스파이럴 형상의 가열선으로 제작하고 이를 사출금형에 넣고 사출성형하여 완제품으로 제작 되므로서 가열선이 연결구 내측에 인서트의 구조적 특징을 갖게된다.
따라서 제품을 성형하는 데 있어서 관경에 따라 사출기기 용량이 커져야 한다는 단점과 이에 상응하는 제품 단가가 상당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그리고 시트융착법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124493호(1998. 6. 12등록)는 첫째, 시트의 기초 재료는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LDPE를 이용하여 발열선을 매쉬코일화 하고 있으나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HDPE와는 물성, 융점의 차이로 인하여 관의 연결시 단일체로 기능을 유지할 수 없었다.
특히, 열가소성 수지(LD, MD, HDPE)에 있어 열히터나, 발열선을 이용하여 가열한후 맞대기 융착이나 시트융착법에 있어 지하 매설물인 경우 외부의 충격, 윤압등에 의해 쉽게 분리 형상을 초래하는 것이다.
화학적으로 열안정성을 요구하는 열가소성수지의 가장 중요한 것을 같은 융점, 물성을 연결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둘째, 시트 수지판을 래딩스페이스, 서멀 밸런서를 각각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한뒤 상기 스페이스, 밸런서의 사이즈에 맞추어 별도로 제작된 매쉬코일을 결합후 저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단자를 연결시켜 관 융착 단품인 융착 접합시트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상기 방법으로는 일정한 래딩 스페이스와 서멀 밸런서를 일체형으로 사출성형함에 있어 하수관, 배수관 관경이 국내에서도 대구경(지름1.000mm이상)의 관종이 지하에 매설되고 있는 실정에 사출공정, 매쉬 결합 공정등의 다공정이 요구되어 각각 제작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매쉬코일은 수지판 양측 레딩 스패이스와 중앙에 위치한 서멀 밸런스를 중심으로 길이방향, 좌우 대칭구조로 매쉬코일에 열원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으나 관 둘레에 감싼후 연결단자에 열원을 공급 하였을 경우 전열선의 배열에 관계없이 비 접촉단면은 연결구인 LD수지판 일부분만 융점에 도달하게 되며 접촉단면은 과열로 인해 연결하고자 하는 본관의 변형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관 둘레에 감싼 수지판이 서로 겹치는 부분인 함몰지역에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 및 열의 균일 분포를 통한 균일 융착이 어려움으로 인해 자원낭비, 토양오염의 심각성, 경제적 손실 등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함몰지역의 경우 수지융점을 220℃로 하고 수지 비트융점을 120℃로하여 다 함몰하면 서로 스파크가 발생되어 결국 이부분에서 과열로 인하여 불이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함몰지역의 스파이크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고 함몰현상을 예방하도록 하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수지판을 사출하지 않고 한쌍의 성형 로울러를 통과시켜 용융 가공하므로서 융착용 수지관의 지름에 따라서 폭과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과전류 공급에 의한 단선에 따른 발열불능현상을 해소하고 전류집중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수지판의 규격과 같거나 적은 메쉬코일을 적층시켜 요철이 성형되는 성형로울러에 의하여 수지판의 양측면에 누름면이 성형되면서 수지판과 메쉬코일이 일체형이 되도록 하는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10 은 본 고안을 성하는 시트성형기의 성형상태도.
1, 2, 3, 4, 5, 6 : 연결구 10, 10' : 수지관
11 : 수지판12 : 메쉬코일
13 : 연결단자14 : 리드와이어
15 : 단자 16 : 공간부
17 : 함몰지역18, 19 : 저항 조절판
20 : 누름면21 : 시트 성형기
21 : 성형 로울러
본 고안의 도 1 은 수지판(11)의 상측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금속망을 구입하여 수지판(11)의 크기와 같거나 조금 작게 성형되는 메쉬코일(12)을 가공하여 시트 성형기(21)의 성형 로울러(22)를 통과시켜 상기 수지판(11)과 메쉬코일(12)을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며, 양측 선단에 연결단자(13)를 설치함과 동시에 대각선 방향에 리드와이어(14)와 단자(15)를 형성하여 연결구(1)를 구성한다.
본 고안의 도 2 는 수지판(11)의 상측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금속망을 구입하여 수지판(11)의 크기와 같거나 조금 작게 성형되는 메쉬코일(12)을 가공하되 중앙에 직사각형의 공간부(16)를 갖도록 하여 시트 성형기(21)의 성형 로울러(22)를 통과시켜 상기 수지판(11)과 메쉬코일(12)을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며, 양측 선단에 연결단자(13)를 대각선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대각선 방향에 리드와이어(14)와 단자 (15)를 형성하여 연결구(2)를 구성한다.
본 고안의 도 3 은 수지판(11)의 상측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금속망을 구입하여 수지판(11)의 크기와 같거나 조금 작게 성형되는 메쉬코일(12)을 가공하되 중앙에 직사각형의 공간부(16)를 갖도록 하여 시트 성형기(21)의 성형 로울러(22)를 통과시켜 상기 수지판(11)과 메쉬코일(12)을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며, 양측 선단에 연결단자(13)를 설치함과 동시에 대각선 방향에 리드와이어(14)와 단자(15)를 형성하여 연결구(3)를 구성한다.
본 고안의 도 4 는 수지판(11)의 상측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금속망을 구입하여 수지판(11)의 크기와 같거나 조금 작게 성형되는 메쉬코일(12)을 가공하되 중앙에 직사각형의 고안부(16)를 갖도록 하여 시트 성형기(21)의 성형 로울러(22)를 통과시켜 상기 수지판(11)과 메쉬코일(12)을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며, 일측면에서 메쉬코일(12)이 연결되지 않도록 떨어지게 2개의 연결단자(13)를 설치함과 동시에 양측에서 리드와이어(14)와 단자(15)를 연결하여 연결구(4)를 구성한다.
본 고안의 도 6 은 수지판(11)의 상측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금속망을 구입하여 수지판(11)의 크기와 같거나 조금 작게 성형되는 메쉬코일(12)을 가공하되 중앙에 직사각형의 공간부(16)를 갖도록 하여 시트 성형기(21)의 성형 로울러(22)를 통과시켜 상기 수지판(11)과 메쉬코일(12)을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며, 양측 선단에 연결단자(13)를 설치함과 동시에 대각선 방향에 리드와이어(14)와 단자(15)를 형성하고 일측면으로 수지관(10)(10')에 감을때 겹치는 부분인 함몰지역(17)에 해당하는 부분에 금속분말로 이루어져서 과전류를 방지하는 저항조절판(18)을 형성하는 연결구(5)를 구성한다.
본 고안의 도 7 은 수지판(11)의 상측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금속망을 구입하여 수지판(11)의 크기와 같거나 조금 작게 성형되는 메쉬코일(12)을 가공하하여 시트 성형기(21)의 성형 로울러(22)를 통과시켜 상기 수지판(11)과 메쉬코일(12)을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며, 양측 선단에 연결단자(13)를 설치함과 동시에 대각선 방향에 리드와이어(14)와 단자(15)를 형성하고 일측면으로 수지관(10)(10')에 감을때 겹치는 부분인 함몰지역(17)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측으로 금속분말로 이루어져서 과전류를 방지하는 저항조절판(19)을 형성하는 연결구(6)를 구성한다.
상기 연결구(1, 2, 3, 4, 5, 6)는 한쌍의 성형 로울러(22)를 200℃정도로 가열하여 수지판(11)과 메쉬코일(12)을 융착하게 되며, 성형 로울러(22)가 용철을 갖는 것이어서 성형된 면은 양측에 모두 요철이 형성되는 누름면(20)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성형된 본 고안의 연결구(1, 2, 3, 4, 5, 6)는 수지관(10)(10')이 대응되는 곳의 융착 대상면 주변을 아세톤이나 알콜등을 이용하여 깨끗이 청소한후 수지관 (11)(10')을 한바퀴 감아서 정전류트렌스와 단자(23)를 연결하여 전류를 공급하면 리드와이어(22)와 연결단자(21)를 통하여 메쉬코일(18)이 가열되어 수지판 (17)과 수지관(10)(10')을 용융시켜 수지관(27)(27')을 접합하는 것이다.
이때 연결구(1, 2, 3, 4, 5, 6)는 수지관(10)(10')의 지름을 고려하여 길게 성형된 수지판(11)과 메쉬코일(12)을 절단하여 성형 로울러(22)에 통과시킴으로서 간편하게 성형되는 것이다.
또한 연결구(1, 2, 3, 5, 6)은 전원의 소모가 많아서 연결구(4)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은 전력을 소모하는 것이다.
수지관(10)(10')의 융착시 전류가 공급되는 메쉬코일(12)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열원에 의하여 수지판(11)과 수지관(10)(10')을 융착시키는 것이며, 함몰지역(17)은 메쉬코일(12)이 겹치는 부분이므로 과전류의 발생에 의하여 수지판 (11)이 함몰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융착에 문제가 생기게 되는 것이나 함몰지역(17) 에 위치하게 되는 저항조절판(18)(19)이 과전류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저항을 조절하게 되어 결국 함몰지역(17)의 함몰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결구(1, 2, 3, 4, 5, 6)는 누름면(20)에 의하여 아주작게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서 메쉬코일(12)의 발열에 의한 융착을 용이하도록 하고 전체면에 균일한 융착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메쉬코일(12)은 시중에서 구입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망인 1.2 18메쉬의 방충망을 사용하게 되므로 별도의 제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수지판을 사출하지 않고 성형 로울러에 의한 롤링작업을 통하여 제작하고 메쉬코일은 시중에 있는 것을 구입하여 적용이 가능하므로 일공정에 의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값이 저렴한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여러가지의 모양을 이용하여 다방면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특수한 수지인 경우에도 재질에 맞추어서 간단한 제작이 가능하며 특수성에 맞추어 접합이 가능한 융착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수지판과 메쉬코일의 선택적 공급에 의한 롤링 성형으로서 수지관의 지름에 따른 제품의 폭과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다.

Claims (2)

  1. 수지판(11)의 상측으로 메쉬코일(12)을 설치하고 연결단자(13)와 리드와이어 (14)를 설치하여 수지관(10)(10')의 접촉면을 연결하는 시트에 있어서,
    상기 수지판(11)의 규격과 같거나 적은 메쉬코일(12)을 적층시켜 요철이 성형되고 가열되는 성형 로울러(22)에 의하여 수지판(11)의 양측면에 누름면(20)이 성형되면서 수지판(11)과 메쉬코일 (12)이 일체형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합성수지판 중착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판(11)의 일측면에서 함몰지역(17)에 금속분말로 이루어진 저항조절판(18)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합성수지판 중착 연결구.
KR2019990002529U 1999-02-19 1999-02-19 전열선 합성수지판 중착 연결구 KR200258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529U KR200258829Y1 (ko) 1999-02-19 1999-02-19 전열선 합성수지판 중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529U KR200258829Y1 (ko) 1999-02-19 1999-02-19 전열선 합성수지판 중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681U KR19990017681U (ko) 1999-05-25
KR200258829Y1 true KR200258829Y1 (ko) 2001-12-28

Family

ID=5475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529U KR200258829Y1 (ko) 1999-02-19 1999-02-19 전열선 합성수지판 중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8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435A (ko) * 2001-08-01 2003-02-12 박기종 합성수지관용 보수판
KR20030012436A (ko) * 2001-08-01 2003-02-12 박기종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100490566B1 (ko) * 2001-10-09 2005-05-19 이남훈 파이프관 접합용 융착시트 및 파이프관 연결 시공방법
KR100912672B1 (ko) * 2008-03-06 2009-08-17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681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8319841A1 (it) Elemento di resistenza bifilare, elemento di riscaldamento realizzato con esso, nonch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tale elemento di riscaldamento
KR200258829Y1 (ko) 전열선 합성수지판 중착 연결구
KR100533366B1 (ko) 열선이 매입된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JPH0330931A (ja) 低抗溶接用線状部材および電気抵抗を利用して管状部材を溶接する方法
US5916468A (en) Electrically weldable pipe joi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204554200U (zh) 一种低碳钢加热丝pe电熔管件
CN204592682U (zh) 一种pe电熔管件
KR200215620Y1 (ko) 수지관 융착용 시트 성형장치
KR200184253Y1 (ko) 관 연결용 융착구조
KR200193732Y1 (ko) 수지관 융착용 시트
KR200203024Y1 (ko)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KR19990046653A (ko) 수지관융착용시트성형방법및그구조
KR200220089Y1 (ko) 플랜지형 합성수지관의 안전 연결구조
KR200378645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시트
KR200426191Y1 (ko) 관 이음매 구조
GB2327992A (en) Sheet for electrofusion fitting
KR200203746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물결모양의 융착관
GR3031672T3 (en) Process for producing a pipe fitting consisting of thermally weldable material
KR100474093B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체결형 발포소켓, 및 그 제조방법과제조장치
CN215568854U (zh) 一种承口电熔带在线成型的结构壁管材
KR200198811Y1 (ko) 플랜지를 이용한 하수관의 연결구조
KR200298039Y1 (ko) 관 이음구
CN215721593U (zh) 一种包胶线及具有其的电熔管件
KR20030040708A (ko) 수지관 융착용 연결시트의 성형방법 및 구조
KR20050082121A (ko) 수축망과 가교시트를 이용한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