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191Y1 - 관 이음매 구조 - Google Patents

관 이음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191Y1
KR200426191Y1 KR2020060017184U KR20060017184U KR200426191Y1 KR 200426191 Y1 KR200426191 Y1 KR 200426191Y1 KR 2020060017184 U KR2020060017184 U KR 2020060017184U KR 20060017184 U KR20060017184 U KR 20060017184U KR 200426191 Y1 KR200426191 Y1 KR 200426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ng member
air
tube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폴리텍
Priority to KR2020060017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1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관, 가스관, 배수관 등이 용도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관과 관을 연결할 때 열 융착과 함께 에어를 주입하여 관과 연결관의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관 이음매 구조에 관한 것으로, 연결부재에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고, 연결부재의 공기주입구와 관 사이에 발열부재가 설치되어 열 융착에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과 연결부재 사이에 발열부재를 가열시켜 융착 시킬 시에 에어를 주입하여 용융된 발열부재에 의해 관과 연결부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연결되고, 관과 연결부재 사이에서 공간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질 시에 하나의 관과 같이 움직이므로 이음부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관, 패드, 연결부재, 발열부재, 에어, 공기주입기,

Description

관 이음매 구조{Pipe connection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관 이음매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관 이음매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관 이음매 구조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관 20: 연결부재
21: 공기주입구 22: 경사면
30: 패드 40: 발열부재
본 고안은 수도관, 가스관, 배수관 등이 용도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관을 연결하는 관 이음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과 관을 연결할 때 열융착과 함께 에어를 주입하여 관과 연결관의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관 이음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관, 가스관, 배수관 등의 수지관을 시로 접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열융착 접합하는 방법으로 맞대기 융착법, 소켓 융착법, 시트 융착법이 소개되어 있다.
이중 소켓 융착법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71392호는 합성수지관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통체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를 선택한 뒤 이를 맞추어 시공하여야하는 부담이 있고, 관의 각 단면이 어긋나거나 굴절된 상태에서의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조는 제작 단계에서 한 가닥의 절연선을 포밍 작업 공정을 통해 스파이럴 형상의 가열선으로 제작하고, 이를 사출금형에 넣어 사출성형함으로 가열선이 연결구 내측에 인서트의 구조적 특징을 가제 된다.
따라서 제품을 성형할 때 관경에 따라 사출기기 용량이 커져야 한다는 단점과 이에 상응하는 제품 단가가 상당히 고가인 단점이 있다.
그리고 시트 융착법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124493호(1998. 6. 12 등록)는 시트의 기초 재료는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LDPE를 이용하여 발열선을 매쉬코일화 하고 있으나,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 관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DHPE와는 물성, 융점의 차이점을 이용하여 관의 연결시 단일체로 기능을 유지한다.
그러나 열가소성 수지(LD, MD, HDPE)에 있어 열히터나 발열선을 이용하여 가열한 후 맞대기 융착이나, 시트 융착법에 있어 지하 매설물인 경우 외부의 충격, 윤압 등에 의해 쉽게 분리 현상을 초래하는 것이다.
종래 이중 흄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돌출부 내측으로 형성된 유착면 사이에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열히터를 발열시켜 융착면이 용융되도록 한 열히터를 제거하여 둘출부의 양측에서 조임판을 대고 고정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키고, 너트를 조이면 조임판의 간격이 가까워지면서 융착 면이 맞대어져 융착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맞대기 융착법은 열히터가 융착면을 균일하게 용융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충격이나 수압 등 외부 요인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결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관과 관이 맞대어지는 외주연에 패드와 연결부재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관과 연결부재의 사이에 발열부재를 설치하여 발열부재에 의해 열융착이 행하여 질 때 에어를 주입하여 관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관 이음매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열융착에 의해 관과 연결부재가 융착될 시에 에어에 의해 융착부위가 넓게 형성됨과 동시에 관과 연결부재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외압에 의해 이음매에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 이음매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관과 연결부재 사이에 패드를 설치하여 관과 관이 연결되는 이음부를 열에 의해 융착되도록 하는 이음관 구조에 있어서, 연결부재에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고, 연결부재의 공기주입구와 관 사이에 발 열부재가 설치되어 열 융착에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공기주입구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관 이음매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관 이음매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관 이음매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관 이음매 구조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관(10)이 구성되고, 관(10)과 관(10)이 연결되는 부분의 외주연에 패드(30)가 설치된다.
패드(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부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어슷하게 형성되어 관(10)을 조여 고정하기 위하여 조일 때 약간씩 맞물려 고정되도록 한다.
패드(30)의 외부에는 관(10)과 관(10)이 연결되는 이음 부분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부재(20)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21)가 형성된다.
공기주입구(21)는 소정 길이까지만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그 하방향으로 에어를 주입할 시에 소정 각도로 에어가 퍼질 수 있도록 경사면(22)이 형성된다.
관(10)과 연결부재(20)의 공기주입구(21)의 사이에는 열에 의해 융착 될 수 있도록 발열부재(40)가 설치되어 관(10)과 연결부재(20)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관 이음매 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관(10)과 관(10)의 일측을 서로 맞닿아지도록 설치하고, 관(10)과 관(10)이 맞닿아 짐에 따라 형성되는 이음매의 외주연에 패드(30)를 설치한다.
패드(30)를 설치한 상태에서 그 외주연에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주입구(21)를 갖는 연결부재(20)를 설치한다.
연결부재(20)가 설치된 상태에서 관(10)과 연결부재(30) 사이에 발열부재(40)를 설치한다.
연결부재(20)에 형성된 공기주입구(21)가 형성된 부분에 발열부재(40)를 설치한다.
발열부재(40)를 설치한 상태에서 연결부재(20)에 설치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부재(20)가 관(10)의 외주연에 고정되도록 한다.
관(10) 외주연에 연결부재(20)가 완전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발열부재(40)를 가열시킨다.
가열에 의해 발열부재(40)가 용융되면서 융착 될 때 연결부재(20)에 형성된 공기주입구(21)를 통해 에어를 주입한다.
에어의 주입은 콤프레샤(미도시) 등과 같은 공압기기를 이용하여 노즐(미도시)을 통해 공기주입구(21)로 에어를 주입하거나, 또는 일정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압 기기라면, 그 구성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공기주입구(21)를 통해 에어가 주입되면, 에어에 의해 발열부재(40)는 관(10)의 외주연과 연결부재(20) 사이에 퍼지면서 관(10)과 연결부재(20) 사이에서 공간이 형성된 부분을 메운다.
가열에 의해 녹여진 발열부재(40)가 공간을 메운 상태에서 열이 식으면서 관(10)과 연결부재(20)를 균일한 상태로 견고하게 융착 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관과 연결부재 사이에 발열부재를 가열시켜 융착 시킬 시에 에어를 주입하여 용융된 발열부재에 의해 관과 연결부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과 연결부재 사이에서 공간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질 시에 하나의 관과 같이 움직이므로 이음부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관(10)과 연결부재(20) 사이에 패드(30)를 설치하여 관(10)과 관(10)이 연결되는 이음부를 열에 의해 융착되도록 하는 이음관 구조에 있어서,
    연결부재(20)에는 공기주입구(21)가 형성되고, 연결부재(20)의 공기주입구(21)와 관(10) 사이에 발열부재(40)가 설치되어 열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주입구(21)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매 구조.
KR2020060017184U 2006-06-26 2006-06-26 관 이음매 구조 KR200426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184U KR200426191Y1 (ko) 2006-06-26 2006-06-26 관 이음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184U KR200426191Y1 (ko) 2006-06-26 2006-06-26 관 이음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191Y1 true KR200426191Y1 (ko) 2006-09-19

Family

ID=4177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184U KR200426191Y1 (ko) 2006-06-26 2006-06-26 관 이음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1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476B1 (ko) 2008-12-03 2009-03-19 폴리텍 주식회사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KR101015786B1 (ko) 2009-02-27 2011-02-17 폴리텍 주식회사 융착식 연결부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476B1 (ko) 2008-12-03 2009-03-19 폴리텍 주식회사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WO2010064832A2 (ko) * 2008-12-03 2010-06-10 폴리텍(주)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WO2010064832A3 (ko) * 2008-12-03 2010-09-30 폴리텍(주)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KR101015786B1 (ko) 2009-02-27 2011-02-17 폴리텍 주식회사 융착식 연결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6034B1 (ko)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된 파이프를 함께 용접하는 방법
US20120031878A1 (en) Method for the highly-thick thermal coating of joints by using electrofusion in pipes used for conducting fluids, made of steel tubes externally coated with polyolefins
US20170198851A1 (en) Connecting piece for multilayered conduits, method of connecting, and assembly obtained by the method
CA2391536A1 (en) Injection molding device for extrusion coating circular weld seams of a pipeline
JP6134061B2 (ja) 配管系の設置及び修理の方法及び装置
KR200426191Y1 (ko) 관 이음매 구조
KR20200031138A (ko) 접합 연결부를 구비한 파이프 장치
KR100438990B1 (ko) 전기융착식접속장치
US20140353964A1 (en) Connecting piece for multilayered conduits, method of connecting, and an assembly obtained by the method
KR101110240B1 (ko) 플랜지형 합성수지 파형관
KR10091267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JP2007071323A (ja) コルゲート管の接続方法
KR20110103061A (ko) 플랜지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제조방법
KR101111166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수도관
KR200220089Y1 (ko) 플랜지형 합성수지관의 안전 연결구조
KR200319044Y1 (ko) 합성수지제 전기융착 접합시트
KR200313859Y1 (ko) 융착 칼라 피이 관
KR200184253Y1 (ko) 관 연결용 융착구조
KR20100029288A (ko) 지중매설관 연결용 연결관조립체
JP2003194273A (ja) 接続管継手を備えたフレキシブルホース連結管
KR200234282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 융착 편수관
KR100529463B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이음장치 및 그 이음방법
KR101046181B1 (ko) 파이프 이음관
KR200261585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발열부싱
CN201772182U (zh) 用于小口径塑钢排水管材的电热熔连接管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