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282Y1 -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 융착 편수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 융착 편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282Y1
KR200234282Y1 KR2020010000699U KR20010000699U KR200234282Y1 KR 200234282 Y1 KR200234282 Y1 KR 200234282Y1 KR 2020010000699 U KR2020010000699 U KR 2020010000699U KR 20010000699 U KR20010000699 U KR 20010000699U KR 200234282 Y1 KR200234282 Y1 KR 200234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ynthetic resin
fusion
resin pipe
connect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건
Original Assignee
김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건 filed Critical 김학건
Priority to KR2020010000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2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282Y1/ko

Links

Landscapes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상,하수도용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관의 일측에 연결 플랜지를 전기 융착방법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간편하게 융착 연결시킨 편수관을 공급하여 연결 플랜지의 반대편에 편수관을 끼워 맞춘 후 전기 융착법으로 안정되게 연결시키도록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 융착 편수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합성수지관을 성형한 후 합성수지관의 일측에 플랜지를 일체형으로 사출하나 사출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결점이 있으며, 다른 편수관과 플랜지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복잡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내경의 중앙에서 돌출턱(4)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융착라스(6)(6')가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단자(8)에 연결되며, 상기 돌출턱(4)의 내경에 유지링(5)이 형성된 연결 플랜지(2)와, 상기 연결 플랜지(2)의 일측으로 합성수지관(3) 일측면에 형성되는 융착면(12)이 삽입되어 단자(8)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으로 융착라스(6')의 양측이 용융되어 연결 플랜지(2)와 합성수지관(3)의 융착면(12)이 용융되어 일체형이 되도록 하는 편수관(1)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 융착 편수관{a}
본 고안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상,하수도용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관의 일측에 연결 플랜지를 전기 융착방법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간편하게 융착 연결시킨 편수관을 공급하여 연결 플랜지의 반대편에 편수관을 끼워 맞춘 후 전기 융착법으로 안정되게 연결시키도록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 융착 편수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상,하수도관의 접속방법은 상,하수도관 이음소켓을 별도로 제조하여 그 이음소켓에 상호 접속하고자 하는 상,하수도관의 일단을 각각 삽입, 연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이음소켓의 제조를 위한 원자재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하수도관의 접속작업을 이중으로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합성수지로 제조된 상,하수도관의 일단에 이음관의 일단을 가열 융착하여 상,하수도관에 이음관을 접합시킨 다음, 이음관에 연결시키고자 하는 상,하수도관을 끼워서 상,하수도관을 접속시키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상,하수도관의 일단에 이음관의 일단을 접합시키기 위하여 접합면을 면삭, 가열, 접합하는 공정을 필요로 함과 아울러 접합면이 접합된 상태에서 완전히 냉각될 때까지 상,하수도관과 이음관을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생산능률을 떨어뜨리고 제조단가가 상승되며, 때때로 접합면상에 균열이 일어나 접합부위로 부터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공고번호 제91-5063호 상수도용 폴리에치렌관의 죔식이음관 접합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는 상온상태의 주관에 고온의 합성수지 용융액을 사출하여 이음관을 성형, 접합시킴과 아울러 이음관에 접합되는 주관의 외주면이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음관이 주관에 긴밀하게 접합되지 않기 때문에 그 접합부위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고, 사출된 합성수지 용융액이 냉각되어 수축될 때 내금형표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므로 이음관이 성형된 후 내금형을 주관 및 이음관으로부터 분리시키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제조한 후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합성수지관의 일측에서 연결 플랜지의 내부에 형성된 융착라스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된 편수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연결 플랜지와 편수관이 함께 용융되면서 융착되어 연결 플랜지와 합성수지관이 전체면에서 균일하고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편수관의 일측을 삽입하여 전기 융착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연결 플랜지의 돌출턱에 유지링이 설치되어 합성수지관을 융착 연결시킬 때 발생되는 용융물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의 융착면이 일측에 삽입되어 융착라스로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시켜 연결 플랜지와 합성수지관이 동시에 용융되어 연결되며, 반대편의 융착면에 융착라스가 돌출턱의 내부에 설치되고 돌출턱의 내경에 유지링이 설치되도록 하는 편수관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외형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에 대한 일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과 연결 플랜지를 연결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편수관을 전기 융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수관 2 : 연결 플랜지
3 : 합성수지관 4 : 돌출턱
5 : 유지링 6, 6' : 융착라스
7 : 구멍 8 : 단자
9 : 전기 융착기 12 : 융착면
본 고안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이중벽관으로 스크류형의 나선이 성형되는 합성수지관(3)을 일정한 길이(대개 6M 정도)로 절단한다.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합성수지관(3)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 플랜지(2)는중앙에 돌출턱(4)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일자형의 내경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내경과 돌출턱(4)의 양측에는 융착라스(6)(6')가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제조한다.
융착라스(6)(6')에는 각각 대각선 방향의 2곳에 단자(8)가 연결되어 있으며, 단자(8)의 주변에는 구멍(7)을 형성하여 전기 융착기(9)의 리드선(10)에 형성된 잭(11)을 꽂아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돌출턱(4)의 내경에는 연결 플랜지(2)의 폭보다 좁게 유지링(5)을 형성하되 주로 금속소재나 열에도 쉽게 용융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한다.
합성수지관(3)의 일측 융착면(12)을 깨끗하게 청소하여 연결 플랜지(2)의 일측을 삽입하여 조립하며, 할 수 있으면 외측에서 조임장치를 이용하여 안으로 강하게 조여준다.
이때 전기 융착기(9)에 연결된 리드선(10)의 잭(11)을 구멍(7)에서 단자(8)에 연결시켜 융착라스(6')와 연결되도록 하여 전기 융착기(9)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기 융착기(9)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리드선(10)과 잭(11)을 통하여 구멍(7)에 있는 단자(8)에 공급된다.
단자(8)를 통하여 융착라스(6)에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융착라스(6)가 전체면에서 전류가 공급되므로 발열되기 시작한다.
융착라스(6)가 발열되어 융착라스(6)와 접촉되는 연결 플랜지(2)의 내경과 합성수지관(3)의 융착면(12)이 용융된다.
연결 플랜지(2)의 내경과 합성수지관(3)의 융착면(12)이 용융점에 도달하게 되면 전기 융착기(9)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일정한 시간을 경과시키면응고되어 연결 플랜지(2)와 합성수지관(3)이 일체형으로 융착된다.
이때 용융되는 용융물은 하측으로 흐르려고 하는 성질이 있으나 돌출턱(4)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유지링(5)이 용융물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내부에 그대로 남아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 플랜지(2)와 합성수지관(1)의 내경이 손상됨 없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 플랜지(2)와 합성수지관(3)이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편수관 (1)을 성형시켜 공급한다.
편수관(1)이 공급되면 현장에서는 융착면(12)이 융착되지 않은 부분을 연결 플랜지(2)의 융착라스(6)가 있는 부분에 조립한다.
편수관(1)의 합성수지관(3)이 연결 플랜지(2)의 내부에 삽입되면 유지링(5)의 외측으로 합성수지관(3)이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것이며, 유지링(5)의 외경과 연결 플랜지(2)의 내경에 정확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전기 융착기(9)의 잭(11)을 구멍(7)에서 단자(8)와 연결시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이 공급되면 융착라스(6)가 전류에 의하여 발열되면서 연결 플랜지(2)의 내경과 합성수지관(3)의 외경을 용융시키게 되므로 융점에 이르게 되면 전기 융착기(9)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전기 융착기(9)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용융물이 응고되면서 연결 플랜지(2)와 합성수지관(3)이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융착라스(6)의 양측에서 용융된 용융물은 유지링(5)에 의하여 합성수지관(3)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현장에서 편수관(1)을 연속해서 연결시키는 경우에도 편수관(1)의 한쪽면을 연결 플랜지(2)에 조립하여 전원의 공급으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전체면에서 골고루 융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융착라스(6)(6')는 철판을 공급하면서 열을 가하며 타공하여 당기면서 망과 같이 성형된 것이므로 모두 한선으로 연결된 것과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면 전체면에서 골고루 용융되는 동시에 연결 플랜지(2)와 합성수지관(3)이 동시에 용융되므로 용융된 후 응고되면 일체형으로 균일하게 융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제조한 후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합성수지관의 일측에서 연결 플랜지의 내부에 형성된 융착라스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며 누수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편수관을 공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연결 플랜지와 편수관이 함께 용융되면서 융착되어 연결 플랜지와 합성수지관이 전체면에서 균일하고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편수관의 일측을 삽입한 후 전기 융착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작업하고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연결 플랜지의 돌출턱에 유지링이 설치되어 합성수지관을 융착 연결시킬 때 발생되는 용융물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내부가 청결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현장에서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킨 후 전원의 공급 후 응고하는 과정을 통하여 전체면에서 균일하게 연결되는 작업을 짧은 시간내에 신속하게 수행하므로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이중벽관으로 형성되는 합성수지관(3)의 양 선단을 전기 융착 방법으로 연결시키는 편수관에 있어서,
    내경의 양측으로 융착라스(6)(6')가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외부의 잭(11)이 연결되는 구멍(7)에 설치된 단자(8)와 연결되며 융착라스(6)(6')의 중앙에 돌출턱(4)이 형성되어 내경에 연결 플랜지(2)의 폭보다 좁게 유지링(5)을 설치하고 융착라스(6)(6')와 유지링(5)의 사이에 합성수지관(3)이 양측으로 연결되는 연결 플랜지(2)와,
    상기 연결 플랜지(2)의 일측으로 합성수지관(3) 일측면에 형성되는 융착면(12)이 삽입되어 단자(8)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으로 융착라스(6')의 양측이 용융되어 연결 플랜지(2)와 합성수지관(3)의 융착면(12)이 용융되어 일체형이 되도록 하는 편수관(1)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 융착 편수관.
KR2020010000699U 2001-01-11 2001-01-11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 융착 편수관 KR200234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699U KR200234282Y1 (ko) 2001-01-11 2001-01-11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 융착 편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699U KR200234282Y1 (ko) 2001-01-11 2001-01-11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 융착 편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282Y1 true KR200234282Y1 (ko) 2001-09-25

Family

ID=7306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699U KR200234282Y1 (ko) 2001-01-11 2001-01-11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 융착 편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2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30A (ko) * 2001-11-07 2003-05-16 박기종 관 연결구
KR20030048231A (ko) * 2001-12-11 2003-06-19 박기종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30A (ko) * 2001-11-07 2003-05-16 박기종 관 연결구
KR20030048231A (ko) * 2001-12-11 2003-06-19 박기종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4282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 융착 편수관
KR100488494B1 (ko)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6757A (ko) 합성수지관 융착구조
KR200203024Y1 (ko)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KR200201936Y1 (ko) 연결소켓을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KR200220089Y1 (ko) 플랜지형 합성수지관의 안전 연결구조
JP4603680B2 (ja) 熱可塑性樹脂製管継手の溶着確認方法
KR100343527B1 (ko) 열융착 연결구
JPH1137374A (ja) 電気融着式配管部材及び電気融着式配管部材の製造方法
KR200426191Y1 (ko) 관 이음매 구조
KR0125616B1 (ko) 상수도용 합성수지관의 이음관 접합방법
KR200313859Y1 (ko) 융착 칼라 피이 관
KR100433094B1 (ko) 이중벽관 연결용 융착 편수관의 제조방법
KR100715393B1 (ko)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KR200261585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발열부싱
KR200378645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시트
CN210484958U (zh) 一种感应热熔管连接接头
KR100538314B1 (ko) 피이 직타입 편수 칼라
KR200344542Y1 (ko) 관이음구
KR200268378Y1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184253Y1 (ko) 관 연결용 융착구조
JP3749062B2 (ja) 熱可塑性樹脂製管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KR200174640Y1 (ko) 합성수지재관 이음관(A joint member of synthetic resin tube)
KR100556129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253938Y1 (ko) 합성수지관용 분기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