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494B1 -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494B1
KR100488494B1 KR1020040028727A KR20040028727A KR100488494B1 KR 100488494 B1 KR100488494 B1 KR 100488494B1 KR 1020040028727 A KR1020040028727 A KR 1020040028727A KR 20040028727 A KR20040028727 A KR 20040028727A KR 100488494 B1 KR100488494 B1 KR 100488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sheet member
tube
resin tub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윤
Original Assignee
손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윤 filed Critical 손정윤
Priority to KR102004002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4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관이나 상, 하수도관을 연결하여 수밀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 성형되어 압출되는 시트부재를 원형으로 감아서 관과 같이 연결시킨 후 한쪽을 합성수지관과 융착시켜 편수칼라로 제조하거나 현장에서 합성수지관의 한쪽을 연결시킨 후 반대편에서 합성수지관을 원터치형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통하여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600)의 일측으로 삽입되며 메쉬(210)가 설치되어 합성수지관(600)과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연결부(200)와, 상기 연결부(200)의 일측으로 돌출된 턱(400)을 갖고 다수의 수밀돌기(510)를 갖는 패킹(500)이 삽입되는 결합홈(310)을 형성하여 압출되는 시트부재(300)와 , 상기 시트부재(300)가 합성수지관(600)의 규격에 맞게 절단되어 원형으로 말아진 후 연결면(100)에서 관형태로 연결되고 합성수지관(610)이 원터치방식으로 삽입되는 연결관(1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A plastic pipe for connecter to us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고안은 수도관이나 상, 하수도관을 연결하여 수밀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 성형되어 압출되는 시트부재를 원형으로 감아서 관과 같이 연결시킨 후 한쪽을 합성수지관과 융착시켜 편수칼라로 제조하거나 현장에서 합성수지관의 한쪽을 연결시킨 후 반대편에서 합성수지관을 원터치형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통하여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도관이나 상, 하수도관으로 제공되는 합성수지관은 이동 및 보관의 문제로 인하여 약6미터의 길이로 생산하게 된다.
생산된 합성수지관은 주로 지하에 매설되는 것이므로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분에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연결방법으로는 시트융착법과 맞대기 융착법과 같은 융착방법, 그리고 합성수지관을 금형에 조립시켜 금형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에 연결구를 사출성형하는 편수관을 이용한 연결방법, 원통형의 관을 성형한 후 그 양쪽으로 합성수지관을 조립하여 연결하는 관 연결방법, 절반으로 관을 이등분한 후 선단의 양측에서 볼트와 너트와 같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커플링 연결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상기 융착방법은 일측으로 메쉬(라스)를 이용하여 융착기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열되는 메쉬의 주변이 용융되도록 하여 융착시키는 방법으로 발전기와 융착기 및 시트를 감싸서 고정시키기 위한 도구를 필요로 하여 준비해야하는 장비가 많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결점이 있으며, 우천시에나 물 속에서는 작업의 수행이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또한 편수관을 이용한 연결방법은 합성수지관의 일측을 금형에 조립시킨 후 합성수지관과 일체형이 되도록 편수관을 사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므로 편수관의 사출에 소요되는 시간의 소모가 많아지는 결점이 있으므로 생산성이 저하된다.
또한 관 연결방법은 합성수지관의 크기에 맞는 연결관을 사출로 성형하고 그 내부에 패킹이나 조립구조를 제공하여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합성수지관의 크기에 맞는 연결관을 사출하기 위해서는 사출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소모되어 생산성이 낮은 결점이 있고, 연결관을 사출하기 위한 다양한 관의 규격에 따르는 금형을 준비해야 하므로 금형의 준비에 따른 비용의 소모가 많아지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관은 압출되는 관경이 작은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와인더에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연결부재를 공급하여 연결되는 과정으로 성형되므로 관경이 일정하지 않아 성형된 연결관과 조립된 이후에 오차가 심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므로 수밀의 보장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커플링 연결방법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원주방향에서 조립하는 것이므로 지면(하측)에 위치하는 볼트와 너트의 조립이 매우 어렵고, 작업이 불편하며 접촉되는 전체면에서의 균일한 압력으로 조임력이 제공되지 않아서 수밀유지가 잘 되지 않는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생산성이 높고 연결작업이 신속하면서 수밀이 보장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압출되는 일정한 형태의 시트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이를 회전되는 로울러 또는 원통에 감아 원형으로 성형하여 만나는 부분을 용접하여 원형으로 관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형으로 성형된 관의 일측으로 메쉬를 넣어 합성수지관과 융착하는 방법으로 연결하거나 스핀 웰딩 방법 또는 열수축 방법으로 연결하여 편수칼라로 제조하여 반대편에서 합성수지관을 원터치형으로 삽입하여 합성수지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을 삽입한 후 수밀을 보장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여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시키면서 금형으로 통하여 시트부재가 연속해서 압출되는 시트부재 압출과정과,
압출된 시트부재를 합성수지관의 외경에 맞는 길이로 절단하는 시트부재 절단과정과,
절단된 시트부재의 연결부에 합성수지관과 연결하기 위한 메쉬나 열선을 일체형으로 성형하고 단자가 돌출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성형과정과,
절단된 시트부재를 원형으로 말아서 만나는 부분에 시트부재와 동일한 재질로 연결면을 연결시켜 원형으로 성형하는 연결관 성형과정과,
연결관의 일측 연결부에 합성수지관을 삽입한 후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메쉬 또는 열선의 발열을 통하여 합성수지관과 연결부가 일체형이 되도록 연결하는 편수칼라 성형과정과,
편수칼라로 성형된 합성수지관에는 연결관이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시트부재의 내경으로 합성수지관을 원터치형으로 삽입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금형에서 압출하는 방법으로 시트부재(300)를 성형하는 것이며, 그 시트부재(300)는 한쪽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상측으로 돌출된 턱(400)이 형성되어 있고, 그 턱(400)의 일측에는 연결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시트부재(300)의 턱(400) 일측에는 결합홈(310)과 같이 패킹(500)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압출되는 시트부재(300)는 합성수지관(600, 610)의 지름에 따라서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도 1 과 같이 압출된 시트부재(300)를 절단하고, 연결부(200)에는 도 2 와 같이 전체면에 메쉬(210)가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설치하며 그 메쉬(210)의 양측으로 단자(220)가 연결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메쉬(210)가 설치된 연결부(200)와 시트부재(300)는 도 3 과 같이 서로 회전속도가 다른 로울러 또는 금형을 통하여 원형으로 감겨진 후 서로 만나는 부분에 시트부재(300)와 동일한 재질의 수지를 공급하여 도 4 와 같이 연결면(110)에서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관(100)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200)에는 메쉬(210)를 대신하여 열선(23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열선(230)이 삽입된 주변이 열수축부(240)가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메쉬(210)가 설치된 연결관(100)은 시트부재(300)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원형으로 감아 연결면(110)을 융착시켜 연결되는 것이어서 합성수지관(600, 610)의 관경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홈(310)에 설치되는 패킹(500)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연결관(100)이 성형된 이후에 삽입하여 설치되는 것이며, 내경방향으로 수밀돌기(510)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수개가 돌출되어 있고, 합성수지관(610)이 삽입되면서 안쪽으로 꺾이면서 조립된 후 합성수지관(610)이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100)의 연결부(200)에는 합성수지관(600)을 삽입하여 턱(400)에 걸릴 때까지 진입시킨 후 단자(220)에 전원을 공급하여 메쉬(210)가 발열되도록 하여 연결부(200)와 합성수지관(600)의 외경이 용융되어 일체형으로 융착되는 것이다.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600)에는 메쉬(210)를 통하여 연결부(200)가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전방으로 결합홈(310)에 패킹(500)이 설치된 편수칼라가 성형된다.
따라서 합성수지관(600, 61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합성수지관(610)을 원터치형으로 삽입하기만 하면 패킹(500)의 수밀돌기(510)에 의하여 수밀이 유지되는 것이며, 누구나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200)에 아무런 구성이 제공되지 않도록 원형으로 말아서 연결면(110)과 같은 연결방법을 통하여 연결관(120)을 성형한 후 합성수지관(600)을 삽입하여 턱(400)에 걸리면 외측의 웰딩부(220)에서 스핀 웰딩방법을 통하여 합성수지관(600)에 연결관(120)이 일체형으로 편수칼라와 같이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120)에는 합성수지관(600, 610)을 연결할 때 합성수지관(610)을 원터치방식으로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200)에 열선(230)이 삽입된 열수축부(240)를 성형하여 합성수지관(600)을 연결부(200)에 삽입하여 턱(400)에 걸리면 열선(230)에 전류를 공급하게 되며, 공급되는 전원으로 열선(230)이 발열되면서 연결부(200)의 외경이 수축되어 합성수지관(600)이 연결구(110)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편수칼라와 같이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110)에는 합성수지관(600, 610)을 연결할 때 합성수지관(610)을 원터치방식으로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경의 전체면에 열선(240)이 삽입된 열수축관(130)을 성형하여 합성수지관(600, 610)을 양측에서 삽입한 후 열선(240)에 전원을 공급하면 열수축관(130)의 외경 전체면이 열원에 의하여 서서히 수축되면서 합성수지관(600, 610)을 외경에서 감싸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9 와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재(300)의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홈(330)을 성형하고 외측에는 요홈(340)을 성형한다.
연결부(200)는 메쉬(210)를 이용하거나 웰딩부(220) 및 열선(230)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합성수지관(600)을 일체형으로 연결시키고 반대편에서 합성수지관(610)을 삽입시킨 후 요홈(340)에 고정밴드(700)를 감아서 일부분에서 볼트와 너트로 고정밴드(700)를 조이도록 한다.
그러면 고정밴드(700)의 조임력이 요홈(340)에서 시트부재(300)에 전달되므로 절개홈(330)이 오므라들면서 합성수지관(610)의 외경에 조임력을 전달하면서 패킹(500)의 조임력을 향상시켜 안정된 수밀을 보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7 과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600, 610)을 연결시킬 때 합성수지관(610)을 원터치방식으로 조립만 하면 되는 것이므로 현장에서 간편하게 합성수지관(600, 610)을 조립하여 연결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연결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합성수지관(610)이 원터치방식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외경의 패킹(500)에 형성된 수밀돌기(510)가 다수의 외경에서 수밀을 유지하므로 안정된 수밀이 보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합성수지관(600, 610)이 온도에 따른 열팽창계수에 의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는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합성수지관(610)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열팽창계수에 의한 연결관(100, 110, 120) 또는 그 주변이 손상되어 발생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600, 610)을 생산하는 장소에서 연결관(100, 110, 120)을 통하여 편수칼라와 같이 연결부(200)를 연결시키는 작업을 종료한 후 결합홈(310)에 패킹(500)을 고정시킨 상태로 현장에 공급되어 반대쪽에서 조립하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연결부(200)를 연결시키지 않고 연결관(100, 110, 120, 130)을 현장에 공급하여 합성수지관(600, 610)을 양측으로 삽입시킨 후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1) 시트부재 압출과정
합성수지를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시키면서 금형으로 통하여 시트부재(300)가 연속해서 압출되도록 한다.
(2) 시트부재 절단과정
압출된 시트부재(300)를 합성수지관(600, 610)의 외경에 맞는 길이로 절단한다.
(3) 연결부재 성형과정
절단된 시트부재(300)의 연결부(200)에 합성수지관(600)과 연결하기 위한 메쉬(210)나 열선(230)을 일체형으로 성형하고 단자(220)가 돌출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성형한다.
(4) 연결관 성형과정
절단된 시트부재(300)를 원형으로 말아서 만나는 부분에 시트부재(300)와 동일한 재질로 연결면(110)을 연결시켜 원형의 연결관을 성형한다.
(5) 편수칼라 성형과정
연결관의 일측 연결부(200)에 합성수지관(600)을 삽입한 후 단자(220)에 전원을 공급하여 메쉬(210) 또는 열선(230)의 발열을 통하여 합성수지관(600)과 연결부(200)가 일체형이 되도록 연결하여 편수칼라를 성형한다.
(6) 합성수지관 연결과정
편수칼라로 성형된 합성수지관(600)에는 연결관(100, 110)이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시트부재(300)의 내경으로 합성수지관(610)을 원터치형으로 삽입하여 합성수지관(600, 610)을 연결한다.
[실시예 2]
실시예1의 편수칼라 성형과정을 연결부(200)에 합성수지관(600)을 삽입한 후 스핀 웰딩방법으로 웰딩부(220)를 성형하여 합성수지관(600)과 연결부(200)가 일체형이 되도록 연결하여 편수칼라를 성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3]
실시예1의 합성수지관 연결과정을 시트부재(300)의 내경으로 합성수지관(610)을 원터치형으로 삽입하여 합성수지관(600, 610)을 연결한 후 요홈(340)에 고정밴드(700)를 감아 볼트와 너트로 고정밴드(700)를 고정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출되는 일정한 형태의 시트부재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이를 회전되는 로울러 또는 원통에 감아 원형으로 성형하여 만나는 부분을 용접하여 원형으로 연결관으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관을 시트부재를 절단하여 성형하는 것이므로 합성수지관의 생산규격에 따라 오차가 거의 없는 정확한 연결관을 성형시킬 수 있는 것이며, 연결관을 사출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원가가 저렴하게 소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형으로 성형된 관의 일측으로 메쉬를 넣어 합성수지관과 융착하는 방법으로 연결하거나 스핀웰딩 방법 또는 열수축 방법으로 연결하여 편수칼라로 제조하여 반대편에서 합성수지관을 원터치형으로 삽입하여 합성수지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트부재를 원형으로 말아서 연결관을 성형시키는 것이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며, 합성수지관의 연결현장에서 합성수지관을 연결시켜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기구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을 계절이나 날씨 상황에 관계없이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을 삽입한 후 수밀을 보장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여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도 1 에 대한 메쉬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도 2 에 대한 성형상태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도 2 에 대한 성형 완료상태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도 1 에 대한 연결 완료상태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도 9 에 대한 조립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0, 120 : 연결관 130 : 열수축관
200 : 연결부 210 : 메쉬
220 : 웰딩부 230, 240 : 열선
300 : 시트부재 310 : 결합홈
330 : 절개홈 340 : 요홈
400 : 턱 500 : 패킹
510 : 수밀돌기 600, 610 : 합성수지관
700 : 고정밴드

Claims (8)

  1. 원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메쉬(210)와 패킹(500)이 삽입되어 합성수지관(600)에 설치된 후 반대편에서 합성수지관(610)이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관에 있어서,
    합성수지를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시키면서 금형을 통하여 연결부(200)와 시트부재(300)가 턱(400)으로 구분되며 상기 시트부재(300)의 내부에 결합홈(310)이 형성된 시트부재(300)가 압출되도록 하는 시트부재 압출과정과;
    상기 압출된 시트부재(300)를 합성수지관(600)의 외경에 맞는 길이로 절단하는 시트부재 절단과정과;
    상기 절단된 시트부재(300)를 원형으로 말아서 만나는 부분에 시트부재(300)와 동일한 재질로 연결면(110)을 연결시켜 원형이 되도록 성형하는 연결관 성형과정을 통하여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40028727A 2004-04-26 2004-04-26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488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727A KR100488494B1 (ko) 2004-04-26 2004-04-26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727A KR100488494B1 (ko) 2004-04-26 2004-04-26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774U Division KR200367160Y1 (ko) 2004-08-10 2004-08-10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8494B1 true KR100488494B1 (ko) 2005-05-16

Family

ID=3730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727A KR100488494B1 (ko) 2004-04-26 2004-04-26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49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448B1 (ko) 2012-05-15 2012-08-07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상하수도관 결합용 연결소켓의 성형방법
KR101170447B1 (ko) 2012-05-15 2012-08-07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상하수도관용 연결소켓의 성형방법
KR101656219B1 (ko) 2015-12-17 2016-09-13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성형장치
KR101656217B1 (ko) 2015-12-17 2016-09-13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연결방법
KR101676737B1 (ko) 2015-12-17 2016-11-18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결합장치
KR101676735B1 (ko) 2015-12-17 2016-11-18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KR101676739B1 (ko) 2015-12-17 2016-11-18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KR102202155B1 (ko) 2020-05-29 2021-01-14 일우산업 주식회사 내진형 합성수지관 연결방법과 그 연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448B1 (ko) 2012-05-15 2012-08-07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상하수도관 결합용 연결소켓의 성형방법
KR101170447B1 (ko) 2012-05-15 2012-08-07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상하수도관용 연결소켓의 성형방법
KR101656219B1 (ko) 2015-12-17 2016-09-13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성형장치
KR101656217B1 (ko) 2015-12-17 2016-09-13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연결방법
KR101676737B1 (ko) 2015-12-17 2016-11-18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결합장치
KR101676735B1 (ko) 2015-12-17 2016-11-18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KR101676739B1 (ko) 2015-12-17 2016-11-18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KR102202155B1 (ko) 2020-05-29 2021-01-14 일우산업 주식회사 내진형 합성수지관 연결방법과 그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494B1 (ko)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367160Y1 (ko)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KR100721938B1 (ko) 이중벽 하수관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203024Y1 (ko)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KR100854411B1 (ko)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365601Y1 (ko)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
KR20030042773A (ko) 신축성 파이프를 이용한 수지관 연결소켓의 제조방법 및구조
KR200203747Y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구조
KR100572017B1 (ko) 수축망과 가교시트를 이용한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538314B1 (ko) 피이 직타입 편수 칼라
KR200201936Y1 (ko) 연결소켓을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KR20060106471A (ko) 원터치 방식의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KR100556129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332326Y1 (ko) 열수축선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KR200378645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시트
KR20060106470A (ko) 원터치 방식의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200310127Y1 (ko) 피이 직타입 편수 칼라
KR20060120327A (ko) 합성수지관 연결부재 성형방법 및 그 구조
CN112879684B (zh) 一种钢带增强承插式波纹管及其制造方法
CN217540056U (zh) 一种管道连接头及管道连接系统
KR20050054234A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 및 그 제조장치
KR200261585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발열부싱
KR20040107981A (ko) 열수축선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740259B1 (ko) 하수관 연결용 발열부재와 이를 이용한 연결구 및 그제조장치
KR101306953B1 (ko) 매설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의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