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601Y1 -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601Y1
KR200365601Y1 KR20-2004-0021660U KR20040021660U KR200365601Y1 KR 200365601 Y1 KR200365601 Y1 KR 200365601Y1 KR 20040021660 U KR20040021660 U KR 20040021660U KR 200365601 Y1 KR200365601 Y1 KR 200365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wall
screw
male
female
wal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건
Original Assignee
김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건 filed Critical 김학건
Priority to KR20-2004-0021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6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0Adhesive or cement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6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 F16L15/007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with more than one threaded s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사각형 또는 원형의 구멍이 하나 또는 다수개 성형되는 이중벽 관을 성형할 때 양쪽으로 암나사 또는 숫나사를 성형하여 이중벽 관을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의 양측으로 암나사와 숫나사가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이중벽 관이 서로 조립되는 부분에 나사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전원으로 나사조립되는 부분을 융착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일측으로 외경을 가공하여 숫나사 돌출부(190)가 형성된 숫나사부(140)를 성형하고, 그 숫나사부(140)의 반대편에 내경을 가공하여 암나사 돌출부(200)가 형성된 암나사부(150)를 성형한 이중벽관(100, 110)과;
상기 숫나사부(140)나 암나사부(150)에 조립되며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양 선단에 단자(180)가 돌출되는 나사 연결부재(17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Double wall pipe connection structure of screw connection method}
본 고안은 내부에 사각형 또는 원형의 구멍이 하나 또는 다수개 성형되는 이중벽 관을 성형할 때 양쪽으로 암나사 또는 숫나사를 성형하여 이중벽 관을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의 양측으로 암나사와 숫나사가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이중벽 관이 서로 조립되는 부분에 나사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전원으로 나사조립되는 부분을 융착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중벽관은 내부에 사각형 또는 원형의 중공(160)이 하나 또는 다수개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압출장치에서 압출한 후 냉각장치를 통과하면서 냉각시킨 후 파이프 성형장치의 와인더장치에 나사식으로 공급할 때 프로파일의 사이에 이음 압출장치의 이음노즐에서 용융수지가 공급되어 평활한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성형하게 된다.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성형하면서 약 6미터의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보관 및 이송하게 되며,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터파기를 한 후 다양한 연결구를 이용하여 이중벽관을 연결시켜 나가게 된다.
그러나 이중벽관을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시트의 내부에 메쉬를 설치하여 외부에서의 전원공급을 이용한 열융착방법이나, 합성수지관의 양측으로 플랜지를 설치하여 일측으로 메쉬를 설치하여 전원의 공급을 이용한 열융착방법 및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플랜지 연결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이중벽관의 일측으로 편수관을 웰딩하는 방법으로 연결시키거나 이중벽관의 일측에 편수관을 일체형으로 사출하는 방법으로 연결하는 연결방법 등 다양한 연결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양한 연결방법은 이중벽관을 그대로 두거나 이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이므로 별도의 연결구를 준비해야 하거나, 이중벽관에 별도의 연결구를 설치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므로 연결구를 준비하기 위한 비용의 소모가 많았다.
그리고 연결구가 고가로 소모되므로 공사비용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었으며, 연결구를 잘못 설치하는 경우에는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되어 토양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중벽관을 성형하면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는 것에 기인하여 일측의 끝부분 내벽을 가공하여 암나사부를 성형하고 반대편의 끝부분 외벽을 가공하여 숫나사부를 성형하여 이중벽 관을 성형함으로써 관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별도의 가공과정을 거치지 않고 이중벽관을 성형하면서 내벽과 외벽을 가공하여 이중벽 관을 성형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숫나사 또는 암나사가 결합되는 부분의 어느 한쪽에 나사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숫나사부와 암나사부가 결합되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나사 연결부분이 융착되거나 발포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으로 외경을 가공하여 숫나사 돌출부가 형성된 숫나사부를 성형하고, 그 숫나사부의 반대편에 내경을 가공하여 암나사 돌출부가 형성된 암나사부를 성형한 이중벽관과;
상기 숫나사부나 암나사부에 조립되며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양 선단에 단자가 돌출되는 나사 연결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이중벽관에 대한 일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에 대한 상세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이중벽관의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0, 120, 130 : 이중벽 관 140 : 숫나사부
150 : 암나사부 160 : 중공
170 : 나사 연결부재 180 : 단자
190 : 숫나사 돌출부 200 : 암나사 돌출부
본 고안은 도시하지 않은 통상적인 프로파일 압출장치에 원료가 공급되어 용융된 후 내부에 하나의 사각형 중공(160)이 형성되거나 다수의 사각형이나 원형 또는 다각형의 중공이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압출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 압출장치의 전방에는 진공상태 또는 냉매나 냉수가 공급되어 있어서 압출되는 프로파일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각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각장치의 전방에는 프로파일이 나선형으로 안내되면서 공급되는 파이프 성형장치가 설치된다.
파이프 성형장치는 전방으로 다수의 로울러가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그 외측으로 프로파일이 나선형으로 안내되는 와인더장치가 설치되며, 그 상측으로이음 압출장치에서 용융된 수지가 이음노즐을 통하여 프로파일의 사이에 공급되어 평활한 이중벽 관(100, 110)이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내부에 중공(160)이 성형되는 관이 성형되어 와인더장치의 전방으로 이송될 때 커팅 머시인을 통하여 이중벽 관(100, 110)이 성형되는 것이다.
이중벽 관(100, 110)이 성형되는 과정에서 도시하지 않은 전용기를 이용하여 이중벽관(100, 110)의 외경 일부를 가공하여 숫나사부(140)를 성형하고, 숫나사부(140)의 반대편 내경 일부를 가공하여 암나사부(15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숫나사부(140)와 암나사부(150)는 이중벽 관(100, 110)을 피치의 6∼10배에 해당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숫나사부(140)와 암나사부(150)를 가공하는 경우에는 관벽두께의 약22∼35%를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중벽 관(100, 110)을 성형하면서 한쪽의 외경을 가공하여 숫나사부(140)를 성형하면 중공(160)에 의하여 외측으로 숫나사 돌출부(190)가 나사식으로 형성되어 나사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며, 반대편의 내경을 가공하여 암나사부(150)를 성형하면 중공(160)에 의하여 내측으로 암나사 돌출부(200)가 나사식으로 형성되어 나사산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숫나사부(140)와 암나사부(150)를 서로 회전시키면 곧바로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숫나사부(140)와 암나사부(150)를 그대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결합부분이 중공(160)으로 인하여 밀폐되지 않게 되므로 숫나사 돌출부(190) 또는 암나사 돌출부(200)의 형태를 따라서 성형되는 나사 연결부재(170)를 형성하고. 그 나사연결부재(170)의 양측으로 단자(180)를 연결한다.
상기 나사 연결부재(170)는 숫나사부(140) 또는 암나사부(150)의 어느 일부분에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미리 고정시켜 놓는다.
그리고 이중벽 관(100, 110)을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이중벽 관(100)의 암나사부(150)에 이중벽 관(110)의 숫나사부(140)를 맞대어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도 3 과 같이 상호 나사식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숫나사부(140)와 암나사부(150)가 나사식 결합되어 이중벽관(100, 110)이 결합되면 외부에서 단자(180)에 전류를 공급하여 나사 연결부재(170)를 발열시켜 나사 연결부재(170)와 접촉되는 숫나사 돌출부(190)와 암나사 돌출부(200)가 용융되어 도 4 와 같이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나사 연결부재(170)는 메쉬와 같은 열선이 삽입되어 있도록 하거나, 전류가 통전되어 발열이 가능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 발포재를 사용하여 용융되어 결합되지 않고 발포하는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 5 와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숫나사부(140)만 성형하여 연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중벽 관(100)의 내부를 가공하여 내부에 암나사산(310)이 형성된 연결구(300)를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300)에는 나사 연결부재(170)를 나사식으로 결합하고 이중벽 관(120, 130)의 숫나사부(140)를 상호 결합하여 연결구(300)의 내부에 숫나사부(140)가 결합되도록 한다.
나사 연결부재(170)의 단자(180)에 전원을 공급하여 나사 연결부재(170)의 발열에 의한 용융연결방식을 사용하거나 나사 연결부재(170)의 발포에 의한 연결방식으로 이중벽 관(120, 130)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중벽관을 성형하면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는 것에 기인하여 일측의 끝부분 내벽을 가공하여 암나사부를 성형하고 반대편의 끝부분 외벽을 가공하여 숫나사부가 자연적으로 성형되도록 하여 이중벽 관을 성형함으로써 관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별도의 가공과정을 거치지 않고 이중벽관을 성형하면서 내벽을 가공하여 암나사부를 성형하고 외벽을 가공하여 숫나사부를 성형하는 이중벽 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숫나사 또는 암나사가 결합되는 부분의 어느 한쪽에 나사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숫나사부와 암나사부가 결합되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나사 연결부분이 융착되거나 발포되어 누수가 방지되도록 안전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의 중공(160)이 형성되는 프로파일과 그 프로파일의 사이에 수지를 공급하여 성형되는 이중벽 관에 있어서,
    일측으로 외경을 가공하여 숫나사 돌출부(190)가 형성된 숫나사부(140)를 성형하고, 그 숫나사부(140)의 반대편에 내경을 가공하여 암나사 돌출부(200)가 형성된 암나사부(150)를 성형한 이중벽관(100, 110)과;
    상기 숫나사부(140)나 암나사부(150)에 조립되며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양 선단에 단자(180)가 돌출되는 나사 연결부재(17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나사 연결부재(170)는 열선 또는 발포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이중벽관(100, 110)의 양측에 모두 숫나사부(140)가 형성되어 암나사산(310)이 형성된 연결구(300)의 내부에서 나사 연결부재(170)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
KR20-2004-0021660U 2004-07-29 2004-07-29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 KR200365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660U KR200365601Y1 (ko) 2004-07-29 2004-07-29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660U KR200365601Y1 (ko) 2004-07-29 2004-07-29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601Y1 true KR200365601Y1 (ko) 2004-10-26

Family

ID=4935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660U KR200365601Y1 (ko) 2004-07-29 2004-07-29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6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750B1 (ko) * 2016-09-21 2017-04-05 김성식 엘에프아이디 벨로우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750B1 (ko) * 2016-09-21 2017-04-05 김성식 엘에프아이디 벨로우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5601Y1 (ko)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
KR100488494B1 (ko)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06470A (ko) 원터치 방식의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20060106471A (ko) 원터치 방식의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KR101111166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수도관
KR200203024Y1 (ko)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KR100787594B1 (ko) 플랜지 일체형 나사식 합성수지관
KR100538314B1 (ko) 피이 직타입 편수 칼라
KR20030042773A (ko) 신축성 파이프를 이용한 수지관 연결소켓의 제조방법 및구조
KR100758812B1 (ko) 나사식 연결하는 플랜지를 갖는 하수관
KR100774549B1 (ko) 나사식 연결하는 플랜지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수밀연결구조
KR100715393B1 (ko)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CN217540056U (zh) 一种管道连接头及管道连接系统
KR100892128B1 (ko) 나사연결 플랜지 관의 제조장치
KR101113813B1 (ko) 매설 연결용 하수관의 연결방법
KR100556129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367160Y1 (ko)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KR200378651Y1 (ko) 수도관의 이음 연결구조
KR101307151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의 연결방법
KR200310127Y1 (ko) 피이 직타입 편수 칼라
KR101306953B1 (ko) 매설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의 연결방법
KR100732154B1 (ko) 냉난방 배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120031728A (ko) 합성수지 나사관용 양면 결합형 슬리브 연결구조
KR100556123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339776Y1 (ko) 내/외압 강도를 향상시키는 합성수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