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024Y1 -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3024Y1 KR200203024Y1 KR2020000013595U KR20000013595U KR200203024Y1 KR 200203024 Y1 KR200203024 Y1 KR 200203024Y1 KR 2020000013595 U KR2020000013595 U KR 2020000013595U KR 20000013595 U KR20000013595 U KR 20000013595U KR 200203024 Y1 KR200203024 Y1 KR 20020302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fusion
- assembly
- fusion surface
- metal mesh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수관, 오·폐수관, 농업용수관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하수관을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융착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금속 메쉬망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안정된 융착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하수관을 연결시키는 여러 가지의 방법 중 플랜지를 하수관과 맞대기 융착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우며 고가이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수관(1)(1')의 일측으로 조립홈(8)에 패킹(10)이 삽입되어 있으며 내부에 융착면(4)이 형성되고 안쪽에서 돌출 융착면(5)을 형성하여 고정된 금속 메쉬망 (6)으로 융착되는 플랜지(2)와,
상기 하수관(1)(1')의 일측으로 조립홈(8)에 삽입되는 조립 돌출부(8')가 설치되며 내부에 융착면(4')이 형성되고 안쪽에서 돌출 융착면(5')을 형성하여 고정된 금속 메쉬망(6')으로 융착되는 조립 플랜지(3)로 구성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시공이 간편하고 저렴한 가격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우수관, 오·폐수관, 농업용수관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하수관을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융착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금속 메쉬망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안정된 융착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우수관, 오·폐수관, 농업용수관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하수관을 서로 접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열융착 접합하는 방법으로 맞대기 융착법, 시트융착법이 소개되었다.
이중 소켓 융착법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71392호는 합성수지관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통체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를 선택한 뒤 이를 맞추어 시공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고, 관의 각 단면이 어긋나거나 굴절된 상태에서의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구조는 제작 단계에서 한가닥의 포밍작업 공정을 통해 스파이럴 형상의 가열선으로 제작하고 이를 사출금형에 넣고 사출성형하여 완제품으로 제작 되므로서 가열선이 연결구 내측에 인서트되는 구조적 특징을 갖게된다.
따라서 제품을 성형하는데 있어서 관경에 따라 사출기의 용량이 커져야 한다는 단점과 이에 상응하는 제품 단가가 상당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99-17842호(99. 3. 15. 공개)는 합성수지 상,하수관의 양단부에 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2대의 압출기 또는 사출기 선단에 암수 플랜지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합성수지관을 성형한 후 연결용 플랜지를 다시 사출하기 위해서는 암수의 플렌지 성형용 토출헤드 금형과 이동금형을 설치하여 암,수 플랜지를 성형시키기 위해서는 압출기 또는 사출기 2대가 한조로 설치되므로 설치비의 소모가 많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맞대기 융착법은 하수관과 연결구를 독립되게 성형한 후 하수관에 연결구를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연결구에 원형의 링을 미리 삽입하고 하수관과 연결구가 맞닿는 부분인 융착부가 전원이 공급되는 열판을 통하여 용융되도록 한다.
열판을 통하여 하수관과 융착부를 용융시키고 열판을 분리한 후 용융된 부분을 맞대기 하여 하수관과 융착부가 융착되도록 한다.
하수관에 연결구의 융착이 완료되어 생산되며, 시공현장에서는 하수관을 맞대기 하여 연결구에 삽입된 양측의 링에 보울트와 너트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여 설치된다.
그러나 하수관과 융착부가 맞대기 할 때 정확한 관경을 일치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굴절된 상태의 불량을 발생시킬 확율이 높은 결점이 있다.
또한 하수관의 절단 단면상 중앙이 비어있는 요철부분이 제대로 융착되지 않아서 완벽한 맞대기 융착이 어려운 것이었다.
본 고안은 플랜지의 내부 융착면과 돌출융착면의 양측에 금속 메쉬망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합성수지관의 외측면과 맞닿는 면 등 전체면에서 균일하고 견고한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고안은 융착면에 양측으로 단자가 돌출되며 단자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금속 메쉬망이 발열되면서 플랜지와 합성수지관이 융착되도록 하되 특히, 절단면이 있는 요철부분에서도 융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하수관의 일측으로 조립홈에 패킹이 삽입되어 있으며 내부에 융착면이 형성되고 안쪽에서 돌출 융착면을 형성하여 고정된 금속 메쉬망으로 융착되는 플랜지와,
상기 하수관의 일측으로 조립홈에 삽입되는 조립 돌출부가 설치되며 내부에 융착면이 형성되고 안쪽에서 돌출 융착면을 형성하여 고정된 금속 메쉬망으로 융착되는 조립 플랜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상,하수관을 연결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상,하수관 우측부분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3 는 본 고안의 상,하수관 좌측부분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4 은 본 고안의 상,하수관에 플랜지를 융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5 은 본 고안의 상,하수관을 연결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합성수지관 2 : 플랜지
3 : 조립플랜지 4, 4' : 융착면
5, 5' : 돌출융착면 6, 6' : 금속 메쉬망
7, 7' : 돌출부 8 : 조립홈
8' : 조립 돌출부 9, 9' : 구멍
10, 10' : 패킹 11, 11' : 리드와이어
본 고안은 내부에 사각형의 중공구멍이 형성되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이중벽관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1)(1')과 플랜지(2) 및 조립 플랜지(3)를 독립적인 방법으로 생산하여 합성수지관(1)(1')의 양측에 플랜지(2)와 조립 플랜지(3)를 융착하는 방법으로 고정시켜 생산함으로써 시공현장에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관(1)(1')은 스파이럴형으로 생산되며, 플랜지(2)와 조립 플랜지(3)는 사출을 통하여 생산된다.
플랜지(2)는 외부에 보울트(12)와 너트(13)가 관통되는 구멍(9)을 통하여 체결되는 돌출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의 일측으로 융착면(4)이 형성되고 안쪽에서는 돌출 융착면(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융착면(4)과 돌출 융착면(5)에는 전기가 전체면에 골고루 통하는 금속 메쉬망(6)이 고정되어 있으며 양측으로 리드와이어(11)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2)의 내부에는 조립홈(8)이 형성되고, 조립홈(8)의 일부분에 패킹(1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조립 플랜지(3)는 외부에 보울트(12)와 너트(13)가 관통되는 구멍(9')을 통하여 체결되는 돌출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의 일측으로 융착면(4')이 형성되고 안쪽에서는 돌출 융착면(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융착면(4)(4')과 돌출 융착면(5)(5')에는 전기가 전체면에 골고루 통하는 금속 메쉬망(6)(6')이 고정되어 있으며 양측으로 리드와이어(11)(11')가 돌출되어 있다.
융착면(4)(4')과 돌출 융착면(5)(5')에 고정되는 금속 메쉬망(6)(6')은 수지로 사출되는 플랜지(2)와 조립 플랜지(3)의 성형과 동시에 성형할 수 있으며, 플랜지(2)와 조립 플랜지(3)의 성형 후 융착면(4)(4')과 돌출 융착면(5)(5')에 금속 메쉬망(3)(3')이 일체형으로 박혀져서 고정되도록 한다.
플랜지(2)는 주로 합성수지관(1)의 우측에 일체형으로 융착되는 것으로 내부에 암놈 역할을 하는 조립홈(8)을 형성하며, 조립 플랜지(3)는 합성수지관(1)의 좌측에 일체형으로 융착되는 것으로 좌측으로 조립홈(8)에 삽입되는 숫놈 역할을 하는 조립 돌출부(8')를 설치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플랜지(2)와 조립 플랜지(3)는 사출성형 후 융착면(4)(4')과 돌출 융착면(5)(5')에 금속 메쉬망(3)이 박혀져서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금속 메쉬망(3)을 대고 유압프레스로 작업하거나 로울러를 이용하여 박혀져 있도록 작업하는 것이다.
즉, 융착면(4)(4')과 돌출 융착면(5)(5')에 금속 메쉬망(6)(6')이 박혀 있어서 금속 메쉬망(6)(6')에 돌출된 리드와이어(11)(11')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융착면(4)(4')과 돌출 융착면(5)(5')의 전체면이 금속 메쉬망(6)(6')의 전류를 통하여 일정하게 용융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융착면(4)(4')과 돌출 융착면(5)(5')에 금속 메쉬망(6)(6')을 대신하여 한선의 금속선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금속 메쉬망(6)(6')이 아닌 망 형태의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융착면(4)(4')과 돌출 융착면(5)(5')중 어느 한쪽에만 금속 메쉬망(6) (6')을 고정시켜 융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금속 메쉬망(6)(6')이 일체형으로 고정된 플랜지(2)와 조립 플랜지(3)는 합성수지관(1)(1')의 일측으로 융착면(2)이 삽입되도록 하여 리드선(11) (11')에 전원이 공급되는 통상의 융착기에서 전원을 공급한다.
리드선(11)(11')에 공급되는 전원은 금속 메쉬망(6)(6')을 통하여 융착면(4) (4')과 돌출 융착면(5)(5')에 균일하게 전류가 공급되므로 융착면(4)(4')과 돌출 융착면(5)(5')이 발열되는 금속 메쉬망(6)(6')에 의해서 용융된다.
금속 메쉬망(6)(6')을 통하여 융착면(4)(4')과 돌출 융착면(5)(5')이 균일하게 용융되면 리드와이어(11)(11')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중단하여 자연냉각 되도록 한다.
그러면 융착면(4)(4')과 돌출 융착면(5)(5'의 용융된 수지가 냉각되면서 합성수지관(1)(1')과 일체형으로 융착되는 것이다.
이때 합성수지관(1)(1')에 융착되는 플랜지(2)와 조립 플랜지(3)의 돌출 융착면(5)(5')을 통하여 합성수지관(1)(1')의 측면 절단시 발생되는 요철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절단면과 외측면에서 동시에 융착이 이루어져서 안정되고 정확한 융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결국 하수관(1)(1')은 양측으로 플랜지(1)와 조립 플랜지(3)가 융착되어 있도록 생산하면 하수관(1)(1')을 설치하는 현장에서는 플랜지(2)의 조립홈(8)으로 조립 플랜지(3)의 조립 돌출부(8')가 삽입되도록 하여 돌출부(7)(7')의 구멍 (9)(9')에 보울트(12)와 너트(13)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때 조립홈(8)에 삽입되는 조립 돌출부(8')의 외측으로 패킹(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조립 돌출부(8')와 돌출부(7')의 사이에 패킹(10')이 설치되어 있어서 누수를 방지하며 암,수의 조립으로 안정되며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플랜지와 조립 플랜지의 융착면과 돌출 융착면에 금속 메쉬망을 일체형으로 고정시켜 리드와이어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금속 메쉬망의 균일한 전원으로 융착면과 돌출 융착면이 용융되어 합성수지관과 외측면과 절단면에서 견고하게 융착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에 미리 융착시킨 플랜지를 맞대기 하여 보울트와 너트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현장에서 간편하게 시공하며, 합성수지관과 플랜지를 별도로 생산한 후 융착시키는 방법으로 합성수지관에 플랜지를 고정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 우수관, 오·폐수관, 농업용수관 등의 상,하수관을 연결하는 합성수지관(1) (1')의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에서 보울트와 너트로 연결시키는 플랜지에 있어서,하수관(1)(1')의 일측으로 조립홈(8)에 패킹(10)이 삽입되어 있으며 내부에 융착면(4)이 형성되고 안쪽에서 돌출 융착면(5)을 형성하여 고정된 금속 메쉬망 (6)으로 융착되는 플랜지(2)와,상기 하수관(1)(1')의 일측으로 조립홈(8)에 삽입되는 조립 돌출부(8')가 설치되며 내부에 융착면(4')이 형성되고 안쪽에서 돌출 융착면(5')을 형성하여 고정된 금속 메쉬망(6')으로 융착되는 조립 플랜지(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3595U KR200203024Y1 (ko) | 2000-05-13 | 2000-05-13 |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3595U KR200203024Y1 (ko) | 2000-05-13 | 2000-05-13 |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3024Y1 true KR200203024Y1 (ko) | 2000-11-15 |
Family
ID=1965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3595U KR200203024Y1 (ko) | 2000-05-13 | 2000-05-13 |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3024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8285B1 (ko) * | 2001-09-25 | 2005-05-10 | 대림산업 주식회사 | 전기융착시트로부터 형성되는 후렌지를 가지는 합성수지관및 그것의 제조방법 |
KR100488219B1 (ko) * | 2002-01-09 | 2005-05-11 | 주식회사 프라코이엔지 |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
KR101677552B1 (ko) * | 2015-12-02 | 2016-11-18 | 주식회사 포스코 | 유동로 분산판의 가스 흐름 균일화 장치 및 균일화 방법 |
CN111336331A (zh) * | 2020-03-13 | 2020-06-26 |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 L型撘焊法兰 |
KR20200127662A (ko) | 2019-05-03 | 2020-11-11 | 주식회사 효진엔지니어링 | 합성수지관 연결 및 결합용 플랜지 소켓 |
-
2000
- 2000-05-13 KR KR2020000013595U patent/KR20020302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8285B1 (ko) * | 2001-09-25 | 2005-05-10 | 대림산업 주식회사 | 전기융착시트로부터 형성되는 후렌지를 가지는 합성수지관및 그것의 제조방법 |
KR100488219B1 (ko) * | 2002-01-09 | 2005-05-11 | 주식회사 프라코이엔지 |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
KR101677552B1 (ko) * | 2015-12-02 | 2016-11-18 | 주식회사 포스코 | 유동로 분산판의 가스 흐름 균일화 장치 및 균일화 방법 |
KR20200127662A (ko) | 2019-05-03 | 2020-11-11 | 주식회사 효진엔지니어링 | 합성수지관 연결 및 결합용 플랜지 소켓 |
CN111336331A (zh) * | 2020-03-13 | 2020-06-26 |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 L型撘焊法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20697A (en) | Method for welding together pipes consisting of thermoplastic plastics | |
US5163713A (en) | Electro-fusion fittings | |
KR200203024Y1 (ko) |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 |
US5228186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fusion fittings | |
KR200201936Y1 (ko) | 연결소켓을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 |
CN211175856U (zh) | 一种组合式电熔连接管件 | |
KR200198811Y1 (ko) | 플랜지를 이용한 하수관의 연결구조 | |
KR100488494B1 (ko) |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67444B1 (ko) | 파이프와 고압력 연결구를 일체로 하는 수도관 및 그 제작방법 | |
KR200203747Y1 (ko) |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구조 | |
KR200220089Y1 (ko) | 플랜지형 합성수지관의 안전 연결구조 | |
KR100715393B1 (ko) |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 |
KR100437503B1 (ko) | 돌출과 암 플랜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연결방법 | |
KR200258829Y1 (ko) | 전열선 합성수지판 중착 연결구 | |
KR100538314B1 (ko) | 피이 직타입 편수 칼라 | |
KR100433094B1 (ko) | 이중벽관 연결용 융착 편수관의 제조방법 | |
KR20030042773A (ko) | 신축성 파이프를 이용한 수지관 연결소켓의 제조방법 및구조 | |
KR100854411B1 (ko) |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 |
KR200327860Y1 (ko) | 돌출과 암 플랜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 |
KR200310127Y1 (ko) | 피이 직타입 편수 칼라 | |
KR200263335Y1 (ko) | 합성수지관 융착 전자소켓 | |
KR200184253Y1 (ko) | 관 연결용 융착구조 | |
KR200261585Y1 (ko) |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발열부싱 | |
KR100556129B1 (ko) |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27660B1 (ko) | 물막이막소켓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막이막소켓파이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