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747Y1 -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구조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747Y1
KR200203747Y1 KR2020000013260U KR20000013260U KR200203747Y1 KR 200203747 Y1 KR200203747 Y1 KR 200203747Y1 KR 2020000013260 U KR2020000013260 U KR 2020000013260U KR 20000013260 U KR20000013260 U KR 20000013260U KR 200203747 Y1 KR200203747 Y1 KR 200203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ipes
pipe
tub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건
Original Assignee
김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건 filed Critical 김학건
Priority to KR2020000013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7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7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 F16L47/2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using shrink-down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수관, 오·폐수관, 농업용수관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대형의 합성수지 하수관을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관의 연결부분에서 가열되면 수축되면서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는 열수축관의 내부에 원형 방향이나 원형 방향과 가로방향에 보강선을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보강되도록 하는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2)(2')의 외측으로 수축간격(6)을 갖고 삽입되며 내부에 접착제(3)가 도포 되고 외부에서의 가열로 수축되어 합성수지관(2)(2')을 융착시키는 열수축관(1)의 내부에 물결모양으로 원형 보강선(4)과 가로 방향으로 가로 보강선(5)을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성형시켜 합성수지관을 간편하게 융착시킨 후 융착상태의 파단강도를 향상시키고 외부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구조{a}
본 고안은 우수관, 오·폐수관, 농업용수관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대형의 합성수지 하수관을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관의 연결부분에서 가열되면 수축되면서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는 열수축관의 내부에 원형 방향이나 원형 방향과 가로방향에 보강선을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보강되도록 하는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우수관, 오·폐수관, 농업용수관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하수관을 서로 접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열융착 접합하는 방법으로 맞대기 융착법, 시트융착법이 소개되었다.
이중 소켓 융착법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71392호는 합성수지관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통체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를 선택한 뒤 이를 맞추어 시공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고, 관의 각 단면이 어긋나거나 굴절된 상태에서의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구조는 제작 단계에서 한 가닥의 포밍작업 공정을 통해 스파이럴 형상의 가열선으로 제작하고 이를 사출금형에 넣고 사출성형하여 완제품으로 제작 되므로서 가열선이 연결구 내측에 인서트 되는 구조적 특징을 갖게된다.
따라서 제품을 성형하는데 있어서 관경에 따라 사출기의 용량이 커져야 한다는 단점과 이에 상응하는 제품 단가가 상당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99-17842호(99. 3. 15. 공개)는 합성수지 상,하수관의 양단부에 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2대의 압출기 또는 사출기 선단에 암수 플랜지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합성수지관을 성형한 후 연결용 플랜지를 다시 사출하기 위해서는 암수의 플랜지 성형용 토출헤드 금형과 이동 금형을 설치하여 암,수 플랜지를 성형시키기 위해서는 압출기 또는 사출기 2대가 한조로 설치되므로 설치비의 소모가 많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맞대기 융착법은 하수관과 연결구를 독립되게 성형한 후 하수관에 연결구를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연결구에 원형의 링을 미리 삽입하고 하수관과 연결구가 맞닿는 부분인 융착부가 전원이 공급되는 열판을 통하여 용융되도록 한다.
열판을 통하여 하수관과 융착부를 용융시키고 열판을 분리한 후 용융된 부분을 맞대기 하여 하수관과 융착부가 융착되도록 한다.
하수관에 연결구의 융착이 완료되어 생산되며, 시공현장에서는 하수관을 맞대기 하여 연결구에 삽입된 양측의 링에 보울트와 너트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여 설치된다.
그러나 하수관과 융착부가 맞대기 할 때 정확한 관경을 일치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굴절된 상태의 불량을 발생시킬 확률이 높은 결점이 있다.
또한 하수관의 절단 단면상 중앙이 비어있는 요철부분이 제대로 융착되지 않아서 완벽한 맞대기 융착이 어려운 것이었다.
본 고안은 내부에 접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열수축관 내부에 원형방향으로 원형의 보강선을 삽입하거나 가로 방향으로 가로 보강선을 삽입하여 합성수지관을 융착한 후 융착위치를 견고하게 보강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대형의 합성수지관을 융착하는 방법으로 연결시킴에 있어서 융착후 파단강도를 보강하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은 원형으로 성형되는 열수축관의 내부에는 아스콘이나 고무몰탈 접착제를 도포하며 열수축관의 중심부에 철선이나 마포 스테인레스선으로 이루어진 보강선을 원형방향이나 원형방향과 가로방향으로 구성되어 특히 대형 합성수지관에 적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조립하기 전의 단면도
도 3 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단면도
도 5 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다른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수축관 2, 2' : 합성수지관
3 : 접착제 4 : 원형 보강선
5 : 가로 보강선 6 : 수축간격
본 고안은 내부에 사각형의 중공구멍이 형성되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이중벽관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2)(2')은 일반적인 성형방법을 통하여 제조되어 생산된다.
열수축관(1)은 P.E를 가교 하여 원형으로 성형할 때 열수축관(1)의 내부에 원형방향으로 원형 보강선(4)을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제조한다.
상기 열수축관(1)에는 원형 보강선(4)을 삽입하는 동시에 가로방향으로 가로 보강선(5)을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원형 보강선(4)은 물결모양으로 삽입되어 있도록 성형되어 있으며 가로 보강선(5)과 일체형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가로 보강선(5)은 원형 보강선(4)의 물결모양이 흩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원형 보강선(4)이나 가로 보강선(5)은 철선, 마포, 스테인레스선 등으로 성형하게 된다.
열수축관(1)은 파이프와 같은 형태로 길게 성형한 후에는 원추형의 기구에 열을 가하면서 강제로 이동시켜 약 30%정도의 연실이 되도록 하여 지름이 커지도록 한다.
원추형의 기수를 통과하면서 지름대 폭의 비율이 3:1 내지 5:1의 비율이 되도록 절단하여 원형의 열수축관(1)을 성형하게 된다.
원형의 열수축관(1) 내부에는 아스콘이나 고무몰탈과 같은 접착제(3)를 도포하여 완성된다.
이와 같이 성형된 열수축관(1)은 합성수지관(2)(2')을 연결하는 경우에 합성수지관(2)에 미리 삽입한 후 합성수지관(2')을 맞대기 하여 접촉시키면 열수축관 (1)의 내부가 일정한 수축간격(6)을 갖고 삽입된다.
합성수지관(2)(2')이 맞대기 되면 열수축관(1)이 합성수지관(2)(2')의 경계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측에서 토오치램프 등의 열기구를 사용하여 열수축관(1)에 열을 가하게 된다.
가열되는 열수축관(1)은 연실(30%)에 의하여 강제로 지름이 커졌으므로 열원에 의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기억으로 연실된 만큼 수축된다.
열수축관(1)이 수축간격(6) 만큼 수축되면서 접착제(3)를 통하여 합성수지관 (2)(2')을 융착시키는 것이다.
이때 원형 보강선(4)은 물결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열수축관(1)이 수축되는 것에 대하여 어떤 저항도 갖지 않도록 하여 수축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열수축관(1)이 수축되면서 융착된 후에는 원형 보강선(4)이 열수축관 (1)을 보강하여 합성수지관(2)(2')의 연결상태가 외부의 압력에도 변하지 않도록 하는 보강역할을 하게된다.
그리고 가로 보강선(5)이 원형 보강선(4)과 함께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열수축관(1)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통하여 견고한 연결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열수축관의 내부에 원형 보강선이나 원형 보강선과 가로 보강선을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의 연결시 가열되면 연실된 것이 수축되면서 간편하게 융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융착된 후에는 삽입된 원형 보강선과 가로 보강선에 의하여 파단강도를 향상시켜 외부의 압력에도 파단되지 않으며 내부의 수압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별하게 대형관에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보강선을 철선이나 마포 또는 스테인레스선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우수관, 오·폐수관, 농업용수관 등의 상,하수관을 연결하는 합성수지관(2) (2')의 양측을 연결시키는 것에 있어서,
    합성수지관(2)(2')의 외측으로 수축간격(6)을 갖고 삽입되며 내부에 접착제(3)가 도포되고 외부에서의 가열로 수축되어 합성수지관(2)(2')을 융착시키는 열수축관(1)의 내부에 물결모양으로 원형 보강선(4)과 가로 방향으로 가로 보강선(5)을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 수축관의 구조.
KR2020000013260U 2000-05-10 2000-05-10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구조 KR200203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260U KR200203747Y1 (ko) 2000-05-10 2000-05-10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260U KR200203747Y1 (ko) 2000-05-10 2000-05-10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747Y1 true KR200203747Y1 (ko) 2000-11-15

Family

ID=19655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260U KR200203747Y1 (ko) 2000-05-10 2000-05-10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74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494A (ko) * 2001-08-03 2003-02-11 (주)코스켐 관 연결용 밀봉 패드
KR100397308B1 (ko) * 2000-07-19 2003-09-06 이주형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KR101046637B1 (ko) * 2011-02-14 2011-07-05 (주)코스켐 용융 접착 연결구
KR102202155B1 (ko) * 2020-05-29 2021-01-14 일우산업 주식회사 내진형 합성수지관 연결방법과 그 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308B1 (ko) * 2000-07-19 2003-09-06 이주형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KR20030011494A (ko) * 2001-08-03 2003-02-11 (주)코스켐 관 연결용 밀봉 패드
KR101046637B1 (ko) * 2011-02-14 2011-07-05 (주)코스켐 용융 접착 연결구
KR102202155B1 (ko) * 2020-05-29 2021-01-14 일우산업 주식회사 내진형 합성수지관 연결방법과 그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6316A (en) Thermoplastic arc welding sleeve for joining thermoplastic line members
US20020109348A1 (en) Pipe fittings
CN1096247A (zh) 焊接热塑塑料管件的方法
KR200203747Y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구조
EP0717824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pe fittings
CN101223022B (zh) 电焊套筒组件和利用电焊套筒组件来产生管道连接的方法
KR100533366B1 (ko) 열선이 매입된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US5354100A (en) Weldable pipe fittings and pipe joints formed therewith
KR200201936Y1 (ko) 연결소켓을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KR200203024Y1 (ko)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KR20040096757A (ko) 합성수지관 융착구조
KR200239705Y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 시트
KR200198811Y1 (ko) 플랜지를 이용한 하수관의 연결구조
KR100556129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437503B1 (ko) 돌출과 암 플랜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연결방법
KR200327860Y1 (ko) 돌출과 암 플랜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KR100538314B1 (ko) 피이 직타입 편수 칼라
KR200263335Y1 (ko) 합성수지관 융착 전자소켓
KR0125616B1 (ko) 상수도용 합성수지관의 이음관 접합방법
KR200261585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발열부싱
KR100556123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332326Y1 (ko) 열수축선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JP2002257284A (ja) 電気融着継手
KR200310127Y1 (ko) 피이 직타입 편수 칼라
KR101627660B1 (ko) 물막이막소켓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막이막소켓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50407

Effective date: 20050415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50419

Effective date: 200604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