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411B1 -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411B1
KR100854411B1 KR1020070046553A KR20070046553A KR100854411B1 KR 100854411 B1 KR100854411 B1 KR 100854411B1 KR 1020070046553 A KR1020070046553 A KR 1020070046553A KR 20070046553 A KR20070046553 A KR 20070046553A KR 100854411 B1 KR100854411 B1 KR 100854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synthetic resin
heating wire
pipe
edito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기
김학건
Original Assignee
이진기
김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기, 김학건 filed Critical 이진기
Priority to KR1020070046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관이 삽입되어 연결하는 부분에 열선 설치홈을 형성하여 설치한 열선을 갖는 열선 고정링을 금형에 설치하여 편수칼라의 성형시에 일체형으로 성형되도록 하여 합성수지관을 안정되고 견고하게 융착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14)의 선단에서 연결하며 내경의 한 부분에 패킹 홈(12)을 형성하여 패킹(15)을 설치한 편수칼라(10)의 내경으로 합성수지관(14a)을 삽입하여 걸림턱(13)에 걸리도록 한 후 수밀이 유지되도록 연결하는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외경에 열선 설치홈(21)을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단자(24)를 노출한 열선(22)을 설치하고, 편수칼라(10)의 설치 내경(11)에 위치하도록 금형(30)에서 일체형으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합성수지관, 편수칼라, 열선

Description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Collar pipe onebodytype plastic pip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열선과 열선 고정링에 대한 분리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성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패킹 분리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조립 상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에 편수칼라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도 8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편수칼라 11 : 설치 내경
12 : 패킹 홈 13 : 걸림턱
14, 14a : 합성수지관 15 : 패킹
16 : 전방 돌출턱 17 : 후방 돌출턱
18 : 유지링 20 : 열선 고정링
21 : 열선 설치홈 22 : 열선
23 : 구멍 24 : 단자
- 특허 등록번호 제0715393호(2007. 05. 08. 공고) -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본 발명은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관이 삽입되어 연결하는 부분에 열선 설치홈을 형성하여 설치한 열선을 갖는 열선 고정링을 금형에 설치하여 편수칼라의 성형시에 일체형으로 성형되도록 하여 합성수지관을 안정되고 견고하게 융착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내부에 하나의 중공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성형하는 이중벽 하수관, 다수의 중공과 열십자형의 보강대가 형성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성형하는 복층벽 하수관, 채워진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성형하는 적층벽 하수관, 단일구조 또는 다양한 형상이나 이중 또는 삼중구조로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하수관 등 다양한 하수관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하수관은 주로 지하에 매설되어 하수나 오폐수 등 다양한 액체류를 공급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하수관은 시트의 한쪽으로 매쉬가 설치되어 전기의 공급으로 열융착하는 매쉬 융착법과;
하수관의 선단에 헤드를 일체형으로 금형에서 성형하거나, 금형에서 성형한 헤드를 다양한 융착 연결방법으로 연결하고 반대편에서 하수관을 삽입하여 볼트와 너트를 이용 조임하는 KP식 연결방법과;
하수관의 선단에 편수컬러를 설치하고 반대편에서 하수관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편수컬러 연결방법과;
하수관의 선단에 플랜지를 일체형으로 연결한 후 플랜지를 맞대기하여 융착하거나 플랜지에 설치한 매쉬에 전원을 공급하여 서로 마주하는 부분이 용융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플랜지 융착법 등 다양한 융착방법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융착방법은 주로 하수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것이어서 하수관에 설치하여 연결하는 시간의 소모가 많아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며, 하수관에 연결한 헤드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연결작업을 하기 이전에 운반이나 취급과정에서 하수관과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 생한다.
그리고 전원을 이용하여 하수관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전원의 공급시간과 준비시간 및 연결시간의 소모가 많아서 작업의 진도가 늦어지는 결점과 함께, 물이 있는 장소에서는 작업이 불가능한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연결구의 내부에 고무링을 삽입하고 양측에서 하수관을 삽입하는 연결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방법은 하수관을 삽입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하수관이 원료의 특성상 외경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삽입한 후 많은 공간으로 수밀의 유지가 어려운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연결구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므로 원하는 형상을 제대로 제공할 수 없으며, 고무링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없으므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에도 하수관을 삽입할 때 설치 위치가 변경되어 제대로 누수를 방지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편수관을 하수관의 한쪽에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고무링에 의해서만 수밀을 유지하는 경우, 수밀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특허등록번호 제0715393호는 합성수지관의 일측 선단으로 편수칼라를 연결하고 내부의 패킹홈(12)에 패킹(15)을 설치하는 구조와 함께 선단의 경사홈에 요철돌기와 함께 열선이 있는 연결관을 삽입하여 합성수지관을 융착 연결하도록 하 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내용은 합성수지관을 삽입한 후 열선이 있는 연결관을 매개로 하여 용융된 후 편수관의 경사홈과 합성수지관을 내경과 외경에서 각각 융착 연결시켜야 하므로 융착성이 균일해야 함은 물론, 안정되고 정확한 융착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융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전체면에서 균일한 융착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결점에 의해 안정된 융착 성능을 제공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열선이 위치하는 열선 설치홈을 미리 성형한 후 이 열선 설치홈에 열선을 설치한 열선 고정링을 금형에 공급하고 편수칼라와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열선이 설치 내경에 설치한 편수칼라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편수칼라의 내경으로 합성수지관을 삽입하고 열선을 설치한 열선 고정링을 용융시켜 합성수지관의 외경과 일체형으로 용융 연결되도록 하여 설치 내경에서 정확한 융착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밀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 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내부에 중공을 갖도록 이중벽을 성형하거나, 열십자 형태의 보강벽을 형성 또는 일자형태로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다양한 통상의 합성수지관(14) 한쪽 선단에서 편수칼라(10)와 스핀웰딩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편수칼라(10)는 내부에 걸림턱(13)이 형성되어 합성수지관(14a)이 삽입되어 걸리는 것이며, 그 외측으로 내경에 패킹(15)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킹 홈(12)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패킹 홈(12)의 외측에는 설치 내경(11)을 형성하여 열선 고정링(20)을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패킹(15)는 통상적인 형상을 갖는 것이며, 패킹 홈(12)의 내경에 맞도록 외경이 형성되며, 내경에 전방 돌출턱(16)을 형성하고 그 안쪽에 더 크게 돌출하는 후방 돌출턱(17)을 형성하여 합성수지관(14a)의 외경을 이중으로 감싸도록 하고, 전방 돌출턱(16)과 후방 돌출턱(17)의 사이에 유지링(18)이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열선 고정링(20)은 외경에 나선형으로 열선 설치홈(21)을 형성하고 이 열선 설치홈(21)에 열선(22)을 감아 일체형이 되도록 하여 단자(24)에 연결된 후 + -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한다.
열선(22)이 열선 설치홈(21)에 감겨 일체형으로 설치한 열선 고정링(20)은 편수칼라(10)를 성형할 때 설치 내경(11)이 위치하는 장소에 금형(30)에 미리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인서트 사출하여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설치 내경(11)이 위치하는 장소의 한 부분에는 구멍(23)을 형성하여 연선 고정링(20)이 용융될 때 용융물이 외부로 누출되도록 하여 육안으로 용융상태를 확인하거나, 단자를 결합하여 내부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도록 융착기에 연결하여 자동으로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수지로 성형한 열선 고정링(20)에 나선형의 열선 설치홈(21)을 형성하여 이 열선 설치홈(21)에 열선(22)을 설치한 후 단자(24)를 외부에 노출하고, 금형(30)의 설치 내경(11)이 위치하는 곳에 공급하여 패킹홈(12)을 갖는 편수칼라(10)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 또는 브로워 몰딩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편수칼라(10)를 성형하면 설치 내경(11)에 열선(22)이 감추어진 열선 고정링(20)을 일체형으로 성형한 것이므로 합성수지관(14)의 한쪽 선단을 편수칼라(10)와 연결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웰딩 연결한다.
이와 같이 편수칼라(10)를 일체형으로 갖는 합성수지관(14)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패킹 홈(12)에 패킹(15)을 설치하고 편수칼라(10)의 열선 고정링(20)의 내경으로 합성수지관(14a)을 삽입하여 걸림턱(13)에 걸리도록 한다.
그러면 패킹(15)의 전방 돌출턱(16)과 후방 돌출턱(17)이 안쪽으로 밀리면서 합성수지관(14a)의 외경을 이중으로 감싸서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단자(24)에 통상의 융착기를 연결하여 전류를 공급하면 열선(22)이 발열하면서 열선 고정링(20)과 열선(22)과 접촉한 합성수지관(14a)의 외경이 용융 된 후 전류의 공급을 중지하면 열선 고정링(20)이 합성수지관(14a)과 일체형으로 융착 연결되므로 결국에는 편수칼라(10)의 설치 내경(11)에서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열선 고정링(20)은 미리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한 후 열선 설치홈(21)을 가공하여 열선(22)을 설치한 후 금형(30)에 공급하여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것이므로 정확한 치수를 공급하여 합성수지관(14a)의 삽입 후에 합성수지관(14a)의 외경과 일체형으로 융착 연결이 용이한 것이며, 정확하고 안정된 융착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열선 고정링(20)이 열선(22)을 통하여 용융되는 것이 구멍(23)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므로 작업자는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내부의 용융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구멍(23)에 융착기에 연결하는 단자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융착기에서 단자를 통하여 내부의 온도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동으로 컨트롤하여 정확한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편수칼라(10)의 설치 내경(11)에 열선 고정링(20)을 간편하게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생산이 용이하며, 패킹(15)의 전방 돌출턱(16)과 후방 돌출턱(17)이 이중으로 수밀을 유지하면서 열선 고정링(20)을 통하여 융착 연결이 가능하므로 견고한 수밀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열선 고정링(20)은 열선(20)을 설치할 수 있는 열선 설치홈(21)을 성형하지 않고, 금형에 열선(20)을 나선형으로 공급한 후 열선 고정링(20)을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조순서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1. 열선 고정링 성형 단계
원통형의 열선 고정링(20) 외경을 가공하여 나선형의 열선 설치홈(21)이 형성되도록 한다.
2. 열선 설치 단계
열선 설치홈(21)을 성형한 열선 고정링(20)에 열선(22)을 설치하고 단자(24)를 연결한다.
3. 열선 고정링 공급 단계
열선(22)을 일체형으로 설치한 열선 고정링(20)을 편수칼라(10)의 설치 내경(11)에 위치하도록 금형(30)에 공급한다.
4. 편수칼라 성형 단계
열선 고정링(20)을 공급한 금형(30)에서 편수칼라(10)와 일체형으로 성형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한다.
5. 합성수지관 연결 단계
편수칼라(10)의 한쪽 선단에 합성수지관(14)을 조립하여 통상적인 스핀웰딩 방법으로 합성수지관(14)과 편수칼라(10)를 연결한다.
[실시예 2]
1. 열선 고정링 성형 단계
열선(22)이 나선형으로 설치되도록 금형에 공급한 후 열선(22)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원통형의 열선 고정링(20)에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2. 단자 설치단계
상기 열선 고정링(20)에 일체형으로 설치한 열선(22)에 단자(24)를 연결하여 외부에서 + 와 - 전원이 연결되어 공급되도록 한다.
3. 열선 고정링 공급 단계
열선(22)을 일체형으로 설치한 열선 고정링(20)을 편수칼라(10)의 설치 내경(11)에 위치하도록 금형(30)에 공급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4. 편수칼라 성형 단계
열선 고정링(20)을 공급한 금형(30)에서 편수칼라(10)와 일체형으로 성형되 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것이다.
5. 합성수지관 연결 단계
편수칼라(10)의 한쪽 선단에 합성수지관(14)을 조립하여 통상적인 스핀웰딩 방법으로 합성수지관(14)과 편수칼라(10)를 연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선이 위치하는 열선 설치홈을 미리 성형한 후 이 열선 설치홈에 열선을 설치한 열선 고정링을 금형에 공급하고 편수칼라와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열선이 설치 내경에 설치한 편수칼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편수칼라의 내경으로 합성수지관을 삽입하고 열선을 설치한 열선 고정링을 용융시켜 합성수지관의 외경과 일체형으로 용융 연결되도록 하여 설치 내경에서 정확한 융착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밀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선을 설치한 열선 고정링을 간편하게 성형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관의 외경을 융착 연결하는 동시에 패킹을 통하여 이중으로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정되고 정확한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합성수지관(14)의 선단에서 연결하며 내경의 한 부분에 패킹 홈(12)을 형성하여 패킹(15)을 설치한 편수칼라(10)의 내경으로 합성수지관(14a)을 삽입하여 걸림턱(13)에 걸리도록 한 후 수밀이 유지되도록 연결하며 외경에 열선 설치홈(21)을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단자(24)를 노출한 열선(22)을 설치하고, 편수칼라(10)의 설치 내경(11)에 위치하도록 금형(30)에서 일체형으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설치 내경(11)의 한 부분에 열선 고정링(20)의 용융물이 누출되는 구멍(23)을 천공하여 용융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20070046553A 2007-05-14 2007-05-14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854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553A KR100854411B1 (ko) 2007-05-14 2007-05-14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553A KR100854411B1 (ko) 2007-05-14 2007-05-14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411B1 true KR100854411B1 (ko) 2008-08-26

Family

ID=3987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553A KR100854411B1 (ko) 2007-05-14 2007-05-14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4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16B1 (ko) 2009-07-07 2009-12-01 김학건 확관부와 패킹 일체형 상하수도관의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39817B1 (ko) * 2010-11-25 2011-06-09 신광에스알피 주식회사 편수칼라 일체형 급배수관의 연결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089A (ja) * 1999-06-22 2001-01-09 Sekisui Chem Co Ltd 電熱コイル体及び電気融着継手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融着継手
JP2005256934A (ja) * 2004-03-11 2005-09-2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電機融着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15393B1 (ko) * 2006-12-11 2007-05-08 김학건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089A (ja) * 1999-06-22 2001-01-09 Sekisui Chem Co Ltd 電熱コイル体及び電気融着継手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融着継手
JP2005256934A (ja) * 2004-03-11 2005-09-2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電機融着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15393B1 (ko) * 2006-12-11 2007-05-08 김학건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16B1 (ko) 2009-07-07 2009-12-01 김학건 확관부와 패킹 일체형 상하수도관의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39817B1 (ko) * 2010-11-25 2011-06-09 신광에스알피 주식회사 편수칼라 일체형 급배수관의 연결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411B1 (ko) 편수칼라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716063B1 (ko)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KR100488494B1 (ko)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715393B1 (ko)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KR101111166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수도관
KR101306953B1 (ko) 매설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의 연결방법
KR101166469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KR100780444B1 (ko) 하수관 연결용 수밀 연결구
KR200203024Y1 (ko)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KR101113813B1 (ko) 매설 연결용 하수관의 연결방법
KR101333248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수도관의 연결방법
KR200201936Y1 (ko) 연결소켓을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KR101306954B1 (ko) 매설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
KR100642295B1 (ko) 맨홀 접속관 및 그 연결구조
KR200334746Y1 (ko) 발포링을 이용한 연결용 합성수지관
CN218564707U (zh) 一种水管与外镶螺纹接头连接结构
KR20120137046A (ko) 플랜지형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의 연결방법
KR20120021894A (ko) 연결구 내에서 분리와 누수되지 않도록 양수소켓을 이용한 관과 그 연결방법
KR200289528Y1 (ko) 발포재와 열수축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263335Y1 (ko) 합성수지관 융착 전자소켓
KR100540211B1 (ko) 요철관을 이용한 연결용 이중벽 하수관
KR100538314B1 (ko) 피이 직타입 편수 칼라
KR200261585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발열부싱
KR101307149B1 (ko) 플랜지형 연결용 이중벽 하수관의 연결방법
KR200332326Y1 (ko) 열수축선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