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094B1 - 이중벽관 연결용 융착 편수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벽관 연결용 융착 편수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094B1
KR100433094B1 KR1020030010276A KR20030010276A KR100433094B1 KR 100433094 B1 KR100433094 B1 KR 100433094B1 KR 1020030010276 A KR1020030010276 A KR 1020030010276A KR 20030010276 A KR20030010276 A KR 20030010276A KR 100433094 B1 KR100433094 B1 KR 100433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d
double wall
connection
fus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박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철 filed Critical 박인철
Priority to KR1020030010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0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being a woven or non-woven fabric or being a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9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4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이중벽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중벽관의 일측에 연결 플랜지를 형성하여 내부에 융착메쉬를 설치한 후 돌출턱에 중간링을 연결시키는 편수관을 성형하여 합성수지관을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중벽관 연결용 편수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금형에 용융수지를 공급하여 중앙에 돌출턱(4)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내경(3, 3')이 형성된 연결 플랜지(2)를 사출하는 연결 플랜지의 사출과정과,
상기 연결 플랜지(2)의 내경(3, 3')으로 미리 제작된 융착메쉬(5, 5')를 삽입하여 융착메쉬(5, 5')의 내부에서 요철형태의 로울러를 이용하여 내경(3, 3')을 가열하면서 융착메쉬(5, 5')를 누르면 융착메쉬(5, 5')가 내경(3, 3')에 박혀서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융착메쉬 연결과정과,
상기 융착메쉬(5, 5')가 일체형으로 고정된 연결 플랜지(2)의 돌출턱(4) 내측으로 중간링(6)을 삽입하여 돌출턱(4)과 중간링(6)이 만나는 지점에 용융수지를 공급하여 중간링(6)이 돌출턱(4)에 고정되는 중간링 연결과정과,
상기 융착메쉬(5, 5')의 양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단자(7, 7')를 연결하는 연결단자 연결과정과,
상기 연결 플랜지(2)의 일측 융착메쉬(5)에 이중벽관(8)을 삽입하여 돌출턱(4)에 걸리도록 한 후 융착기와 연결단자(7)를 연결시켜 전류를 연결단자(7)에 공급하면, 융착메쉬(5)가 전류를 통하여 발열하면서 내경(3)과 이중벽관(8)의 외측면이 용융되고, 전류의 공급을 중지시키면 용융된 부분이 응고되면서 이중벽관(8)이 연결 플랜지(2)와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편수관(1)을 연결시키는 편수관 성형과정을 통하여 반대편의 융착메쉬(5')에 이중벽관(8')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중벽관 연결용 융착 편수관의 제조방법{a}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이중벽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중벽관의 일측에 연결 플랜지를 형성하여 내부에 융착메쉬를 설치한 후 돌출턱에 중간링을 연결시키는 편수관을 성형하여 합성수지관을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중벽관 연결용 편수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벽관은 관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사각형의 프로파일을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용융수지를 공급하여 프로파일을 연결시켜 평활관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중벽관은 주로 하수관으로 사용되며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다양한 연결방법을 통하여 연결된다.
통상적인 이중벽관의 접속방법은 이음소켓을 별도로 제조하여 그 이음소켓에 상호 접속하고자 하는 이중벽관의 일단을 각각 삽입, 연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이음소켓의 제조를 위한 원자재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 하수도관의 접속작업을 이중으로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특허공고번호 제91-5063호 상수도용 폴리에치렌관의 죔식 이음관 접합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는 상온상태의 주관에 고온의 합성수지 용융액을 사출하여 이음관을 성형, 접합시킴과 아울러 이음관에 접합되는 주관의 외주면이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음관이 주관에 긴밀하게 접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접합부위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고, 사출된 합성수지 용융액이 냉각되어 수축될 때 내금형 표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므로 이음관이 성형된 후 내금형을 주관 및 이음관으로부터 분리시키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편수관은 이중벽관을 금형의 일측으로 삽입시킨 후에 용융수지를 공급하여 연결구와 이중벽관을 일체형이 되도록 사출 성형하게 되며, 이중벽관과 연결구를 일체형으로 사출성형한 후에는 반대편에 이중벽관의 선단을 조립하여 고무링과 여러개의 고정구를 나사식(죔식)으로 조립하여 연결시키게 되므로 전체면에서 균일한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누수가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미리 사출성형된 연결 플랜지의 내경에 융착메쉬를 설치하여 한쪽으로 이중벽관을 조립하여 융착시킨 편수관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벽관을 연결시킬 때 편수관의 일측으로 이중벽관을 삽입하여 융착메쉬의 발열을 통하여 전체면에서 균일하게 안정적으로 이중벽관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편수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편수관의 돌출턱 내부에 중간링을 설치하여 융착메쉬와 이중벽관을 융착시킬 때 발생되는 용융물이 이중벽관의 내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연결 플랜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연결 플랜지에 대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연결 플랜지에 융착메쉬를 연결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연결 플랜지에 중간링을 연결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연결 플랜지에 연결단자를 연결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연결 플랜지에 이중벽관을 연결하여 편수관을 완성시킨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편수관으로 이중벽관을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편수관에 대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수관 2 : 연결 플랜지
3, 3' : 내경 4 : 돌출턱
5, 5' : 융착메쉬 6 : 중간링
7, 7' : 연결단자 8, 8' : 이중벽관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이중벽관으로 스크류형의 나선이 성형되는 합성수지관(8, 8')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다.
연결 플랜지(2)는 금형을 통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사출성형하는 것으로내경(3, 3')이 양측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안으로 돌출턱(4)이 돌출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연결 플랜지(2)의 내부에는 미리 제작된 융착메쉬(5, 5')가 양측에서 내경(3, 3')에 삽입되어 눌려져서 내경(3, 3')과 융착메쉬(5, 5')가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융착메쉬(5, 5')의 양측에는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연결단자(7, 7')를 설치하는 것이다.
돌출턱(4)의 내부에는 비교적 얇은 형태의 링구조를 갖는 중간링(6)이 돌출턱(4)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 플랜지(2)의 내경(3)에 설치된 융착메쉬(5)의 내부에는 이중벽관(8)이 삽입되도록 하고, 연결단자(7)에 도시하지 않은 융착기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시키게 된다.
연결단자(7)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류로 융착메쉬(5)가 발열되면서 융착메쉬(5)와 접촉된 내경(3)과 이중벽관(8)의 외측면이 용융되며, 어느 정도 용융되어 전류의 공급을 중지시키면 내경(5)과 이중벽관(8)이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도 5 와 같이 편수관(1)을 성형시키게 되는 것이다.
편수관(1)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은 반대편의 내경(3')에 융착메쉬(5')가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중벽관(8')을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도 6 과 같이 편수관(1)의 전방에 있는 내경(3')에 이중벽관(8')을 조립한다.
이중벽관(8')이 조립되면 도시하지 않은 융착기에서 연결단자(7')를 통하여전류를 융착메쉬(5')에 공급시키게 된다.
융착메쉬(5')는 전류로 발열되면서 융착메쉬(5')와 접촉되는 내경(3')과 이중벽관(8')이 용융된 후 전류의 공급이 중지되면 응고되면서 편수관(1)을 통하여 이중벽관(8')을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중간링(6)은 융착메쉬(5, 5')를 통하여 용융되는 내경(3, 3')과 이중벽관(8, 8')의 외측면이 용융되어 이중벽관(8, 8')과 돌출턱(4)의 사이에서 내부로 침투하려고 할 때에 중간링(6)에 의하여 용융물의 침투를 방지하므로 이중벽관(8, 8')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하게 밝혀질 것이다.
[실시예]
(1) 연결 플랜지의 사출과정
금형에 용융수지를 공급하여 중앙에 돌출턱(4)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내경(3, 3')이 형성된 연결 플랜지(2)가 도 1 과 같이 사출된다.
(2) 융착메쉬 연결과정
연결 플랜지(2)의 내경(3, 3')으로 미리 제작된 융착메쉬(5, 5')를 삽입하여 융착메쉬(5, 5')의 내부에서 요철형태의 로울러를 이용하여 내경(3, 3')을 가열하면서 융착메쉬(5, 5')를 누르면 융착메쉬(5, 5')가 내경(3, 3')에 박혀서 도 2 와 같이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3) 중간링 연결과정
융착메쉬(5, 5')가 일체형으로 고정된 연결 플랜지(2)의 돌출턱(4) 내측으로 중간링(6)을 삽입하여 돌출턱(4)과 중간링(6)이 만나는 지점에 용융수지를 공급하여 중간링(6)이 돌출턱(4)에 도 3 과 같이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4) 연결단자 연결과정
융착메쉬(5, 5')의 양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단자(7, 7')를 연결한다.
(5) 편수관 성형과정
연결 플랜지(2)의 일측 융착메쉬(5)에 이중벽관(8)을 삽입하여 돌출턱(4)에 걸리도록 한 후 융착기와 연결단자(7)를 연결시켜 전류를 연결단자(7)에 공급하면, 융착메쉬(5)가 전류를 통하여 발열하면서 내경(3)과 이중벽관(8)의 외측면이 용융되고, 전류의 공급을 중지시키면 용융된 부분이 응고되면서 도 5 와 같이 이중벽관(8)이 연결 플랜지(2)와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편수관(1)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성형된 편수관(1)은 도 6 과 같이 반대편의 융착메쉬(5')에 이중벽관(8')을 삽입하여 융착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 플랜지를 사출성형한 후 내부에 융착메쉬를 일체형으로 성형하고 중간링과 연결단자를 연결하여 한쪽으로 이중벽관을 삽입하여 융착메쉬의 발열로 연결 플랜지에 이중벽관을 일체형으로 융착 연결시켜 편수관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편수관과 이중벽관을 일체형으로 균일하게 연결시켜 안정된 편수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 플랜지와 편수관이 함께 용융되면서 융착되어 연결 플랜지와 이중벽관이 전체면에서 균일하고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 플랜지의 돌출턱에 설치된 중간링이 이중벽관을 융착할 때 발생하는 용융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중벽관의 내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1)

  1. 금형에 용융수지를 공급하여 중앙에 돌출턱(4)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내경(3, 3')이 형성된 연결 플랜지(2)를 사출하는 연결 플랜지의 사출과정과,
    상기 연결 플랜지(2)의 내경(3, 3')으로 미리 제작된 융착메쉬(5, 5')를 삽입하여 융착메쉬(5, 5')의 내부에서 요철형태의 로울러를 이용하여 내경(3, 3')을 가열하면서 융착메쉬(5, 5')를 누르면 융착메쉬(5, 5')가 내경(3, 3')에 박혀서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융착메쉬 연결과정과,
    상기 융착메쉬(5, 5')가 일체형으로 고정된 연결 플랜지(2)의 돌출턱(4) 내측으로 중간링(6)을 삽입하여 돌출턱(4)과 중간링(6)이 만나는 지점에 용융수지를 공급하여 중간링(6)이 돌출턱(4)에 고정되는 중간링 연결과정과,
    상기 융착메쉬(5, 5')의 양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단자(7, 7')를 연결하는 연결단자 연결과정과,
    상기 연결 플랜지(2)의 일측 융착메쉬(5)에 이중벽관(8)을 삽입하여 돌출턱(4)에 걸리도록 한 후 융착기와 연결단자(7)를 연결시켜 전류를 연결단자(7)에 공급하면, 융착메쉬(5)가 전류를 통하여 발열하면서 내경(3)과 이중벽관(8)의 외측면이 용융되고, 전류의 공급을 중지시키면 용융된 부분이 응고되면서 이중벽관(8)이 연결 플랜지(2)와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편수관(1)을 연결시키는 편수관 성형과정을 통하여 반대편의 융착메쉬(5')에 이중벽관(8')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관 연결용 융착 편수관의 제조방법.
KR1020030010276A 2003-02-19 2003-02-19 이중벽관 연결용 융착 편수관의 제조방법 KR100433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276A KR100433094B1 (ko) 2003-02-19 2003-02-19 이중벽관 연결용 융착 편수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276A KR100433094B1 (ko) 2003-02-19 2003-02-19 이중벽관 연결용 융착 편수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3094B1 true KR100433094B1 (ko) 2004-05-28

Family

ID=3734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276A KR100433094B1 (ko) 2003-02-19 2003-02-19 이중벽관 연결용 융착 편수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09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094B1 (ko) 이중벽관 연결용 융착 편수관의 제조방법
KR200203024Y1 (ko)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KR200201936Y1 (ko) 연결소켓을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KR200234282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 융착 편수관
KR200372679Y1 (ko) 전기융착용 분기관 조인트
KR200261585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발열부싱
KR100437503B1 (ko) 돌출과 암 플랜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연결방법
JP4145131B2 (ja) 多層射出成形方法
KR200198811Y1 (ko) 플랜지를 이용한 하수관의 연결구조
JP2003194273A (ja) 接続管継手を備えたフレキシブルホース連結管
KR200203747Y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구조
JP4603680B2 (ja) 熱可塑性樹脂製管継手の溶着確認方法
JP2002160292A (ja) プラスチック管の接続端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38314B1 (ko) 피이 직타입 편수 칼라
KR200378645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시트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50027663A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플랜지의 성형방법 및 그 장치
KR100556129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310127Y1 (ko) 피이 직타입 편수 칼라
KR200191981Y1 (ko) 새들분수전용 융착구조
KR200214753Y1 (ko) 나선형 중공관의 전자소켓
JP3085907B2 (ja) ホースに対する樹脂製継手の取付方法及びそのホース並びに高周波溶着装置
KR200327860Y1 (ko) 돌출과 암 플랜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KR200365601Y1 (ko)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
KR100556123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