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234A -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234A
KR20050054234A KR1020030087581A KR20030087581A KR20050054234A KR 20050054234 A KR20050054234 A KR 20050054234A KR 1020030087581 A KR1020030087581 A KR 1020030087581A KR 20030087581 A KR20030087581 A KR 20030087581A KR 20050054234 A KR20050054234 A KR 20050054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heating wire
joint member
synthetic resin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성석
Original Assignee
채성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성석 filed Critical 채성석
Priority to KR1020030087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4234A/ko
Publication of KR20050054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23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분에서 열선의 발열을 통하여 용융에 의한 융착방법으로 연결시키도록 하는 원통형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선을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내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와인더에서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열선이 내장된 이음부재를 공급하여 원통형으로 연결관이 성형되도록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측에서 공급되는 열선(5)이 내면에 위치하도록 압출기(9)에서 프로파일(3)을 압출하여 와인더(14)에 감기도록 하며, 일측에서 공급되는 열선(6)이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압출기(12)에서 이음부재(4)를 압출하여 와인더(14)에서 프로파일(3)의 사이에 공급하여 프로파일(3)과 이음부재(4)에 열선(5, 6)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연결관(15)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결선과 산화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열전도와 접착성이 견고하며 누수 발생이 없는 합성수지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 및 그 제조장치{a}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분에서 열선의 발열을 통하여 용융에 의한 융착방법으로 연결시키도록 하는 원통형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선을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내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와인더에서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열선이 내장된 이음부재를 공급하여 원통형으로 연결관이 성형되도록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은 내부가 중공 형태인 프로파일을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용융수지를 공급하여 생산하면서 일정한 길이(6m)로 절단하게 된다.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합성수지관은 지하에 매설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되어 매설된다.
합성수지관을 매설하는 방법으로는 e/f시트가 가장 대중적인 사용방법으로 국내 등록 특허공보 제10-0288133호의 수지관 융착용 시트 성형방법 및 장치가 있다.
이러한 방법은 수지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시트 상측으로 ㄷ자 형태의 메쉬(열선)를 올려놓고 가열된 한 쌍의 로울러를 통과시키면서 수지에 메쉬가 W형으로 박혀 고정되도록 한 후 리드선을 연결시켜 합성수지관을 한바퀴 감아서 전원을 공급하면 메쉬가 발열되면서 주변을 용융시켜 융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ㄷ형태로 일부분에만 전원이 공급되므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융착성능을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한바퀴 감을 때 겹치는 부분에서 융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겹치는 부분에서 많은 누수가 발생된다.
그리고 보관 및 취급시에 결선이 발생되며, 메쉬의 노출로 인한 산화 및 이탈에 문제가 발생되고, 시공 후에는 메쉬를 따라서 누수가 발생되는 결점과 시공시에 많은 준비와 연결을 위한 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워 시공이 매우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또한 원통형의 연결구 내부에 고무링이나 다양한 체결방법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전체적으로 균일한 융착 또는 압력으로 체결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합성수지관은 50년을 보장하는 것이나 연결부품이 이러한 기간을 보장하지 못하여 보장연한을 채우지 못하고 재시공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열선을 공급하여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프로파일의 내면에 열선이 위치하도록 하여 냉각된 후 와인더에 감기고, 프로파일의 사이에는 열선이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이음부재를 공급하여 원통형의 연결관을 성형하여 원하는 길이로 절단한 후 리드선과 전원공급단자를 연결하여 원통형 시트와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파일과 이음부재에 의하여 원통형 시트의 전체면에서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여 균일하고 안정된 융착성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파일의 내면과 이음부재의 중앙부분에서 전류가 공급되어 전체면이 균일하게 용융되도록 하여 합성수지관의 관경에 맞도록 수축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이 되게 성형되는 것으로 프로파일(3)과 이음부재(4)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프로파일(3)의 내면에는 열선(5)이 위치하고 이음부재(4)의 중앙에도 열선(6)이 위치한다.
상기 이음부재(4)에 위치하는 열선(6)은 중앙에 위치할 수 있지만 내면으로 1/3지점 또는 외면으로 2/3지점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열선(5, 6)에는 각각 양측으로 리드선(7, 7')과 전원공급단자(8, 8')가 설치되어 있어서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원통형 시트(1)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원통형 시트(1)는 프로파일(3)과 이음부재(4)가 나선형으로 연속해서 공급되어 성형되는 연결관(15)을 원하는 지름(크기)과 폭으로 생산한 후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원통형 시트(1)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형태로 감겨있는 열선(5)을 압출기(9)에 공급하여 사각형의 프로파일(3)이 압출되면서 프로파일(3)의 내면에 열선(5)이 위치하도록 한다.
열선(5)이 내면에 위치하는 프로파일(3)을 냉각기(10)에 통과시켜 냉각시킨 후 다수의 로울러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관(15)의 지름을 결정하는 와인더(14)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공급한다.
프로파일(3)이 와인더(14)에 공급될 때 일측에서 열선(6)이 압출기(12)에 공급될 때 이음부재(4)의 중앙에서 열선(6)이 위치하도록 하여 프로파일(3)의 사이에 공급된다.
그러면 도시하지 않은 로울러가 이음부재(4)를 눌러 프로파일(3)과 평활하도록 하며, 프로파일(3)의 사이를 연결시켜 일체형이 되도록 하여 연결관(15)을 성형하는 것이다.
연결관(15)은 프로파일(3)과 이음부재(4)가 연속해서 연결되어 있으며 열선(5, 6)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수지를 압출기(9, 12)에 공급하면서 용융시키고 압출기(9)의 후방에서 열선(5)을 공급하여 프로파일(3)의 생산과 동시에 프로파일(3)의 내면에 열선(5)이 위치하도록 압출한다.
압출된 프로파일(3)은 열선(5)과 함께 냉각기(1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와인더(14)에 나선형으로 감기게 된다.
한편, 압출기(12)에서 용융된 수지가 공급되면서 후방에서 열선(6)을 공급하여 이음부재(4)의 생산과 동시에 이음부재(4)의 내면에 열선(6)이 위치하도록 압출한다.
이때, 열선(6)은 이음부재(4)의 1/3내면이나 중앙 및 2/3지점에 위치하도록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음부재(4)는 냉각되지 않은 상태로 와인더(14)에서 프로파일(3)의 사이에 공급되므로 도시하지 않은 로울러에 눌리면서 이음부재(4)는 프로파일(3)의 사이에서 접착제 역할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연결관(15)이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성형된 연결관(15)에는 열선(5, 6)이 엇갈리게 배치되어 생산되는 것이며,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리드선(7, 7')과 전원공급단자(8, 8')를 설치하면 원통형 시트(1)가 완성되는 것이다.
완성된 원통형 시트(1)는 합성수지관(2)의 일측에 넣고 다시 합성수지관(2')을 넣어 합성수지관(2, 2')이 맞대기 된 후 원통형 시트(1)의 외측을 연결장치(11)의 체결구(13)로 한바퀴 감아서 상측에서 체결하는 힘으로 내부를 압착하게 된다.
전원공급단자(8, 8')에 전원을 공급하면 리드선(7, 7')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열선(5, 6)이 각각 발열되면서 주변을 용융시키게 된다.
열선(5, 6)이 발열되면서 주변이 용융되면서 삽입된 합성수지관(2, 2')과 관경에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체결구(13)를 이용한 연결장치(11)가 내부로 압착시키게 되므로 수축되면서 합성수지관(2, 2')의 외경을 견고하게 감싸게 된다.
따라서 합성수지관(2, 2')과 원통형 시트(1)와의 사이에서 관경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열선(5, 6)으로 용융되면서 내경이 작아지게 되어 도 4 와 같이 안정되고 견고한 연결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열선(5, 6)은 프로파일(3)과 이음부재(4)의 내면에만 위치하지 않고 엇갈리게 배치하여 내면만 용융되지 않고 내면을 중심으로 전체면에서 수축작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되고 견고한 연결성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원공급단자(8, 8')에 전원을 공급을 중지한 후 자연 냉각시키고 연결장치(11)를 제거하게 되어 합성수지관(2, 2')의 연결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파일(3) 또는 이음부재(4)의 내/외측면에 2선의 열선(5, 6)을 각각 삽입하여 원통형 시트(1)를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프로파일(3)의 폭을 넓게 하여 내면에 간격을 두고 2선의 열선이 위치하도록 성형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더욱 확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7 과 같이 원통형 시트(1)의 외측으로 가열되면 수축되는 통상적인 열수축 시트(20)를 설치하여 별도의 연결장치(11)가 없는 경우에 열수축 시트(20)의 수축작용을 통하여 원통형 시트(1)가 수축되어 합성수지관(2, 2')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기(12)에서 프로파일(3)을 공급하여 와인더(14)에 나선형으로 공급될 때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3)의 내면에 열선(5')이 위치하도록 공급하고, 프로파일(3)의 사이 중앙부분에 열선(6')이 위치하도록 공급하면서 외측에서 로울러(20')를 이용하여 프로파일(3)이 서로 연결되어 원통형 시트(1')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원통형 시트(1')는 원통형 시트(1)와 같이 사용되는 것이며, 열선(6')은 중앙 뿐만 아니라 1/3지점 또는 2/3지점에 위치하도록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내용 이외에 특허법이 정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범위에서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적용범위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선을 공급하여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프로파일의 내면에 열선이 위치하도록 하여 냉각된 후 와인더에 감기고, 프로파일의 사이에는 열선이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이음부재를 공급하여 원통형의 연결관을 성형하여 원하는 길이로 절단한 후 리드선과 전원공급단자를 연결하는 원통형 시트와 그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파일과 이음부재에 의하여 원통형 시트의 전체면에서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여 균일하게 용융되도록 하고, 용융된 부분이 전체면에서 수축되어 균일하고 안정된 융착성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와인더에 프로파일과 이음부재를 감아 원통형 시트를 성형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규격을 제공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겹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는 원통형 연결방법으로 합성수지관을 연결하여 시공 후 누수 발생의 원인을 해소할 수 있으며,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선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결선을 방지하고 산화 또한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열전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선의 외측으로 같은 재질의 수지(PE)를 입혀 접착성의 견고함을 제공하고 겹치는 부위가 없어서 누수의 발생이 없으며 일정량의 내압에도 견딜 수 있어 중압의 상, 하수도관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을 이용한 원통형 시트의 완성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연결관에 대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연결관의 생산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연결상태 측면도
도 7 은 본발명의 시트에 열수축 시트를 적용시킨 상태의 연결상태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통하여 생산되는 시트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원통형 시트 2, 2' : 합성수지관
3 : 프로파일 4 : 이음부재
5, 6, 5', 6' : 열선 7, 7' : 리드선
8, 8' : 전원공급 단자 9, 12 : 압출기
10 : 냉각기 14 : 와인더
15 : 연결관 20 : 열수축 시트

Claims (5)

  1. 사각형의 프로파일(3)과 이음부재(4)를 연속해서 원통형으로 성형하되 프로파일(3)의 내면으로 열선(5)이 위치하고 이음부재(4)의 중앙부분에 열선(6)이 위치하도록 하여 열선(5, 6)이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열선(5, 6)에 리드선(7, 7')이 연결되어 원통형 시트(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
  2. 사각형의 프로파일(3)을 와인더(14)에 나선형으로 공급하여 프로파일(3)의 내면에 열선(5')이 위치하며 상기 프로파일(3)의 사이 중앙부분에 열선(6')을 삽입하여 열선(5', 6')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원통형 시트(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
  3. 일측에서 공급되는 열선(5)이 내면에 위치하도록 압출기(9)에서 프로파일(3)을 압출하여 와인더(14)에 감기도록 하며, 일측에서 공급되는 열선(6)이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압출기(12)에서 이음부재(4)를 압출하여 와인더(14)에서 프로파일(3)의 사이에 공급하여 프로파일(3)과 이음부재(4)에 열선(5, 6)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연결관(15)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열선(5)이 프로파일(3)의 1/3 또는 2/3 지점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열선(5)이 프로파일(3)의 내면 양측으로 2선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
KR1020030087581A 2003-12-04 2003-12-04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 및 그 제조장치 KR20050054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581A KR20050054234A (ko) 2003-12-04 2003-12-04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581A KR20050054234A (ko) 2003-12-04 2003-12-04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234A true KR20050054234A (ko) 2005-06-10

Family

ID=3724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581A KR20050054234A (ko) 2003-12-04 2003-12-04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42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123B1 (ko) * 2005-04-08 2006-03-03 주식회사 대현테크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556129B1 (ko) * 2005-04-08 2006-03-03 주식회사 대현테크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095A (ja) * 1989-08-30 1991-04-15 Sumitomo Metal Ind Ltd 熱可塑性樹脂製管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152093A (ja) * 1994-11-29 1996-06-11 Sekisui Chem Co Ltd 電気溶着継手の製造方法
JPH08338587A (ja) * 1995-06-13 1996-12-24 Sekisui Chem Co Ltd 被覆電熱線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の製造方法
JP2000055283A (ja) * 1998-08-05 2000-02-22 Toa Koukyu Pipe Fitting And Valve Mfg Co ジョイント用スリーブ
KR200325725Y1 (ko) * 2003-05-20 2003-09-06 이상진 관 이음구
KR20040014856A (ko) * 2002-08-12 2004-02-18 박기종 열선이 매입된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095A (ja) * 1989-08-30 1991-04-15 Sumitomo Metal Ind Ltd 熱可塑性樹脂製管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152093A (ja) * 1994-11-29 1996-06-11 Sekisui Chem Co Ltd 電気溶着継手の製造方法
JPH08338587A (ja) * 1995-06-13 1996-12-24 Sekisui Chem Co Ltd 被覆電熱線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の製造方法
JP2000055283A (ja) * 1998-08-05 2000-02-22 Toa Koukyu Pipe Fitting And Valve Mfg Co ジョイント用スリーブ
KR20040014856A (ko) * 2002-08-12 2004-02-18 박기종 열선이 매입된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325725Y1 (ko) * 2003-05-20 2003-09-06 이상진 관 이음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123B1 (ko) * 2005-04-08 2006-03-03 주식회사 대현테크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556129B1 (ko) * 2005-04-08 2006-03-03 주식회사 대현테크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2157A (en) Electrothermal fusion of large diameter pipes by electric heating wire wrapping and sleeve connector
US6131954A (en) Weldable couple for electrofusion coupling of profile wall thermoplastic pipes without a separate coupler
US582072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lectrofusion coupling of thermoplastic pipes
JP2009500196A (ja) スチールストリップによって補強されたプラスチック排水管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機器ならびにスチールによって補強されたプラスチック排水管
KR100533366B1 (ko) 열선이 매입된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54234A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원통형 시트 및 그 제조장치
CN109869541B (zh) 新型钢带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及其生产工艺
KR100488494B1 (ko)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572017B1 (ko) 수축망과 가교시트를 이용한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322658Y1 (ko) 관 이음구
KR100422901B1 (ko)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JP2021025615A (ja) 変換継手および変換継手の製造方法
CN213584216U (zh) 一种预置式熔接电缆接头
KR100556129B1 (ko)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20327A (ko) 합성수지관 연결부재 성형방법 및 그 구조
KR20050082120A (ko) 열수축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KR20040099720A (ko) 관 이음구와 그 성형 장치 및 방법
JP2000213684A (ja) 電気溶着継手
KR200234282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 융착 편수관
KR100564154B1 (ko) 나선관 성형용 압출도관의 접합장치 및 그 방법
KR200261585Y1 (ko) 폴리에틸렌관 연결용 발열부싱
KR200327860Y1 (ko) 돌출과 암 플랜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JP2001004073A (ja) 螺旋複合管とその製造方法
KR200203746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물결모양의 융착관
CN110654029A (zh) 一种增强带材螺旋缠绕聚乙烯复合压力管及其连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