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720A - 관 이음구와 그 성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관 이음구와 그 성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720A
KR20040099720A KR1020030031792A KR20030031792A KR20040099720A KR 20040099720 A KR20040099720 A KR 20040099720A KR 1020030031792 A KR1020030031792 A KR 1020030031792A KR 20030031792 A KR20030031792 A KR 20030031792A KR 20040099720 A KR20040099720 A KR 20040099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drum
pipe
spiral
he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김남형
Original Assignee
(주)피앤에프
이상진
김남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앤에프, 이상진, 김남형 filed Critical (주)피앤에프
Priority to KR1020030031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9720A/ko
Priority to PCT/KR2004/000142 priority patent/WO2004104468A1/en
Publication of KR20040099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72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6Rod-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1Coat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0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comprising at least a single wire, e.g. in the form of a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3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 B29C65/340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 B29C65/346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e.g. "verlorenes Schweisselement"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said heated elements which remain in the joint or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coating, e.g. being tri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4Single butt joints
    • B29C66/1142Single butt to butt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1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coaxial connections, i.e. the tubular articles to be joined forming a zero angle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9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의 연결을 위한 열융착시 고르게 용융할 수 있고, 발열부재의 결선을 방지함과 아울러 탄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발열부재의 단선이 없는 안정적인 관 결합이 가능한 관 이음구 및 그 성형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관 이음구는 합성수지관의 내주와 외주 사이에 발열부재가 나선형으로 고루 매설되고, 관 이음구 성형장치는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단턱부가 형성되게 압출하는 압출기와, 압출된 합성수지가 말림되는 드럼과, 압출된 합성수지를 드럼의 나선방향으로 롤링시키는 구동 롤러와, 나선형으로 롤링되는 합성수지의 단턱부 사이에 발열부재를 권선할 수 있도록 발열부재가 권선된 권선롤과, 구동 롤러에 의해 나선형으로 롤링되는 합성수지의 단턱부를 누르는 압착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관 이음구 성형 방법은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단턱부가 형성되게 압출함과 아울러 압출된 합성수지의 단턱부가 나선방향 중첩되도록 합성수지를 나선방향으로 롤링시키고, 이와 동시에 롤링되는 합성수지의 단턱부의 사이에 발열부재를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 이음구와 그 성형 장치 및 방법{Pipe connector and apparatus for manufactor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 또는 가스관을 연결하는 관 이음구 및 그 성형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하수도관 등을 연결하는 관 이음구는 소켓식으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관에 융착하거나, 합성수지 시트를 원통으로 말은 후 이웃하는 관에 융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소켓 융착은 일본 공개 특허공보 평4-17139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관경에 일치되도록 한 가닥의 절연선을 인젝션 몰딩 코어에 1차적으로 포밍 작업하여 소켓을 사출 성형한다. 이러한 소켓 융착 방법은 소켓의 관경이 커질수록 사출기의 용량이 커져야 하므로 사출기의 비용이 고가가 되고, 결합하고자 하는 관의 크기에 따라 절연선 포밍 코어를 교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시트 융착은 국내등록특허공보 제 10-0288133의 수지관 융착용 시트 성형방법 및 장치가 있다. 이러한 수지관 융착용 시트 성형방법 및 장치는 금속판을 타공하면서 늘인 타공망을 이용하여 한 쌍의 성형 로울러를 통과시키어 융착용 시트를 간편하게 성형하면서 안정된 융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나, 금속판을 타공하면서 늘리는 공정에서 타공망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늘리기 어렵고, 상기한 타공망 하측에 수지판을 공급하면서 요철면을 갖는 200°로 가열된 한 쌍의 성형 로울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수지판과 타공망을 일체로 고정시킨 열융착 시트를 성형하고자 하나, 상기 수지판과 타공망이 200°로 가열된 성형 로울러를 통과할 때 수지판이 성형 로울러에 의해 용융되지 못한 상태에서 성형 로울러가 타공망을 수지판측으로 누르기 때문에 타공망이 부분적으로 결선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수지판은 한 쌍의 로울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금속제 금속망과 고정시키더라도 일부가 분리되기 쉽고 전원 공급시 저항의 발열 차이로 인해 분리된 부위가 결합하고자 하는 수지관을 탄화시키기 쉽다.
또, 상기의 성형방법으로 성형된 융착용 시트는 서로 이웃하는 관의 경계 부위 외주면에 원통형으로 말았을 때 일단과 타단을 중첩되게 고정시키므로 겹치는부위 옆부분에 수지관의 외주면과 밀착되지 못하는 공간부가 생기게 되어 공간부에 대응되는 수지관 부위를 탄화되기 쉽고, 수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관의 연결을 위한 열융착시 안정적인 열전도를 통해 고르게 용융할 수 있고, 발열부재의 결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화를 방지할 수 있고, 발열부재의 합선에 의한 단선이 없는 안정적인 관 결합이 가능한 관 이음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열부재를 합성수지관의 내주와 외주 사이에 합선없이 고르게 매설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며, 사용이 간편한 관 이음구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 이음구 성형의 시간 및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관 이음구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 성형장치 일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 성형장치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 성형장치의 압출기의 압출홀이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2: 관 4,8: 단턱부
10: 합성수지관 20: 나선형 발열부재
32, 34: 연결단자 50: 압출기
51: 투입구 52: 실린더
53: 압출홀 54: 압출관
60: 드럼 61: 고정축
70: 구동 롤러 74: 롤러 구동수단
75: 구동축 76: 롤러 구동모터
77: 종동축 78: 체인 기어
79: 체인 80: 발열부재
90: 권선롤 92: 권선롤 구동모터
100: 압착 롤러 102: 롤러 지지구
110: 냉각 노즐 120: 가이드
130: 커팅기 140: 본체
142: 본체 컨트롤러 150: 압축기 지지대
152: 압축기 컨트롤러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는 중공 형상이고,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말림되며, 나선방향을 따라 단턱부가 연속적으로 중첩된 합성수지관과; 상기 합성수지관의 단턱부가 중첩되는 사이에 매설되어 상기 합성수지관에 나선 모양으로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부로 연장된 나선형 발열부재와; 상기 나선형 발열부재의 양단에 연결된 연결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 성형 장치는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단턱부가 형성되게 압출하는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에서 압출된 합성수지가 중공관 형태로 말림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압출된 합성수지의 단턱부가 상기 드럼의 나선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중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를 상기 드럼의 나선방향으로 롤링시키는 구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에 의해 나선형으로 롤링되는 합성수지의 단턱부 사이에 발열부재를 권선할 수 있도록 발열부재가 권선된 권선롤과; 상기 구동 롤러에 의해 나선형으로 롤링되는 합성수지의 단턱부를 누르는 압착 롤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 성형 방법은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단턱부가 형성되게 압출함과 아울러 압출된 합성수지의 단턱부가 나선방향 중첩되도록 합성수지를 나선방향으로 롤링시키고 이와 동시에 롤링되는 합성수지의 단턱부의 사이에 발열부재를 권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이후에 합성수지를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발열부재의 양단에 연결 단자를 연결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관(1,2)의 연결부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이고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말림되며 나선방향을 따라 단턱부(4,8)가 연속적으로 중첩된 합성수지관(10)과, 상기 합성수지관(10)의 단턱부(4,8)가 중첩되는 사이에 매설되어 상기 합성수지관(10)에 나선 모양으로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합성수지관(10)의 외부로 연장된 나선형 발열부재(20)와, 상기 발열부재(10)의 양단에 연결된 연결단자(3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합성수지관(10)은 단면 형상이 '' 인 각 부위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된다.
상기 단턱부(4,8)의 각각은 상기 합성수지관(10)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단턱부(4,8)와 합성수지관의 반경방향으로 내외 중첩된다.
상기 단턱부(4,8)는 외주를 이루는 부위(4)가 내주를 이루는 부위(8)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나성형 발열부재(20)는 상기 합성수지관(10)의 내주에 보다 가깝게 위치된다.
상기 연결단자(32,34)는 상기 나선형 발열부재(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32)와 -단자(34)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관(1,2)의 각각을 상기 합성수지관(10)의 내부에 삽입한 후, 상기 +단자(32)와 -단자(34)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나선형 발열부재(20)는 상기 합성수지관(10)의 내주와 외주 사이의 내부에서 발열되면서 합성수지관(10) 및 관(1,2)을 가열시킨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관(10) 및 관(1,2)은 상기 나선형 발열부재(20)가 합성수지관(10)의 내주와 외주 사이에 나선형으로 매설되어 있으므로, 상기 나선형 발열부재(20)의 저항값이 균일한 상태에서 고르게 가열된다.
상기 합성수지관(10)과 관(1,2)은 그 용융점에 이르게 되면 조금씩 용융되면서 서로 열융착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융융된 수지가 굳으면서 일체로 고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 성형장치 일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 성형장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 성형장치는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단턱부가 형성되게 압출하는 압출기(50)와, 상기 압출기(50)에서 압출된 합성수지가 중공관 형태로 말림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드럼(60)과, 상기 드럼(6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압출된 합성수지의 단턱부가 상기 드럼(60)의 나선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중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를 상기 드럼(60)의 나선방향으로 롤링시키는 구동 롤러(70)와, 상기 구동 롤러(70)에 의해 나선형으로 롤링되는 합성수지의 단턱부 사이에 발열부재(80)를 권선할 수 있도록 발열부재(90)가 권선된 권선롤(90)과, 상기 구동 롤러(70)에 의해 나선형으로롤링되는 합성수지의 단턱부를 누르는 압착 롤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출기(50)는 펠릿 등의 플라스틱 원재료(이하, '합성수지'이라 칭함)가 투입되는 투입구(51)와, 투입된 합성수지가 압출되는 실린더(52)와, 투입된 합성수지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히터(미도시)와, 용융된 합성수지를 압출되는 압출홀이 형성된 압출관(54)이 포함한다.
상기 압출관(54)은 압출되는 합성수지가 상기 드럼의 외주에 낙하될 수 있도록 압출홀이 형성된 단부가 상기 드럼(60)의 둘레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압출홀(5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형상을 갖는다.
상기 드럼(60)은 중앙에 고정축(61)이 연결된다.
상기 구동 롤러(70)는 드럼(60)의 외주측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6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드럼(60)의 반경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며, 합성수지를 나선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외주에 나선 방향의 러닝(7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관 이음구 성형장치는 상기 구동 롤러(70)를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수단(7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롤러 구동수단(74)은 구동축(75)이 구비된 롤러 구동모터(76)와, 상기 구동 롤러(70)에 장착된 종동축(77)과, 상기 종동축(77)에 연결된 체인 기어(78)와, 상기 구동축(75)과 체인기어(78)에 감긴 체인(7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권선롤(90)은 그 외주에 상기 발열부재(80)가 권선되는 것으로, 권선롤 구동 모터(92)에 연결되게 장착되어 합성수지의 롤링시 발열부재(80)를 합성수지의단턱부 사이로 투입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합성수지의 단턱부 사이에 일단이 고정된 발열부재(80)에 의해 회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압착 롤러(100)는 상기 드럼(60)의 둘레 외측에 상기 드럼(60) 또는 구동 롤러(7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합성수지의 롤링 방향으로 상기 압출기(50)의 분출홀(53) 후방에 가깝게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 이음구 성형장치는 상기 드럼(60)에 감기는 합성수지를 냉각시키는 냉각노즐(1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각노즐(110)은 상기 드럼(60)의 둘레 외측에 이격되게 장착되어 상기 드럼(60)측을 향해 냉각수를 분사하는 것으로, 발열부재가 매설된 합성수지의 단턱부를 상기 압착 롤러(100)가 가압한 이후에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합성수지의 롤링 방향으로 상기 압착롤러(100)의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 이음구 성형장치는 상기 구동 롤러(70)에 의해 나선형으로 롤링되는 합성수지가 라운드지게 와인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가이드(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120)는 상기 드럼(60)의 둘레 외측에 이격되게 장착되고, 상기 드럼(60)의 대향면이 곡면지게 형성되고, 합성수지의 롤링 방향으로 상기 압출기(50)의 분출홀(53)과 압착 롤러(100)의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 이음구 성형 장치는 상기 드럼(60)에 의해 원통 모양으로 감긴 합성수지관을 커팅하는 커팅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팅기(130)는 상기 드럼(60)에 감긴 합성수지관의 내경보다 조금 적은 외경을 갖도록 이루어져 합성수지관이 외삽되는 커팅 드럼(131)과, 상기 커팅 드럼(131)에 올려진 합성수지관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블레이드(132)를 구비한다.
미설명 부호 140은 상기 드럼(60)의 고정축(61)이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롤러 구동모터(76)와, 상기 권선롤(90) 또는 권선롤 구동모터(92)와, 상기 압착 롤러(100)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구(102)와, 냉각 노즐(110)과, 가이드(120)가 고정되는 본체이고, 미설명 부호 142는 상기 롤러 구동모터(76)와, 냉각 노즐(110)과, 상기 권선롤 구동수단(92)을 제어하도록 조작하는 본체 컨트롤러이며, 미설명 부호 150은 상기 압출기(50)가 장착된 압출기 지지대이고, 미설명부호 152는 상기 압출기(50)를 제어하도록 조작하는 컨트롤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관 이음구 성형장치의 작용 및 성형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압출기(50)의 투입구(51)에 펠릿 등의 플라스틱 원재료(이하, '합성수지'이라 칭함)를 공급하고 상기 압출기 컨트롤러(152)를 조작하면, 상기 압출기(50)는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상기 압출관(54)을 통해 압출한다.
이때, 상기 압출관(54)을 통해 압출되는 합성수지는 단면 형상이 '' 으로 길게 배출되어 낙하되고, 상기 드럼(60) 또는 구동 롤러(70)의 외주측에 놓이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출기 컨트롤러(152)의 조작과 함께 상기 본체 컨트롤러(142)를 조작하면, 상기 롤러 구동모터(76)는 구동되어 상기 구동 롤러(70)를 회전시키고, 상기 권선롤 구동모터(92)는 구동되어 상기 발열부재(80)를 공급한다.
상기 드럼(60) 또는 구동 롤러(70)의 외주측에 낙하되는 합성수지는 상기 구동 롤러(70)의 구동으로 상기 러닝(72)에 밀리면서 상기 드럼(60)의 나선방향으로 롤링되고, 상기 가이드(120)에 의해 라운드지게 와인딩되면서 상기 드럼(60)을 1 회전 또는 2 회전한다.
상기 드럼(60)을 1회전 또는 2회전 한 합성수지는 상기 압출기(50)에서 연속적으로 낙하되는 다른 부위와 단턱부가 중첩되면서 합쳐지고, 이때, 상기 발열부재(80)는 중첩되는 단턱부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단턱부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매설된다.
상기와 같이 발열부재(80)가 매설되는 합성수지는 상기 구동 롤러(7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드럼(60)의 외주를 나선방향으로 계속 회전되고, 상기 발열부재(80)는 상기 단턱부의 사이에 나선형으로 길게 매설된다.
상기와 같이 발열부재(80)가 나선형으로 매설된 합성수지는 상기 압착 롤러(100)와 상기 드럼(60) 또는 구동 롤러(7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단턱부가 서로 강하게 부착되면서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드럼(60)의 나선 방향으로 계속 롤링된다.
한편, 상기 본체 컨트롤러(142)는 상기 롤러 구동모터(76)와, 권선롤 구동모터(92)의 구동과 함께 상기 냉각 노즐(110)을 작동시키고, 상기 냉각 노즐(100)은상기 압착 롤러(100)에 의해 단턱부가 일체로 고정된 합성수지에 냉각수 또는 에어를 분사하여, 합성수지를 응고시킨다.
상기와 같이 응고된 합성수지는 원통관 형태로 상기 드럼(6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분리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커팅기(130)에 의해 소정 길이로 커팅된 후, 상기 발열부재(80)의 양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 단자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는 관의 연결을 위한 열융착시 안정적인 열전도를 통해 고르게 용융할 수 있고, 발열부재의 결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화를 방지할 수 있고, 발열부재의 단선이 없는 안정적인 관 결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 성형장치는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단턱부가 형성되게 압출하는 압출기와, 압출된 합성수지가 말림되는 드럼과, 압출된 합성수지를 드럼의 나선방향으로 롤링시키는 구동 롤러와, 나선형으로 롤링되는 합성수지의 단턱부 사이에 발열부재를 권선할 수 있도록 발열부재가 권선된 권선롤과, 구동 롤러에 의해 나선형으로 롤링되는 합성수지의 단턱부를 누르는 압착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발열부재를 합성수지관의 내주와 외주 사이에 합선없이 고르게 매설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며, 사용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구 성형장치는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단턱부가 형성되게 압출함과 아울러 압출된 합성수지의 단턱부가 나선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합성수지를 나선방향으로 롤링시키고, 이와 동시에 롤링되는 합성수지의 단턱부의 사이에 발열부재를 권선하므로, 관 이음구 성형의 시간 및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중공 형상이고,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말림되며, 나선방향을 따라 단턱부가 연속적으로 중첩된 합성수지관과;
    상기 합성수지관의 단턱부가 중첩되는 사이에 매설되어 상기 합성수지관에 나선 모양으로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부로 연장된 나선형 발열부재와;
    상기 나선형 발열부재의 양단에 연결된 연결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은 단면 형상이 '' 인 각 부위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고, 상기 단턱부는 상기 합성수지관의 반경방향으로 내외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구.
  3.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단턱부가 형성되게 압출하는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에서 압출된 합성수지가 중공관 형태로 말림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압출된 합성수지의 단턱부가 상기 드럼의 나선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중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를 상기 드럼의나선방향으로 롤링시키는 구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에 의해 나선형으로 롤링되는 합성수지의 단턱부 사이에 발열부재를 권선할 수 있도록 발열부재가 권선된 권선롤과; 상기 구동 롤러에 의해 나선형으로 롤링되는 합성수지의 단턱부를 누르는 압착 롤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구 성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는 합성수지가 압출되는 압출홀이 ''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구 성형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는 외주에 나선방향의 러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구 성형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 이음구 성형장치는 상기 드럼에 감기는 합성수지를 냉각시키는 냉각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구 성형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 이음구 성형장치는 상기 구동 롤러에 의해 나선형으로 롤링되는 합성수지가 라운드지게 와인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구 성형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 이음구 성형 장치는 상기 드럼에 의해 원통 모양으로 감긴 합성수지관을 커팅하는 커팅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구 성형 장치.
  9.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단턱부가 형성되게 압출함과 아울러 압출된 합성수지의 단턱부가 나선방향 중첩되도록 합성수지를 나선방향으로 롤링시키고, 이와 동시에 롤링되는 합성수지의 단턱부의 사이에 발열부재를 권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이후에 합성수지를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발열부재의 양단에 연결 단자를 연결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구 성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나선형으로 롤링된 합성수지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구 성형 방법.
KR1020030031792A 2003-05-20 2003-05-20 관 이음구와 그 성형 장치 및 방법 KR20040099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792A KR20040099720A (ko) 2003-05-20 2003-05-20 관 이음구와 그 성형 장치 및 방법
PCT/KR2004/000142 WO2004104468A1 (en) 2003-05-20 2004-01-28 Pipe connecto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792A KR20040099720A (ko) 2003-05-20 2003-05-20 관 이음구와 그 성형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491U Division KR200325725Y1 (ko) 2003-05-20 2003-05-20 관 이음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720A true KR20040099720A (ko) 2004-12-02

Family

ID=3347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792A KR20040099720A (ko) 2003-05-20 2003-05-20 관 이음구와 그 성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099720A (ko)
WO (1) WO200410446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123B1 (ko) * 2005-04-08 2006-03-03 주식회사 대현테크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556129B1 (ko) * 2005-04-08 2006-03-03 주식회사 대현테크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740259B1 (ko) * 2006-04-05 2007-07-18 박종덕 하수관 연결용 발열부재와 이를 이용한 연결구 및 그제조장치
KR102620356B1 (ko) * 2022-11-30 2024-01-02 한국세라믹기술원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4598A (zh) * 2012-06-29 2012-10-17 东莞市峄董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海底石油管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5639A (en) * 1989-02-23 1992-04-21 Spiro America Inc. Apparatus for forming spiral pipe
JPH1163321A (ja) * 1997-08-22 1999-03-05 Nippon Maintech Kk 合成樹脂螺旋管とその形成方法
US6306235B1 (en) * 1997-10-16 2001-10-23 Nomaco, Inc. Spiral formed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123B1 (ko) * 2005-04-08 2006-03-03 주식회사 대현테크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556129B1 (ko) * 2005-04-08 2006-03-03 주식회사 대현테크 연결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740259B1 (ko) * 2006-04-05 2007-07-18 박종덕 하수관 연결용 발열부재와 이를 이용한 연결구 및 그제조장치
KR102620356B1 (ko) * 2022-11-30 2024-01-02 한국세라믹기술원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04468A1 (en)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1065B2 (en) Method of making a spirally-wound tube
US6488802B1 (en) Pipe extrusion process
EP0159733B1 (en) Process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an electroweldable socket
JPH0470985B2 (ko)
US7918955B2 (en) Manufacture of flexible tubular duct with improved core delivery
CN1032717C (zh) 制造金属骨架-塑料复合管道的方法及装置
KR20040099720A (ko) 관 이음구와 그 성형 장치 및 방법
WO2014201506A1 (en) A winding and welding machine
JP2006329360A (ja) 電気融着継手、その製造方法及び巻線装置
KR100488494B1 (ko) 시트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4215A (ko) 관 이음구 및 그 성형 장치와 방법
KR200322658Y1 (ko) 관 이음구
CN107893881A (zh) 一种承插式中空缠绕结构壁管及其制造方法
JP2019130877A (ja) 金属又は合成繊維の線材補強の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管の製造方法
KR100533456B1 (ko) 폐폴리에틸렌 솔리드 하수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90302B1 (ko) 삼중관과삼중관제조장치및그방법
KR200325725Y1 (ko) 관 이음구
CN209176148U (zh) 一种ppr管材用色线挤出机
JPH01206026A (ja) 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の製造法
KR100919033B1 (ko) 탄소섬유 히터의 제조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헤드
KR100564154B1 (ko) 나선관 성형용 압출도관의 접합장치 및 그 방법
KR102614732B1 (ko) 합성수지관 제조 시스템 및 그 합성수지관
JP2001074182A (ja) 可とう伸縮継手の製造方法
KR100610772B1 (ko) 이중벽을 갖는 합성수지 파이프 제조장치
KR100533514B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연결관, 이 연결관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