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186Y1 -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186Y1
KR200245186Y1 KR2020010016900U KR20010016900U KR200245186Y1 KR 200245186 Y1 KR200245186 Y1 KR 200245186Y1 KR 2020010016900 U KR2020010016900 U KR 2020010016900U KR 20010016900 U KR20010016900 U KR 20010016900U KR 200245186 Y1 KR200245186 Y1 KR 200245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late
socket
heating element
electric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재
Original Assignee
이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재 filed Critical 이문재
Priority to KR2020010016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1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186Y1/ko

Links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리에틸렌(PE)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PE 필름(41)에 절연 접착된 판상 발열 회로(42)로 구성된 판상 전기 발열체(40)가 단부 외벽에 부착된 PE 파이프(60)를 포함하여, PE 소켓(50)의 단부에 PE 파이프(6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판상 전기 발열체(40)로 전원이 공급되면 판상 전기 발열체(40)가 발열하여 PE 소켓(50)과 PE 파이프(60)를 녹여서 접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서, 종래에 비해 넓은 접착 면적을 확보하여 PE 소켓(50)과 PE 파이프(60) 사이의 접착 강도를 정상적으로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의 열선 PE 파이프(30) 연결 시에 발생하는 전기 합선 문제를 완벽하게 방지하여 용이하고 안전하게 파이프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 장치 { APPARATUS FOR CONNECTING POLYETHYLENE PIPES }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수도관, 가스관 또는 오일 파이프 등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이하, PE라 한다)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PE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직경 75mm 이하인 2개의 PE 파이프(10)를 서로 연결할 경우에는 PE 소켓(11)을 이용하며, 이때는 상기 PE 소켓(11)의 내면과 PE 파이프(10)의 외면을 가열하여 녹인 상태에서 2개의 PE 파이프(10)를 상기 PE 소켓(11)의 양측 단부로 밀어 넣어 접착시킴으로써 2개의 PE 파이프(10)를 서로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PE 소켓(11)의 내면과 PE 파이프(10)의 외면을 각각 가열하여 녹인 후 PE 소켓(11)에 PE 파이프(10)를 밀어 넣어 접착시킬 경우에는, 소켓(11)의 내면과 파이프(10)의 외면이 조기에 경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결과 PE 소켓(11)과 PE 파이프(10)의 접착 면적이 줄어들어 정상적으로 요구되는 접착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직경 75mm 이상인 2개의 PE 파이프(20)를 서로 연결할 경우에는, 각각의 PE 파이프(20)의 일측 단면(21)을 가열하여 녹인 상태에서 PE 파이프(20)의 단면(21)을 서로 접착시킴으로써 2개의 PE 파이프(20)를 서로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2개의 파이프 단면(21)을 서로 접착시켜 파이프(20)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PE 소켓(11)을 사용할 경우에 비해 신속하게 2개의 PE 파이프(20)를 접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PE 소켓(11)을 사용할 경우에 비해 2개의 PE 파이프(20)가 서로 접착되는 면적이 더욱더 줄어들게 되므로, 정상적으로 요구되는 접착 강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양측 단부에 열선(31)을 삽입하여 사출 제작하는 2개의 PE 파이프(30)를 서로 연결할 경우에는, 상기 열선 PE 파이프(30)의 열선(31)에 발전기 등의 전원을 공급하여 PE 파이프(30)의 양측 단부를 서로 열융착시킴으로써 2개의 PE 파이프(30)를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파이프(30)의 양측 단부에 삽입된 열선(31)에 전원을 공급하여 2개의 PE 파이프(30)를 서로 열융착시켜 연결할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요구되는 접착 강도와 접착 면적을 유지할 수는 있지만, 상기 열선 PE 파이프(30)를 사출 제작하는 과정에서 열선(31)을 합선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하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열선 PE 파이프(30)의 제작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열선 PE 파이프(3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열선(31)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열선(31) 간격의 이상으로 열선(31)이 합선되면 상기 2개의 열선 PE 파이프(30)가 과도하게 열융착되어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PE 소켓과 PE 파이프 중간에 설치되는 판상 전기 발열체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PE 소켓과 PE 파이프를 서로 접착시키도록 된 PE 파이프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PE 파이프 연결 장치는 PE 필름에 절연 접착된 판상 발열 회로로 구성된 판상 전기 발열체가 단부 외벽에 부착된 PE 파이프를 포함하여, PE 소켓의 단부에 상기 PE 파이프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판상 전기 발열체로 전원이 공급되면 판상 전기 발열체가 발열하여 상기 PE 소켓과 PE 파이프를 녹여서 접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PE 파이프 연결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PE 파이프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다른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PE 파이프 연결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판상 전기 발열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판상 전기 발열체를 이용한 PE 파이프 연결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PE 파이프 11: PE 소켓
20: PE 파이프 21: 단면
30: PE 파이프 31: 열선
40: 판상 전기 발열체 41: PE 필름
42: 판상 발열 회로 43: 전극 단자
50: PE 소켓 60: PE 파이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판상 전기 발열체(40)는 PE 필름(41)에 절연 접착된 판상 발열 회로(42)로 구성되고, PE 파이프(60)의 단부 외벽에 부착된다.
상기 판상 발열 회로(42)의 회로선은 PE 필름(41) 상에 절연 접착되도록 제조되므로, 회로선간에 서로 합선되지 않는다.
상기 판상 전기 발열체(40)는 발전기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발열 전원이 전극 단자(43)로 인가되면 발열한다.
상기 판상 전기 발열체(40)의 판상 발열 회로(42)는 산화철이나, 스테인레스강, 니크롬강, 또는 니켈-크롬강 등과 같은 재질의 금속과 전도성 필러(Filler)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PE 파이프 연결 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2개의 PE 파이프(60)를 서로 연결한다.
사용자는 가장 먼저, 상기 판상 전기 발열체(40)를 PE 파이프(60)의 외벽에 부착한 후, 상기 PE 파이프(60)를 상기 PE 소켓(50)의 단부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PE 파이프(60)에 부착된 판상 전기 발열체(40)의 전극 단자(43)는 상기 PE 파이프(60)와 PE 소켓(50)의 접촉면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PE 소켓(50)에 PE 파이프(60)가 삽입 완료되면,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상기 PE 파이프(60)와 PE 소켓(50)의 접촉면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전극 단자(43)에 발전기 등과 같은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 공급선을 연결하여 상기 전극 단자(43)로 소정의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극 단자(43)를 통하여 소정의 전원이 상기 판상 전기 발열체(40)로 공급되면 상기 판상 전기 발열체(40)가 발열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PE소켓(50)과 PE 파이프(60)가 상기 판상 전기 발열체(40)를 사이에 두고 열접착되어 서로 연결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판상 전기 발열체(40)를 발열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 시간을 일정하게 조절하면, 여러 개의 PE 파이프(60)를 연결하더라도 연결 부위의 접착 강도를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PE 파이프 연결 장치는 PE 소켓과 PE 파이프 중간에 설치되는 판상 전기 발열체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PE 소켓과 PE 파이프를 서로 접착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넓은 접착 면적을 확보하여 PE 소켓과 PE 파이프 사이의 접착 강도를 정상적으로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PE 파이프 연결 장치는 상기 PE 파이프의 외벽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고 PE 필름에 절연 접착된 판상 발열 회로로 구성된 판상 전기 발열체를 열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열선 PE 파이프 연결시 발생하는 전기 합선 문제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의 열선 PE 파이프를 직접 연결할 경우에 비하여 파이프 연결 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PE 파이프 연결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PE 필름(41)에 절연 접착된 판상 발열 회로(42)로 구성된 판상 전기 발열체(40)가 단부 외벽에 부착된 PE 파이프(60)를 포함하여, PE 소켓(50)의 단부에 상기 PE 파이프(6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판상 전기 발열체(40)로 전원이 공급되면 판상 전기 발열체(40)가 발열하여 상기 PE 소켓(50)과 PE 파이프(60)를 녹여서 접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 장치.
KR2020010016900U 2001-06-07 2001-06-07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245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900U KR200245186Y1 (ko) 2001-06-07 2001-06-07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900U KR200245186Y1 (ko) 2001-06-07 2001-06-07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186Y1 true KR200245186Y1 (ko) 2001-10-22

Family

ID=7306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900U KR200245186Y1 (ko) 2001-06-07 2001-06-07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1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0065B2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welding of fluid distribution systems
DK0430762T3 (da) Fremgangsmåde og indretning til detektering af opvarmningstilstanden for en del af termoplastisk materiale og forbindelsesstykke til svejsning af elementer af plastmateriale
ES2164721T3 (es) Pieza de union moldeada para conexiones de derivacion en una tuberia.
KR200245186Y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 장치
KR10091267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전기융착 접합시트
ATE228926T1 (de) Vorrichtung zum anschweissen einer armatur an ein rohr mittels in der armatur integrierter elektrischer heizelemente
KR20100082132A (ko) 합성수지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9990022276U (ko) 관연결용밴드
JPH09292084A (ja) 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と、その融着方法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JP3749062B2 (ja) 熱可塑性樹脂製管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KR200268377Y1 (ko) 합성수지관용 분기 이음관
CN218735023U (zh) 一种方便调节加热功率的厚膜加热组件
KR940004632Y1 (ko) 플라스틱 파이프의 열접착이음관
KR850001105Y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기
KR200245150Y1 (ko)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KR860001170Y1 (ko) 개량된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기
KR200253938Y1 (ko) 합성수지관용 분기이음관
KR200194973Y1 (ko) 열융착 관연결구
JPH08306473A (ja) ヒ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91981Y1 (ko) 새들분수전용 융착구조
KR200250922Y1 (ko) 합성수지관용 보수판
KR20030012434A (ko) 합성수지관용 분기이음관
JP2516996Y2 (ja) 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
KR200398508Y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